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과학연구 수행과정의 분석
Analysis of the Scientific Research Process of a Participant in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by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3, 2018년, pp.343 - 354  

이지원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이하 URP)에 참여한 물리교육과 3학년인 한 초심자(학생 A)의 연구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심층인터뷰, 문서분석을 통해 수집되었고,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로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이 사용되었다. 먼저, 초심자의 연구를 위한 활동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초기에 멘토가 대략적인 연구목표와 목표달성을 위한 매개체를 초심자에게 제공하였다. 연구주체인 학생 A는 동료 두 명을 모아, 자신이 이끄는 수직적 관계로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역할분담은 과제특정지식, 연차, 그리고 참여율이 높을수록 의사결정권이 크다는 암묵적 규칙에 근거한 것이다. 다음으로, 활동체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모순이 변화의 원천이 되었다. 먼저 연구 초기에 멘토의 교육철학과 멘티의 교육적 요구 간의 모순이 발생하였다. 학생 A는 멘토의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의 활동체계에서 필요한 지식을 얻는 방식으로 모순에 의한 갈등을 극복하였다. 이렇게 획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활동체계의 매개물(실험도구과 이론)을 정교화하였다. 두 번째 모순은 수평적 역할분담을 요구하는 팀 구성원들과 기존 역할분담을 고수하는 학생 A 간에 발생하였다. 학생 A가 팀 구성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인 후, 활동체계의 노동 분담 방식은 협력적으로 변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A의 변화를 살펴보면, 학생 A는 연구 경험을 통해 교사의 길을 포기하고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또 학계 내의인적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확장하게 되었으며, 협업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가짐이 긍정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연구 초심자의 연구과정에 대한 활동체계의 구성과 변화의 분석을 통하여 사사교육의 지도 방식과 지원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first experience of the whole research process of a novice scientist (student A) who participated in the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URP) was analyz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with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RP의 단점은? (2013)은 URP에 대한 기존 연구가 주로 교육 효과에 대한 대규모 양적 연구방식의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들이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 어떻게 도달하였는지 그 과정에 대한 맥락은 블랙박스처럼 취급하였다고 지적하였다. 연구가 끝난 뒤의 결과론적 자기평가만으로는 학생들이 URP를 통해 ‘무엇을’ 배웠는가에 대하여 피상적인 이해만 얻을 뿐, URP에 참여한 개인의 특성, 과정, 환경, 상황 맥락 등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어떻게’, 혹은 ‘어떤 과정을 거쳐’ 배웠는가에 대해서는 답을 해주지 못한다. 숙련된 과학자들은 연구를 수행할 때 이미 익숙한 그 분야의 언어를 사용하고, 자신의 선행 지식을 새로운 지식 창출에 이용하며, 분야의 관련자들과의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이란?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이하 URP)은 우수한 과학인재의 육성을 위하여 대학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창의적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교수나 전문가와 같은 멘토의 지도를 받아 자기 주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도록 돕는 사사교육 프로그램으로, 세계 각국에서 수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몇몇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고,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도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Lee, 2009).
URP의 장점은? URP의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URP는 참여학부생의 개인적 및 경력 개발과 연구 기술 습득을 지원함으로써 이 프로그램을 수행한 학생들이 이공계 연구와 진로를 더욱 많이 선택하도록 한다는 점이다. URP 참여자는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하여 과학 계통 대학원 진학을 더 많이 하게 된다(Hathawa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dedokun, O. A., Bessenbacher, A. B., Parker, L. C., Kirkham, L. L., & Burgess, W. D. (2013). Research skills and STEM undergraduate research students’ aspirations for research careers: Mediating effects of research self­effic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0(8), 940-951. 

  2. Bargar, R. R., & Duncan, J. K. (1982). Cultivating creative endeavor in doctoral research.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53(1), 1-31. 

  3. Bogdan, R., & Biklen, S. (2003). Research for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4. Burgin, S. R., & Sadler, T. D. (2016). Learning nature of science concepts through a research apprenticeship program: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approach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3(1), 31-59. 

  5. Converse, S., Cannon-Bowers, J. A., & Salas, E. (1993). Shared mental models in expert team decision making. Individual and group decision making: Current issues, 221. 

  6. Chemers, M. M., Zurbriggen, E. L., Syed, M., Goza, B. K., & Bearman, S. (2011). The role of efficacy and identity in science career commitment among underrepresented minority students. Journal of Social Issues, 67(3), 469-491. 

  7. Dolan, E., & Johnson, D. (2009). Toward a holistic view of undergraduate research experiences: An exploratory study of impact on graduate/postdoctoral mentor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6), 487. 

