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D-galactosamine에 의해 간 손상이 유도된 흰쥐에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추출물이 손상된 간세포의 개선 및 회복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 조사하였다. 다슬기 추출물은 간 손상에 따른 간 조직 내 국소적 지방 변성과 염증세포 침윤을 크게 감소시켜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슬기 추출물은 간 손상 지표 효소인 AST와 ALT, LDH 및 ALP의 증가된 효소 활성을 대조군 수준으로 완화시키며, 간 조직 내 지질과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감소시켜 간 손상으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조직 내 지질 함량을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더불어 다슬기 추출물은 염증반응을 촉진시켜 조직상해 및 괴사를 유도하는 $TNF-{\alpha}$의 발현을 억제시키며, 염증 시 세포를 보호하는 HO-1의 발현을 촉진시켜 염증 반응에서 손상된 세포를 대조군 상태의 세포로 회복시키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다슬기 추출물은 간조직의 괴사 및 섬유화를 회복시키고 혈액 내 효소의 활성과 조직 내 지질 함량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인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있어 간 손상으로 인한 간세포의 개선 및 회복에 효과가 높은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있다.
본 연구는 D-galactosamine에 의해 간 손상이 유도된 흰쥐에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추출물이 손상된 간세포의 개선 및 회복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 조사하였다. 다슬기 추출물은 간 손상에 따른 간 조직 내 국소적 지방 변성과 염증세포 침윤을 크게 감소시켜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슬기 추출물은 간 손상 지표 효소인 AST와 ALT, LDH 및 ALP의 증가된 효소 활성을 대조군 수준으로 완화시키며, 간 조직 내 지질과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감소시켜 간 손상으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조직 내 지질 함량을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더불어 다슬기 추출물은 염증반응을 촉진시켜 조직상해 및 괴사를 유도하는 $TNF-{\alpha}$의 발현을 억제시키며, 염증 시 세포를 보호하는 HO-1의 발현을 촉진시켜 염증 반응에서 손상된 세포를 대조군 상태의 세포로 회복시키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다슬기 추출물은 간조직의 괴사 및 섬유화를 회복시키고 혈액 내 효소의 활성과 조직 내 지질 함량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인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있어 간 손상으로 인한 간세포의 개선 및 회복에 효과가 높은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torative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 on damaged liver cells induced by D-galactosamine in rats. Treatment of damaged liver cells with S. libertina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local fatty degeneration, and inflammatory cell necrosis,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torative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 on damaged liver cells induced by D-galactosamine in rats. Treatment of damaged liver cells with S. libertina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local fatty degeneration, and inflammatory cell necrosis, to levels similar with the undamaged control group. In addition, S. libertina extracts were found to reduce plasma levels of liver damage indicator enzymes, such as AST, ALT, LDH and ALP, to control levels. It also reduced lipid peroxides, and lipid contents within damaged liver tissues. This suggests that S. libertina extract has a restorative effect on liver cells, thus reducing release of damage-associated liver enzymes, and oxidative degradation of lipids. Also, S. libertina extracts were found to be involved in recovery of damaged cells from inflammatory response by suppressing expression of $TNF-{\alpha}$, which leads to tissue injury and necrosis, whereas inducing expression of HO-1 that protects cells during inflammation. Thus, S. libertina extract restores liver tissue from necrosis and fibrosis, as well modulates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against liver damage. Our findings suggest that S. libertina extract is an effective medicinal resource, for improving and recovering liver cells from hepatic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torative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 on damaged liver cells induced by D-galactosamine in rats. Treatment of damaged liver cells with S. libertina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local fatty degeneration, and inflammatory cell necrosis, to levels similar with the undamaged control group. In addition, S. libertina extracts were found to reduce plasma levels of liver damage indicator enzymes, such as AST, ALT, LDH and ALP, to control levels. It also reduced lipid peroxides, and lipid contents within damaged liver tissues. This suggests that S. libertina extract has a restorative effect on liver cells, thus reducing release of damage-associated liver enzymes, and oxidative degradation of lipids. Also, S. libertina extracts were found to be involved in recovery of damaged cells from inflammatory response by suppressing expression of $TNF-{\alpha}$, which leads to tissue injury and necrosis, whereas inducing expression of HO-1 that protects cells during inflammation. Thus, S. libertina extract restores liver tissue from necrosis and fibrosis, as well modulates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against liver damage. Our findings suggest that S. libertina extract is an effective medicinal resource, for improving and recovering liver cells from hepatic injury.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 D-galactosamine을 투여하여 간 손상을 유발한 후 다슬기 추출물을 급여하여 다슬기추출물이 손상된 간세포에 대한 개선 및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조직학적 관찰, 혈액 내 효소의 활성 및 염증 반응 인자의 변화를 통해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흰쥐의 경동맥으로부터 채혈된 혈액 내 AST (aspartate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LDH(lactate dehydrogenase) 및 ALP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AST와 AST 분석은 Reitman-Frankle(1957)의 방법에 따라 조제된 kit (Asan, Kore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LDH의 측정은 Wroblewskin and LaDue (1955)의 방법에 따라 조제된 kit (Sigma-Aldrich, St.
