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유아교사 창의성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125 - 132  

이유희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전홍주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가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 본 후, 교사-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매개변인으로 교수창의성을 투입하여 교사 영유아와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경기 수원지역의 어린이집 유아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test 결과,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매개역할을 하여 유아의 과학적 태도를 증진시키는 데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수 창의성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과학교수활동을 할 때 교수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동시에 제공된다면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Then, using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as a paramet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teacher-children interaction, we examined how the teacher-children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영유아의 과학적 태도가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 본 후, 유아교사-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매개변인으로 교수창의성을 투입하여 유아교사와 영유아와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와 유아교사의 상호작용 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유아가 성장하면서 학습하고 발달하는 데에 유아교사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러한 유아교사는 보육 및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7]. 특히, 영유아와 유아교사의 상호작용 관계는 영유아가 성장하는 과정속에서 타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해야하는 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이해하기 위한 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11].
유아교사의 창의성이란?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못지않게 창의성도 필요하다.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유아교사 스스로 교육 목표와 일의 운영을 여러 가지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교수법을 수행하여 창의적으로 가르치는(teaching creatively) 교수학습 전략이다[31].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창의적인 교수법을 가지고 있는 유아교사들은 교수행동을 할 때 자발적이며, 내적인 동기유발이 일어나 스스로 내적 보상을 받게 된다[32].
유아교육 기관의 교사들이 유아들의 과학영역을 가장 기피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유아들은 일상생활의 경험을 통하여 과학기술과 과정을 쉽게 적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 기관의 교사들은 과학적 소재, 과학수준, 과학 방법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여 과학을 어려운 영역으로 여기면서 유아들의 과학영역을 가장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5]. 이러한 환경은 결국 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적 지식 부족과 교재·교구의 부족 등의 문제점으로 이어지면서 유아의 과학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 M. Lee, "An Investigation of Science Anxiety of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No.1 pp. 385-406, 2004. 

  2. E. J. Rohaan, R. Taconis, W. M. Jochems, "Analysing teacher knowledge for technology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Vol.22, No.3 pp. 271-280, 2012. 

  3. K. M. Lee, "A Study of the Effect of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Interactive Approach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Concepts, Process skills, and Attitud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1 No.4 pp. 1261-284, 2000. 

  4. M. H. Kang,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lay Behavior in Kindergarten Interest Center", Symposium of Gwangju Health College, Vol.28 pp. 79-94, 2003. 

  5. H. Y. Moon, A Study on children's play preference in their interest center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2002. 

  6. Y. J. Lee, Science education at kindergarten: analysis of its realities and problems. Master's Thesis, Kungnam University of Korea, 2000. 

  7. K. M. Rudasill, "Child temperament,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from first to third grad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26, No.2 pp. 147-156, 2011.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ay care center evaluation certific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9. B. J. Kang, Y. S. Paik,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burn out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Vol.12, No.1 pp. 145-168, 2013. 

  10. W. Y. Im, S. H. Ah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Parent Partnership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8, No.4 pp. 323-350, 2011. 

  11. M. S. Kwon, H. J. Moon,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on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9 pp. 277-296, 2013. 

  12. S. Y. Seo, A Study on Science-Related Experiences and Attitude b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of Kindergarten Teacher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7. 

  13. E. J. Lee, B. K. Cho,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 model for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0, No.2 pp. 405-429, 2010. 

  14. YO, Kim, GR, Lee, HJ Cho, GA, Cha,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Activity Anxiety, Attitude, an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ir Scientific Knowledge Level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7 No.1 pp. 99-115, 2012. 

  15. J. W. Lee, J. I. Park, "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NURI, for ages 3-5 in child 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3, No.6 pp. 339-365, 2013. 

  16. L. Enchos, I. M. Riggs,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ol.90, No.8 pp. 694-706, 1990. 

  17. A. Bandura, "Self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5 pp. 28-32, 1997. 

  18. L. Enchos, I. M. Riggs,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ol.90, No.8 pp. 694-706, 1990. 

  19. H. R. Kim, "Eff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of attitude toward science and knowledge about scienc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3, No.2 pp. 281-296, 2013. 

  20. H. J. Kim, D. J. Na,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fficacy Belief and Interactions of Teachers and Children",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2, No.2 pp. 111-128, 2006. 

  21. E. J. Rohaan, R. Taconis, W. M. Jochems, "Analysingteacher knowledge for technology education in primary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Design Education, Vol.22, No.3 pp. 271-280, 2012. 

  22. J. H. Noh,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Appeared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2 No.1 pp, 93-117, 2011. 

  23. J. Johnston, Early explorations in science. UK: McGraw-Hill Education, 2005. 

  24. B. K. Cho, S. H. Baeck, E. J. Lee, "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esented in a "Float or Sink" Activit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5, No.6 pp. 59-85, 2005. 

  25. S. Halliwell, "Teacher creativity and teacher education",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pp. 67-78, 1993. 

  26. A. Cropley,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2nd ed). London: Kogan page, 2004. 

  27. S. M. Oh,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eacher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of Korea, 2012. 

  28. Y. S. Paik, B. J. Kang, "The relations a betwe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creativit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9, No.2 pp. 179-200, 2014. 

  29. B. K. Cho, S. Y. Seo,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ing Practices and Children's Science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Vol.21, No.3 pp. 622-634, 2001. 

  30. Y. S. Paik, H. T. Kim, "Validation of the Self Rating Scal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2 No.3 pp. 111-128, 2008. 

  31. H. T. Kim, Y. S. Paik,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and Teacher's Efficac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3 No.3 pp. 51-67, 2009. 

  32. K. S. Yoo, "Analysis of differences formed from playdough activities based on constructivism as a scientific concept , processing skills and attitude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methods of construc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4 No.1 pp. 175-197 2000. 

  33. Y. S. Paik, W T. Kim, "Validation of the Self Rating Scal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2 No.3 pp. 111-128, 2008. 

  34.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 1173-1182, 1986. 

  35. B. K. Cho, S. Y. Seo,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ing Practices and Children's Science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Vol.21, No.3 pp. 622-634, 2001. 

  36. M. S. Kwon, H. J. Moon,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on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9 No.4 pp. 277-296,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