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등학교 과제 연구 수업에서 탐구 문제 도출 과정 탐색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Research Questions from High School Research Projec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3, 2018년, pp.319 - 329  

이지선 (이화여자대학교) ,  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제 연구'는 토론과 조사를 거쳐 특정 과학 과제를 선정하여 실험실습을 수행하고 결론을 도출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일련의 연구 과정을 체험하기 위한 과목이다. 이때 가치 있는 과학적 탐구 문제를 발견하는 것은 연구의 시작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제연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문제 도출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여 단계별로 적용하였다. 각 과정을 거치며 학생들의 탐구 문제가 어떻게 발전해 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수업은 (1)개방적 문제 탐색, (2)문헌 연구 및 자료 검색, (3)탐구 문제의 변형 및 확장, (4)탐구문제의 공유 및 평가, (5)최종 선정 및 연구 계획서 작성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경기도에 위치한 일반고등학교 과제 연구 수업에 12차시 동안 적용하였다. 총 13명의 학생들은 3-4명씩 4개의 조를 이루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생들의 연구 과정이 담긴 포트폴리오 및 연구 계획서를 수집하여 탐구 문제의 도출 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제시한 탐구 문제는 수업의 각 과정을 거치며 점차 구체화되었다. 또한 각 조가 도출한 탐구 문제는 수업의 각 단계에 따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개방적 문제 탐색 단계에서 관심주제를 확인하고 문헌 연구 및 자료 검색을 통해 실현 가능한 과학적 탐구 문제를 제시하기 시작했다. 탐구 문제의 변형 및 확장을 통해 탐구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동료들에게 공유하고 연구 계획서를 작성하면서 탐구 문제를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서술할 수 있었다. 탐구 문제 도출을 돕기 위한 전략을 다양하게 투입함으로써 탐구 문제의 여러 가지 측면을 발전시키고 학생이 주도적으로 탐구 문제를 도출하도록 도울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Projects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of scientific research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specific scientific subjects and writing reports. The process of research begins as students find and propose research questions and its importance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In this study, we 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제 연구는 어떤 과목인가? '과제 연구'는 토론과 조사를 거쳐 특정 과학 과제를 선정하여 실험실습을 수행하고 결론을 도출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일련의 연구 과정을 체험하기 위한 과목이다. 이때 가치 있는 과학적 탐구 문제를 발견하는 것은 연구의 시작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제연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문제 도출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여 단계별로 적용하였는데 수업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각 과정을 거치며 학생들의 탐구 문제가 어떻게 발전해 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수업은 (1)개방적 문제 탐색, (2)문헌 연구 및 자료 검색, (3)탐구 문제의 변형 및 확장, (4)탐구문제의 공유 및 평가, (5)최종 선정 및 연구 계획서 작성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경기도에 위치한 일반고등학교 과제 연구 수업에 12차시 동안 적용하였다.
탐구 중심 학습은 어떤 방식을 택하고 있는가? 국제 사회의 시민에게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을 만족하기 위해서 탐구 중심 학습(inquiry-based learning)이 과학 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Kang, 2014; Chung & Lee, 2015; Hume, 2009). 기존의 절차적인 실험활동과는 달리 최근 탐구 중심 학습은 주로 학습자 스스로가 자연 세계를 조사하여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과학적 사실들을 근거로 주장을 정당화하는 일련의 개방적 문제 해결 방식을 택하고 있다(Kim & Park, 2012; Jung & Moon, 2014; Hume, 2009). 이러한 방식은 학생들이 과학자의 실제 연구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깊이 있는 탐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Jung, Ryu, & Chae, 2012;Hofstein & Lunetta,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yun, K. T., Kim, H. S., & Yoon, M. B. (2011). A case analysis of the process of finding inquiry problems in self-inqui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Journal, 5(2), 117-128. 

  2. Cho, D.-K., & Han, K.-S. (2015). An analysis of gifted high school students' problem-finding process in science: Based on grounded theory.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18(3), 97-129. 

  3. Chung, Y., & Lee, J. (2015). The effectiveness of inquiry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1(4), 521-542. 

  4. Hofstein, A., & Lunetta, V. N. (2003).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5. Hume, A. (2009).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nd school science. Teaching Science: The Journal of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55(2), 35-41. 

  6. Hwang, Y. (2016).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education about research design to student research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rough extraction of problem specification elements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Republic of Korea. 

  7. Hwang, Y., & Park, Y. (2015). Effects of open-situation scientific problem-making activity on th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109-119. 

  8. Jhun, Y., & Jeon, M. (2009). The difficulty that is caused open inquiry instruction.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0(1), 105-115. 

  9. Jung, H.-C., Ryu, C.-R., & Chae, Y. (2012).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high school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with the R&E coordinator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243-264. 

  10. Jung, H.-Y., & Moon, S.-B. (2014). The effects of research project program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7(3), 293-302. 

  11. Kang, E. M. (2014). The change of view toward science after taking research project in general high school class (Master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Republic of Korea. 

  12. Kim, J. (2000). Case analysis on the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tting scientific inquiry problem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3. Kim, J., & Oh, W.-K. (2002). High rank 7th graders' ideas on the appropriate inquiry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2), 261-266. 

  14. Kim, J.-H., & Park, Y.-S. (2012). Exploring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abilities of developing inquiry questions in the content of earth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3), 294-305. 

  15. Kim, M. (2011). Identifying types of peer feedback improving learners' ill-structured task performance & developing their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3(4), 755-779. 

  16. Kim, Y. H. (2009). Effects of project program on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and attitude or interesting for scienc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7.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Korea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2015-74).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8. Park, J. (2005).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the generation of scientific inquiry problems. New Physics: Sae Mulli, 50(4), 203-211. 

  19. Park, J. (2009). Discussions for preparation and types of mentorship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1(3), 1-19. 

  20. Park, Y.S., Jeong, H. C., & Lee K. Y. (2011). Exploring students' ability of 'Doing' scientific inquiry: The case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2), 225?238. 

  21. Ryu, S.-G., & Park, J. (200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2), 139-149. 

  22. Yang, H. (2005). A case analysis on middle school students' process skill and conceptual framework during 'open inquiry planning' activity(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3. Yoo, J., & Kim, J. (2012).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of physics inquiry problems and variables isolation and clarification during small group open-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903-927. 

  24. Zion, M., & Mendelovic,i R. (2012). Moving from structured to open inquiry: Challenges and limits.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3(4), 383-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