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 of Nurses Working in Long Term Care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240 - 251  

김지아 (시립마산요양병원) ,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의 정도, 상관관계,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도덕적 고뇌의 경험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 소재한 6개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80명으로,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21일부터 4월 8일까지 시행하였으며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도덕적 고뇌정도는 평균 3.57점, 도덕적 민감성정도는 평균 4.82점이었으며,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r=.494, p<.001)이 있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덕적 민감성과 윤리적 딜레마 경험여부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도덕적 고뇌 상황 경험은 간호의 질이 보장되지 않은 부적절한 간호행위와 관련된 상황, 비윤리적인 인권문제와 관련된 상황, 부족한 간호 인력과 관련된 상황, 조직 및 국가 차원의 지원 부족과 관련된 상황 등에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도덕적 민감성과 윤리적 문제해결능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oral distress, moral sensitivity,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ral distress and the experience of moral distress among nurse working in a long-term care hospital. Overall, 180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 in G Province were evaluated. Dat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를 파악하기 위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처음 시도된 연구로서 도덕적 고뇌 및 도덕적 민감성정도와 도덕적 고뇌와 관련 있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도덕적 고뇌 경험상황을 분석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를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덕적 고뇌 경험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 및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덕적 고뇌 경험상황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를 확인하고,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의 상관관계 및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덕적 고뇌 경험상황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덕적 고뇌 측정도구를 그대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요양병원의 환자와 환경특성을 반영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 및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도덕적 고뇌 경험을 확인하여 간호사들이 현장에서 도덕적 고뇌 상황을 민감하게 인지하고 올바른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간호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덕적 민감성이란? 도덕적 민감성은 도덕적 문제를 인식하고 대상자의 취약한 상황을 상황적, 직관적으로 이해하며 환자를 위한 결정이 윤리적 일 수 있도록 상황을 파악하는 능력이다[18]. Schluter 등[19]은 개인적인 도덕적 민감성, 교육 수준, 조직적인 윤리적 환경을 도덕적 고뇌의 영향요인으로 보았으며 그중 도덕적 민감성을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보고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가 윤리적 문제와 직면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요양병원 환자 중 특히 치매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로 인한 문제행동 증상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주로 공격성, 케어에 대한 저항, 배회, 부적절한 성적 행동, 환각, 망상 등[6]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행동들은 환자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노인시설 및 기관에서는 신체 억제대나 정신약물요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들을 돌보는 보건의료 인력은 이러한 임상현장에서 여러 가지 윤리적 문제와 갈등상황에 직면하게 된다[7].
우리나라의 요양병원 수가 급증한 이유는 무엇인가? 의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2000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인구의 7.2%로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에 진입하였으며 2020년에는 15.7%, 2030년에는 24.3%로 증가하여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노인성 질환 및 만성질환의 증가로 이어져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증대를 초래하여 2005년에 203개였던 요양병원의 수가 2016년 현재 1,383개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cs Korea. 2014 Statistics on the Aged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Sep 29 [updated 2014 Sep 29; cited 2015 Dec 1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30349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urrent Status of Medical Institutions [Internet]. 2016 Jan 30 [updated 2016 Jan 30; cited 2016 Mar 10]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parentIdD.1;D3.2;350_35001.3;354_MT_DTITLE.4;#SelectStatsBoxDiv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Internet]. Press release. Results of Evaluation of Long Term Care Hospitals, 2010: 2011 Sep 30 [updated 2011 Sep 30; cited 2015 Dec 1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8197 

  4. M. R. Sim, K. H. Kim, "Job Satisfation. Self-Esteem. and Nursing Task Performance among Registered Nurses and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16, no. 4, 446-454, 2010. 

  5. S. S. Kim, "The Experiences in Long-term Care Hospital as a N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013. 

  6. J. J. Oh, "The Experience of Nursing Staff on the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0, no. 2, 293-306, 2000. DOI: https://doi.org/10.4040/jkan.2000.30.2.293 

  7. S. H. Yoo, S. A. Kang, "Nursing Home Staffs' Knowledge on the 2004 Revised Older Koreans Act for Elder Abuse, Reports of Elder Abuse and Attitudes about Sanctioning Mandatory Reporte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vol. 33, no. 0, pp. 311-333, 2008. 

  8. R. Deady, J. McCarthy, "A Study of the Situation, Features, and Coping Mechanisms Experienced by Irish Psychiatric Nurses Experiencing Moral Distress", Perspective Psychiatric Care, vol. 46, no. 3, pp. 209-220, 2010. DOI: https://doi.org/10.1111/j.1744-6163.2010.00260.x 

  9. Jameton. A, "Dilemmas of Moral Distress: Moral Responsibility and Nursing Practice", AWHONN's Clinical Issues in Perinatal & Women's Health Nursing, vol. 4, no. 4, pp. 542-551, 1993. 