다슬기 추출물이 간세포 손상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실험군별 상대적 TNF-α 발현율과 독성 물질에 대한 염증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각 실험군별 상대적 HO-1의 발현율을 분석하였다. 간은 인체 주요 염증기관으로 다양한 간독소 노출 후 염증 반응은 일련의 병리학적 변화에 관여한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는 경북 안동시 남선면 소재 갈라산에서 채집, 동정하여 사용하였다. 다슬기는 이틀간 해감 과정을 거친 뒤 가식부만을 골라내어공시료에 증류수를 가해 3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추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샘타코에서 4주령된 수컷 흰쥐(Sprague-Dawley)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사육실에서 온도 21.4±0.05℃, 습도 61%, 명암은 12시간 주기로 사육하였다. 먹이는 물과 사료(AIN-93G purified rodent diet)를 충분히 섭취하게 하면서 1주일 동안 순치한 뒤 체중이 150±10 g인 흰쥐를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모든 실험은 독립적으로 3회 이상 실시하였으며 각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2.0)로 분석한 후 t-검정을 실시하여 분산과 평균의 동일성 여부를 검정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에 의한 Duncan 검정을 실시하여 p값이 0.05 미만일 때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성능/효과
(2011)은 아세트아미노펜으로 간독성을 유발시킨 후 계혈등(Spatholobicaulis)의 물 추출물을 처리하면 현저하게 증가되었던 AST,ALT, LDH 및 ALP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간 보호 효과가 있을 것이라 시사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도 D-galactosamine로 인해 현저하게 상승된 간 손상 지표효소인 AST와 ALT, LDH 및 ALP 활성이 다슬기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어 다슬기 추출물이간 손상에 대한 개선 및 회복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2010)은 theanine이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간 내 과산화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theanine를 처리한 실험군의 과산화지질도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을 보여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간 손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D-galactosamine로 인해 현저하게 증가된 지질과 과산화지질 함량은 다슬기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다슬기 추출물이 간 내 지질 축적을 대폭 완화시키고 있어 간의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2010)은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실험군의 혈중 TNF-α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치자 (Gardeniajasminoides)를 투여함에 따라 혈중 TNF-α의 활성이 크게 감소되었으며 유전자 발현도 억제되어 간 보호 효과가 높다고 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도 다슬기 추출물은 손상된 간세포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TNF-α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율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킴으로서 손상된 간조직의 개선 및 회복에 관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도 다슬기 추출물은 손상된 간세포에서 HO-1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을 촉진하여 손상된 간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슬기 추출물은 손상된 간조직에서 TNF-α의 발현을 억제하고, HO-1 발현은 촉진시킴으로서 손상된 간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서 다슬기의 용도는?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는 우리 주변 호수나 하천 및 시냇가에서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패류로 오래 전부터 가식부를 식용으로 사용해 왔다. 다슬기는 한방학적으로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의 치료 및 개선에 사용되어 왔다(Kim et al. 1985), 이와 같은 다슬기의 효능에 따라 국내산 다슬기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활성에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Kim et al.
간질환의 발병 원인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인 간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 주요 영양 성분의 대사와 약물 대사, 해독 작용, 면역 기능 및 담즙 분비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간은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및 약물 등에 의하여 손상을 받게 되면 급성간염이 유발되기도 하며, 염증반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간섬유화, 간경변 및 간암 등으로 유도되는 만성간염으로 진행되기도 하여 결국 회복하기 힘든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Lee and Friedman 2011).이와 같이 간질환은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간을 보호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 것은 간질환의 발병과 치료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
현재 간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것은?
