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소환원반응을 위한 니켈-텅스텐 카바이드 나노입자 담지 메조포러스 카본 촉매의 단일 합성 및 그 특성 평가
One-pot Synthesis of Nickel and Tungsten Carbide Nanoparticles Supported Mesoporous Carbon Electrocatalyst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원문보기

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51 no.3, 2018년, pp.179 - 184  

김혜민 (일본 신슈대학 물질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i and tungsten carbide (WC) nanoparticles are simultaneously synthesized with the mesoporous carbon nanoparticles (CNP) using a solution plasma processing (SPP) in the benzene. The Ni and WC nanoparticles were formed through the sputtering effect of electrodes during discharge, and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t과 유사한 촉매 거동을 나타내며 일산화탄소 피독 저항성이 양호한 것으로 알려진 텅스텐 카바이드(WC)와 고가의 귀금속을 대체할 비귀금속인 니켈(Ni) 나노입자를 담지한 다공성 탄소를 SPP법을 통해 단일 합성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이 합성-제작한 전극재료에 대해서는 몰포로지, 구조, 촉매입자의 분산도 및 기공 특성을 비교-분석함은 물론, 촉매활성 및 산소환원반응을 위한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함으로써 다공성 탄소 재료와 비귀금속 촉매의 동시합성여부와 실제 연료 전지 전극재료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료전지는 어떻게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하는가?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탄소 중심의 에너지 경제 사회에서 수소 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전환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수소 에너지 경제 시대를 이끌 차세대 대안으로써 연료전지(fuel cell)가 각광받고 있다[1]. 이러한 연료전지는 전극과 전해질로 구성된 셀을 기본 단위로 하며 공급된 반응물이 각각의 전극에서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한다. 즉, 산화극(anode)과 환원극(cathode)에서의 전극반응 속도가 연료전지의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연료전지 전극에 나노 사이즈의 촉매를 담지체에 담지한 형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연료전지 전극 설계에 있어 경제적인 측면을 비롯하여 촉매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나노 사이즈의 촉매를 담지체에 담지한 형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촉매를 작은 입자로 분산시켜 담지하면 낭비되는 촉매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응 표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6,7].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종래의 방법들은 (1) 촉매 나노입자의 합성, (2) 담지체 재료의 합성 및 (3) 촉매 나노입자의 담지와 같은 여러 단계의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연료전지의 전체 반응속도를 지배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때 산화극 측의 수소산화반응(hydrogen oxidation reaction, HOR) 속도는 빠른 반면, 환원극 측의 산소환원반응(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속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느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활성화과 전압 손실이 환원극 측에서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산소환원반응 속도는 연료전지 전체의 반응속도를 지배하며 전지의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2]. 최근, 이러한 산소환원반응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촉매활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백금(Pt) 촉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P. P. Edwards, V. L. Kuznetsov, W. I. David and N. P. Brandon, Hydrogen and Fuel Cells: Towards a Sustainable Energy Future, Energy policy 36 (2008) 4356-4362. 

  2. Y. Bing, H. Liu, L. Zhang, D. Ghosh and J. Zhang, Nanostructured Pt-Alloy Electrocatalysts for PEM Fuel Cell Oxygen Reduction Reaction, Chem. Soc. Rev. 39 (2010) 2184-2202. 

  3. A. F. Ghenciu, Review of Fuel Processing Catalysts for Hydrogen Production in PEM Fuel Cell Systems, Curr. Opin. Solid State Mater. Sci. 6 (2002) 389-399. 

  4. H. Meng and P. K. Shen, Novel Pt-free Catalyst for Oxygen Electroreduction, Electrochem. Commun. 8 (2006) 588-594. 

  5. A. Morozan, B. Jousselmeand and S. Palacin, Lowplatinum and Platinum-free 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at Fuel Cell Cathodes, Energy Environ. Sci. 4 (2011) 1238-1254. 

  6. I. Roche, E. Chainet, M. Chatenet and J. Vondrak, Carbon-supported Manganese Oxide Nanoparticles as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in Alkaline Medium: Physical Characterizations and ORR Mechanism, J. Phys. Chem. C, 111 (2007) 1434-1443. 

  7. Z. S. Wu, S. Yang, Y. Sun, K. Parvez, X. Feng and K. Mu?llen, 3D Nitrogen-doped Graphene Aerogel-supported $Fe_3O_4$ Nanoparticles as Efficient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J. Am. Chem. Soc. 134 (2012) 9082-9085. 

  8. N. Saito, J. Hieda and O. Takai, Synthesis Process of Gold Nanoparticles in Solution Plasma, Thin Solid Films, 518 (2009) 912-917. 

  9. J. Hieda, N. Saito and O. Takai, Exotic Shapes of Gold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Plasma in Aqueous Solution, J. Vac. Sci. Technol. A, 26 (2008) 854-856. 

  10. M. B. Zellner and J. G. Chen, Surface Science and Electrochemical Studies of WC and W2C PVD Films as Potential Electrocatalysts, Catal. Today 99 (2005) 299-307. 

  11. Z. A. ALOthman, A Review: Fundamental Aspects of Silicate Mesoporous Materials, Materials 5 (2012) 2874-2902. 

  12. J. Kang, O. L. Li, and N. Saito, Hierarchical Meso-macro Structure Porous Carbon Black as Electrode Materials in Li-air Battery. J. Power Sources, 261 (2014) 156-161. 

  13. D. Kim, O. L. Li and N. Saito, Enhancement of ORR Catalytic Activity by Multiple Heteroatom-Doped Carbon Materials, Phys. Chem. Chem. Phys. 17 (2015) 407-413. 

  14. D. Kim, O. L. Li, and N. Saito, The Role of the Central Fe Atom in the $N_4$ -macrocyclic Structure for the Enhancement of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a Heteroatom Nitrogen-carbon Nanosphere, Phys. Chem. Chem. Phys. 16 (2014) 14905-149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