  10. M. C. Corley, P. Minick, R. K. Elswick, "Nurse Moral Distress and Ethical Work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Ethics, vol. 12, no. 4, pp. 381-390, 2005. DOI: https://doi.org/10.1191/0969733005ne809oa 

  11. M. S. Yoo, "A Study on the Degree of Moral Distress of Nurses in a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ation, vol. 12, no. 1, pp. 131-139, 2006. 

  12. M. S. Yoo, "Concept Analysis of Moral Distress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ation, vol. 10, no. 1, pp. 49-62, 2004. 

  13. S. S. Han, "The Moral Distress that Nurses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vol. 6, no. 2, pp. 31-47, 2005. 

  14. K. Ohnishi, Y. Ohgushi, M. Nakano, H. Fujii, H. Tanaka, K. Kitaoka, J. Nakahara, Y. Narita, "Moral Distress Experienced by Psychiatric Nurses in Japan", Journal of Nursing Ethics, vol. 17, no. 6, pp. 726-740, 2010. DOI: https://doi.org/10.1177/0969733010379178 

  15. D. B. Noh, S. A. Kim, S. H. Kim, "Moral Distress, Moral Sensitivity and Ethical Climate of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2, no. 4, pp. 307-319, 2013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4.307 

  16. K. Lutzen, C. Nordin, "Structuring Moral Meaning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 7, no. 3, pp. 175-180, 1993. DOI: https://doi.org/10.1111/j.1471-6712.1993.tb00196.x 

  17. Song J. H.. Moral insensibility. [Internet]. The Seoul Economy; 2015 [updated 2015 Dec 4 ; cited 2016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sedaily.com/NewsView/1JKOFYFZWF 

  18. K. Lutzen, M. Evertzon, C. Nordin, "Moral Sensitivity in Psychiatric Practice", Journal of Nursing Ethics, vol. 4, no. 6, pp. 472-482, 1997. DOI: https://doi.org/10.1177/096973309700400604 

  19. J. Schluter, S. Winch, K. Holzhauzer, A. Handerson, "Nurse's Moral Sensitivity and Hospital Ethical Climate: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Ethics, vol. 15, no. 3, pp. 304-321, 2008. DOI: https://doi.org/10.1177/0969733007088357 

  20. S. S. Han, J. H. Kim, Y. S. Kim, S. H. Ahn,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Journal of Nursing Ethics, vol. 17, no. 1, pp. 99-105, 2010. DOI: https://doi.org/10.1177/0969733009349993 

  21. H. Y. Chang, J. E. Song, Y. S. Kim, M. A. You, "Moral Sensitivity,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s for Older People among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vol. 16, no. 2, pp. 216-230, 2013. 

  22. H. R. kim, S. H. An, "Moral Sensitivity and Moral Distress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vol. 13, no. 4, pp. 321-336, 2010. 

  23. K. Lutzen, G. Nordstrom, M. Evertzon, "Moral Sensitivity in Nursing Practic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 9, no. 3, pp. 131-138, 1995. DOI: https://doi.org/10.1111/j.1471-6712.1995.tb00403.x 

  24. S. J. Han,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3, pp. 276-284, 2012.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3.276 

  25. M. C. Corley, "Nurse Moral Distress: A proposed theory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Nursing Ethics, vol. 9, no. 6, pp. 636-650, 2002. DOI: https://doi.org/10.1191/0969733002ne557oa 

  26. H. K. Cho, "Moral Sensitivity, Empathy and Perceived Ethical Climate of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the National Mental Ho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6, no. 2, pp. 201-215, 2017.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2.204 

  27. M. C. Corley, R. K. Elswick, M. Gorman, T. Cl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oral Distress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33, no. 2, pp. 250-256, 2001. DOI:https://doi.org/10.1111/j.1365-2648.2001.01658.x 

  28. J. R. Rest, "Moral Development: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New York: Praeger. 1986. 224p. 

  29. W. Reynolds, P. A. Scott, W. Austin, "Nursing, Empathy and Perception of the Mor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32, no. 1, pp. 235-242, 2000. DOI: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0.01440. 

  30. Y. S. Kim, J. W. Park, G. S. Bang, "A study on the Persistence of Nursing Ethics Education for Nurses' Ethic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ation, vol. 7, no. 2, pp. 253-263, 2001. 

  31. M. S. Yoo,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 for Moral Distress in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rtsity, Seoul,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