  8. Engestrom, Y. (1987). Learning by expanding: An activity-theoretical approach to developmental research. Helsinki: Orienta-Konsult. 

  9. Engestrom, Y. (2000). Activity theory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and redesigning work. Ergonomics, 43(7), 960-974. 

  10. Engestrom, Y. (2001). Expansive learning at work: Toward an activity theoretical reconceptualiz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14(1), 133-156. 

  11. Engestrom, Y. (2009). The future of activity theory: A rough draft. Learning and expanding with activity theory, 303-328. 

  12. Fletcher, J. K., & Ragins, B. R. (2007). Stone center relational cultural theory. The handbook of mentoring at work: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373-399. 

  13. Gardner, S. K. (2005). If it were easy, everyone would have a Ph. D. Doctoral student success: Socialization and disciplinary perspectives. 

  14. Gardner, S. K. (2008). “What’s too much and what’s too little?”: The process of becoming an independent researcher in doctoral education.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9(3), 326-350. 

  15. Hathaway, R. S., Nagda, B. A., & Gregerman, S. R. (2002). The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research participation to graduate and professional education pursuit: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3(5), 614-631. 

  16. Hunter, A. B., Laursen, S. L., & Seymour, E. (2007). Becoming a scientist: The role of undergraduate research in students’ cognitiv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cience education, 91(1), 36-74. 

  17. Johnson, W. B., Behling, L. L., Miller, P., & Vandermaas-Peeler, M. (2015). Undergraduate research mentoring: obstacles and opportunities. Mentoring & Tutoring: Partnership in Learning, 23(5), 441-453. 

  18. Kardash, C. M. (2000). Evaluation of undergraduate research experience: Perceptions of undergraduate interns and their faculty mento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1), 191. 

  19. Laursen, S., Hunter, A. B., Seymour, E., Thiry, H., & Melton, G. (2010). Undergraduate research in the sciences: Engaging students in real science. John Wiley & Sons. 

  20. Lee, G. H. (2009). An Educational Program of Undergraduate Research Participa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KAIST. 

  21. Lopatto, D. (2004). Survey of undergraduate research experiences (SURE): First findings. Cell biology education, 3(4), 270-277. 

  22. Lopatto, D. (2007). Undergraduate research experiences support science career decisions and active learning. CBE-Life Sciences Education, 6(4), 297-306. 

  23. Lovitts, B. E. (2001). Leaving the ivory towe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departure from doctoral study. Rowman & Littlefield. 

  24. Lovitts, B. E. (2005). Being a good course­taker is not enough: a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to independent research.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0(2), 137-154. 

  25. Lompscher, J. (2006).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ritical perspectives on activity: Explorations across education, work, and everyday life, 35-51. 

  26.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3). The master plan for the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Gwache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7. Nagda, B. A., Gregerman, S. R., Jonides, J., von Hippel, W., & Lerner, J.S. (1998). Undergraduate student-faculty research partnerships affect student retention.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22(1), 55-72. 

  28. Paglis, L. L., Green, S. G., & Bauer, T. N. (2006). Does adviser mentoring add value? A longitudinal study of mentoring and doctoral student outcom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7(4), 451-476. 

  29. Robnett, R. D., Chemers, M. M., & Zurbriggen, E. L. (2015). Longitudinal associations among undergraduates’ research experience, self­efficacy, and ident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2(6), 847-867. 

  30. Roth, W. M., Lee, Y. J., & Hsu, P. L. (2009). A tool for changing the world: possibilities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to reinvigorate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5(2), 131-167. 

  31. Sawchuk, P. H. (2003). Adult Learning and Technology in Working-Class Lif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Sawchuk, P., Duarte, N., & Elhammoumi, M. (Eds.). (2006). Critical perspectives on activity: Explorations across education, work, and everyday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Slovacek, S., Whittinghill, J., Flenoury, L., & Wiseman, D. (2012). Promoting minority success in the sciences: The minority opportunities in research programs at CSUL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2), 199-217. 

  34. Thiry, H., Laursen, S. L., & Hunter, A. B. (2011). What experiences help students become scientists? A comparative study of research and other sources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gains for STEM undergraduate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82(4), 357-388. 

  35. Villarejo, M., Barlow, A. E., Kogan, D., Veazey, B. D., & Sweeney, J. K. (2008). Encouraging minority undergraduates to choose science careers: career paths survey results. CBE-Life Sciences Education, 7(4), 394-409. 

  36. Youn, C., & Park, S. (2012). Theoretical development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implications to lifelong educati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8(3), 113-1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