간질환은 인체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지만 간의 보호 및 치료를 위한 특효약이나 기능성 소재에 관해서는 많은 정보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다. 현재 간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silymarin, DDB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arginine, gluthathione 및 UDCA (ursodeoxycholic acid) 등이 있으며,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의 세포배양을 통해 세포배양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salidroside가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Park et al. 2015), 유효 용량뿐 아니라 정확한 약리효과에 대한 기초연구는 미약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35)
10.1139/y59-099 BlighEG and WJ Dyer.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 Can. J. Biochem. Physiol.37:911-917.
10.1016/0003-2697(76)90527-3 BradfordMM .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 Anal. Biochem.72:248-254.
CherkasovVS and NS Nemchenko. 1978. Determination of the activity of blood serum alanin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s (ALT, AST) in various forms of hearing disorders . Zh Ushn Nos Gorl Bolezn.23:220-228.
10.13050/foodengprog.2017.21.2.158 ChoKH , HJ Choo, MG Seo, JC Kim, YJ Shin, GH Ryu, HY Cho, CY Jeong and YS Hah. 2017.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s from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on liver cell toxicity and ethanol metabolism . Food Eng. Prog.21:158-166.
10.1002/hep.22592 CuberoFJ and N Nieto. 2008. Ethanol and arachidonic acid synergize to activate Kupffer cells and modulate the fibrogenic response via tumor necrosis factor alpha, reduced glutathione,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dependent mechanisms . Hepatology48:2027-2035.
10.3746/jkfn.2010.39.3.350 EuJB , SO Kim, TJ Seoung, SG Choi, SH Cho and CY Choi. 2010. Protective effect of theanine on the acetaminophen- induced hepatotoxicity . J. Korean Soc. Food Sci. Nutr.39:350-355.
10.1016/S0021-9258(18)64849-5 FolchJ , L Mee and GSH Stanley. 1975.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 J. Biol. Chem.226:497-509.
10.1016/j.brainres.2004.03.004 HongSS , GT Gibney, M Esquilin, J Yu and Y Xia. 2004. Effect of protein kinase on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cortical neurons during hypoxia . Brain res.1009:195-202.
10.2174/1389450111009011541 ImmenschuhS , E Baumgart-Vogt and S Mueller. 2010. Heme oxygenase-1 and iron in liver inflammation: a complex alliance . Curr. Drug Targets11:1541-1550.
10.3746/jkfn.2002.31.3.516 JeonTW , ES Lee, YS Lee, OK Ham, MH Park, KJ Kim and HJ Kim. 2002.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emisulcospira libertina and garlic on the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 J. Korean Soc. Food Sci. Nutr.31:516-520.
JungHC , JS Sin, EJ Kim, SH Shin, JY Jang, KS Shin, YB Kim, JK Kang and SY Hwang. 2004. Protective effect of Lycii fructus extract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 Korean J. Lab. Ani. Sci.20:187-193.
KimOK . 2001.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of Diospyrus kaki folium against hepatotoxicity in carbon tetrachloride intoxicated rat . J. Korean Soc. Food Sci. Nutr.30:97-101.
10.5657/kfas.2009.42.5.434 KimYK , HS Moon, MH Lee, MJ Park, CW Lim, HY Park, JI Park, HD Yoon and DH Kim. 2009. Biological activities of seven melania snails in Korea . Kor. J. Fish. Aquat. Sci.42:434-441.
KimYH , TK Lee and YS Cha. 1985. Studies on the nutritive component of black snail ( Semisulcospira libertina ) . Bull. Agric. College Chonbuk Univ.16:101-105.
10.1136/jcp.7.4.322 KindPR and EJ King. 1954. Estimation of plasma phosphatase by determination of hydrolysed phenol with amino antipyrine . J. Clin. Pathol.7:322-326.
LeeIW , HS Choi and SM Kim. 2011.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Spatholobi caulis water extract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toxicity in rats . Korea J. Herbol.26:65-73.
