$\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운전자 성별 간 상호이해도 분석
Analysis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Dangerous Driving Behaviors between Male and Female Drivers by Co-orientation Model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7 no.3, 2018년, pp.32 - 45  

최정우 (도로교통공단 경기지부) ,  금기정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위험운전 행동에 대한 남녀운전자 상호간의 인식 차이를 다각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인식 차이를 유발시키는 요인에 대한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험운전 행동에 대한 상호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운전행동 분석도구인 DBQ(Driving Behavior Questionnaire)를 평가척도로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상호지향성 모델(Co-orientation Model)에 적용시켜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의 상호 간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남녀 상호간 인식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남녀 상호간 상대방의 운전행동이 더 위험하다는 인식차이를 확인하였고 주관적 일치도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 상대방이 자신의 실제 운전행동의 위험도보다 더 큰 위험도로 판단할 것으로 추측하여 차이가 나타났다. 정확도에서는 남성은 남성의 위험운전행동에 대해 본인의 추측보다 여성이 더 위험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판단이 어려우나, 여성운전행동에 대한 여성의 추측은 모든 요인에서 남성의 인식과 일치하여 남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예측 모형의 결합을 통해 남성운전자의 관점과 여성운전자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남녀 상호간에 상대방이 더 위험한 운전행동을 하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mutual perception gap on dangerous driving behavior between male and female drivers in multiple aspects, analyze them, and identify factors that trigger this different perception. To understand the mutual perception gap on dangerous driving behavior, DBQ(Driving Beha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남녀운전자 상호간의 인식을 상호지향성 모형을 이용하여 그 차이 정도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 남녀 간의 인식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 상호 인식의 차이를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차이를 유발시키는 요인에 대한 원인파악을 통해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 상호 간의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정책, 교육 등 안전운전 대책수립의 기초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운전행동 분석도구인 DBQ(Driving Behavior Questionnaire)를 평가척도로 설정하고,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 사이의 상호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식차이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분석된 인식차이 유발요인 외에 다양한 요인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추가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분석의 정확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객관적 일치도는 어떤 대상에 대한 집단 A의 인식과 집단 B의 인식이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객관적 일치도가 높을 때 두 집단은 상호 지향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운전행동의 위험도에 대한 남성 본인의 인식과 여성 인식의 일치정도, 여성운전행동의 위험도에 대한 여성본인의 인식과 남성 인식의 일치정도를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문제 1 :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남성운전자의 인식과 여성운전자의 인식은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 (객관적 일치도)
  • 연구문제 1은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 간의 객관적 일치도 즉, 상호 평가의 일치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객관적 일치도는 어떤 대상에 대한 집단 A의 인식과 집단 B의 인식이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객관적 일치도가 높을 때 두 집단은 상호 지향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 연구문제 2 :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 각각의 인식은 상대집단의 인식에 대한 추측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 (주관적 일치도)
  • 연구문제 3 : 위험운전행동에 대해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 각각은 상대집단의 인식을 어느 정도 정확하게 추측하는가? (정확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BQ란? DBQ(Driving Behavior Questionnaire)는 Reason et al.(1990)이 개발한 운전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대한 자기 보고식 평가로 총 50문항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특성은 Violation과 Error로 분류되었다. 이후 Parker et al.
심리유형은 DBQ 요인 중 어떠한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가? Hwang(2006)은 개인별 심리유형과 DBQ(Driving Behavior Questionnaire)를 비교하여 불안전한 행동과의 심리유형검사 간의 상호 관계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유형은 DBQ의 하위 요인인 Lapse, Mistake, Violation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판별의 결과는 불안전한 운전행위를 예방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운전행동에서 비정상적 행위의 주요인은 무엇인가? (1990)은 운전자의 비정상적 운전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잘못, 불이행, 착오, 비의도 위반, 의도 위반 등의 운전행동을 설문조사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비정상적 행위의 주요인은 위반(Violation), 무해 실수(Harmless Error), 위험 실수(Dangerous Error) 3가지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rown I. D. and Groeger J. A.(1988), "Risk perception and decision taking during the transition between novice and experienced driver status," Ergonomics, vol. 31, no. 4, pp.585-597. 

  2. Ryun H. J. and Jeon B. S.(2008), "A Study on the Perceptual Difference of the Users and Corporate Employees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Media Corporations - An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Korea Journal of Broadcasting, vol. 22, no. 4, pp.92-126. 

  3. Chaffee S. H. and McLeod J. M.(1968), "Sensitization in Panel Design: A Coorientational experiment," Journalism Quarterly, vol. 45, no. 4, pp.661-669. 

  4. Davies G. M. and Darshana P.(2005), "the influence of car and driver stereotypes on attributions of vehicle speed, position on the road and culpability in road accident scenario," Legal and Criminological Psychology, vol. 10, pp.45-62. 

  5. Horswill M. S., Waylen A. E. and Tofield M. I.(2004), "Drivers' Ratings of Different Components of Their Own Driving Skill: A Greater Illusion of Superiority for Skills That Relate to Accident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34, no. 1, pp.177-195. 

  6. Hwang S. H.(2006), Correlation Between Driver's Unsafe Acts and Personality Types, KAIST Master's Degree Dissertation. 

  7. Kim B. A. and Lee J. S.(2005), "Differences in situational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 18, no. 1, pp.163-176. 

  8. Kim B. C. and Choi Y. H.(2005), "Co-orientation Analysis of the risk perception of university member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 7, no. 3, pp.7-41. 

  9. Kim B. C., Choi M. I. and Lee J. W.(2014), "A study of Mutual recognition about Advertising Creativity Assessment among Advertisers, Producers & Consumer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25, no. 1, pp.179-201. 

  10. Kim J. I. and Park J. Y.(2006), "Difference in perception of male and female drivers regarding the driving ability and driving stres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 12, no. 4, pp.37-53. 

  11. Lee C. S.(2007), The Aberrant Driving Behavior in Korea, KAIST Master's Degree Dissertation. 

  12. Martinussen L. M., Lajunen T., Moller M. and Ozkan T.(2013), "Short and user-friendly: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ini-DBQ,"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50, pp.1259-1265. 

  13. McLeod J. M. and Chaffee S. H.(1973), "Interpersonal approaches to communication research,"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16, pp.467-501. 

  14. Parker D., Reason J. T., Manstead A. S. R. and Stradling S. G.(1995), "Driving errors, driving violations and accident involvement," Ergonomics, vol. 38, no. 5, pp.1036-1048. 

  15. ParkJ. Y., Choi Y. H. and Kim B. C.(2015), "Comparative Analysis of Doctor-patient Perception on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 Co-orientation Model Tes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 17, no. 1, pp.30-54. 

  16. Reason J. T., Manstead A., Stradling S., Baxter J. and Campbell K.(1990), "Errors and violations on the roads - a real distinction," Ergonomics, vol. 33, no. 10-11, pp.1315-1332. 

  17. Rowe R., Roman G. D., Mckenna F. P. and Barker E.(2015), "Measuring errors and violations on the road: A bifactor modeling approach to the Driver Behavior Questionnaire,"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74, pp.118-125. 

  18. Rubin J. Z., Steinberg B. D. and Gerrein J. R.(1974), "how to obtain the right of way: an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at intersection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vol. 39, pp.1263-1274. 

  19. Svenson O.(1981), "Are we all less risky and more skillful than our fellow drivers?; Estimates of risk and skill," Acta Psychologica, vol. 47, pp.143-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