10.5352/JLS.2005.15.3.461 LeeJH , SC Chi, SH Kim, YH Shin and JW Choi. 2005. Protective effect of DWP-04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D-galactosamine . J. Life Sci.15:461-467.
LeeMH , YK Kim, HS Moon, YA Kim, NY Yoon, CW Lim, HY Park and DH Kim. 2010. Antioxidant activities of five melania snails of the genus Semisulcospira in Korea . Kor. J. Fish. Aquat. Sci.43:188-194.
LeeTJ and KJ Min. 2010. The effect of Allium sativum L. extract on hepatic function if rats with CCl4-induced (hepatic) injury . J. Kor. Acad. Industr. Coop. Soc.11:1936-1942.
10.1016/j.bpg.2011.02.005 LeeUE and SL Friedman. 2011. Mechanisms of hepatic fibrogenesis .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25:195-206.
10.1021/np2003935 LeeWC , HA Jung, JS Cjoi, YS Kim and SM Lee. 2011. Protective effect of luteolin against apoptotic liver damage induced by D-galactosamine/lipopolysaccharide in mice . J. Nat. Prod.74:1916-1921.
10.3746/jkfn.2006.35.10.1336 LeeYM , JJ Lee, HD Shin and MY Lee. 2006. Protective effects of Chaenomeles sinensis Koehne extract on ethanol- induced liver damage in rat . J. Korean Soc. Food Sci. Nutr.35:1336-1342.
LeeYS , OK Han, TW Jeon, ES Lee, KJ Kim, CW Park and HJ Kim. 2002. Effect of Astragali radix extract on acetaminophen- 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J. Physiol. Pathol. Korean Med.16:707-713.
10.1016/0014-4800(70)90075-4 LeschR , W Reutter, D Keppler and K Decker. 1969. Liver restitution after acute galactosaminee hepatitis: autoradiographic and biochemical studies in rats . Exp. Mol. Pathol.12:58-69.
10.1042/bj1070637 MaleyF , AL Tarentino, JF McGarrahan and R Giacco. 1968. The metabolism of D-galactosamine and N-acetyl-D-galactosamine in rat liver . Biochem. J.107:637-644.
OhSY , JS Lee, SH Seo, TS Kim and JY Ma. 2011. Paeonia lactiflora Pall prevents H2O2-induced hepatotoxicity by increasing HSP72 and HO-1. J. Physiol. Pathol . KoreanMed.25:843-848.
10.1016/0003-2697(79)90738-3 OhkawaH , N Ohishi and K Yagi.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 Anal.Biochem.95:351-358.
10.3746/jkfn.2008.37.2.177 ParkJY , CM Park, JJ Kim and YS Song. 2008.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dandelion ( Taraxacum officinale ) water extract against D-galactosamine-induced hepatitis in rats . J. Korean Soc. Food Sci. Nutr.37:177-183.
10.7732/kjpr.2015.28.5.551 ParkYM , JA Kim, CH Kim, JH Lim and EW Seo. 2015. Effect of cultured Acer tegmentosum cell extract against hepatic injury induced by D-galactosamine in SD-rats . Korean J. Plant Res.28:551-560.
10.5352/JLS.2015.25.5.539 ParkYM , JH Lim, JE Lee and EW Seo. 2015. Protective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 on induced hepatitis in rats . J. Life Sci.25:539-547.
10.1093/ajcp/28.1.56 ReitmanS and SA Frankel. 1957.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s . Am. J. Clin. Pathol.28:56-63.
ShinJK , HY Kim and SM Lee. 2010. Protective effect of Gardenia jasminoide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hepatotoxicity . Yakhak Hoeji54:55-61.
10.1006/taap.2001.9304 SimeonovaPP , RM Gallucci, T Hulderman, R Wilson, C Kommineni, M Rao and MI Luster. 2001. The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liver toxicity, inflammation, and fibrosi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 Toxicol. Appl. Pharmacol.177:112-120.
10.3181/00379727-90-21985 WroblewskinF and JS LaDue. 1955.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in blood . Proc. Soc. Exp. Biol. Med.90:210-213.
ZieveL , WR Anderson and R Dozeman. 1988. Hepatic regenerativeenzyme activity after diffuse injury with galactosamine: relationship to histologic alteration . J. Lab. Clin. Med.112:575-582.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