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PA 기법을 통한 교사들의 유아권리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인식 차이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Young Children's Right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4, 2018년, pp.1 - 24  

고은경 (동아대학교 휴먼라이프리서치센터) ,  강진주 (원광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regarding young children's rights. Methods: 171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권리에 대하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IPA 분석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의 내용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생명권과 발달권은 1사분면과 3사분면에 걸쳐 넓게 분포하였으며, 특히 3사분면에 발달권의 대부분과 생명권의 일부가 넓게 분포하여 중요도와 기관수행도를 모두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이 영역이 인식 및 실천의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부분이라고 해석할 것을 제안하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중요도-수행도 분석)분석 기법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 근무기관에서 유아 인권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동시에 보여주고자 한다. IPA 분석은 1977년 Martialla과 James가 각각의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판단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개발한 간단한 그래픽 도구이다(Abalo, Varela, & Manzano, 2007).
  • 축의 기준은 각 차원의 평균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인권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기관수행도 인식의 차이를 전체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편, IPA 그래프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소비자 인식에 대한 분석과 달리 유아의 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중요하게 고려되고 기관에서의 수행력도 높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또한, 실증적 연구에서도 유아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영유아권리에 대한 인식 기준이 상이하였다(김호현, 장희선, 20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4가지 권리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의 차이를 교사 경력 및 권리교육 경험 여부에 따라 전반적으로 비교하고, 더불어 이러한 배경에 따라 교사의 인식 수준이 달라지는 세부적인 권리 내용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아 보고자 한다.
  • IPA를 분석 기법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밝힌 연구(이유미, 안지혜, 2014a)가 있으나, 이는 어린이집 맥락에서 아동권리를 존중하는 보육 수행을 일상의 존중, 개인의 존중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어 UN이 명시한 4가지 아동권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드러내지 못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권리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통해, 교사가 유아권리 보장을 위해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한 내용을 파악하여 유아권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유아를 자율적인 한 개인으로 성장시키는 교육적 환경은 보호적 접근의 개입이나 발달단계에 ‘맞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많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발달하고자 하는 의지, 특히 자율적이고 책임있는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유아기의 연령을 고려하여 다양한 발달권 보장 내용을 고안하고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 따라서 유아기에 4가지 기본권이 개념적으로 균형 잡힌 교사 인식 및 수행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발달권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제안한다. 최근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권리 인식 척도(조숙영, 원혜경, 2016)가 개발되어 유아교육기관이라는 일상에 최대한 부합하는 내용으로 구성 되었다.

가설 설정

  • 1) 유아권리 문항별 유아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기관수행도 인식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권리는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UN의 아동권리는 4가지 기본권으로 구성되는데, UN이 표명한 4가지 기본 원칙을 토대로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다(황옥경, 2010). 아동권리는 기본적으로 만 18세 미만 아동의 기본적인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차별금지의 원칙(협약 제2조), 아동의 최선의 이익의 원칙(협약 제3조), 아동의견 존중의 원칙(협약 제12조), 생명․생존 및 발달의 원칙(협약 제6조)을 토대로 생명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의 4가지 권리로 구성된다. 먼저, 생명권은 아동에게 안전한 주거지, 충분한 영양과 기본적인 보건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하는 권리이며, 보호권은 학대, 방임, 폭력 등 위해로부터 아동이 보호받을 권리이다.
IPA 분석이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중요도-수행도 분석)분석 기법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 근무기관에서 유아 인권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동시에 보여주고자 한다. IPA 분석은 1977년 Martialla과 James가 각각의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판단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개발한 간단한 그래픽 도구이다(Abalo, Varela, & Manzano, 2007). 이후, 이 방법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지만, 기본적으로 IPA 분석은 4분면에 각 변수의 평균을 중심으로 각각의 요인을 펼쳐 보이고, 각 4분면에 대한 해석적 규준을 제안한다.
UN의 아동권리의 4가지 기본권은 어떤 권리인가? 아동권리는 기본적으로 만 18세 미만 아동의 기본적인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차별금지의 원칙(협약 제2조), 아동의 최선의 이익의 원칙(협약 제3조), 아동의견 존중의 원칙(협약 제12조), 생명․생존 및 발달의 원칙(협약 제6조)을 토대로 생명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의 4가지 권리로 구성된다. 먼저, 생명권은 아동에게 안전한 주거지, 충분한 영양과 기본적인 보건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하는 권리이며, 보호권은 학대, 방임, 폭력 등 위해로부터 아동이 보호받을 권리이다. 발달권은 교육, 여가, 문화생활 등 아동이 자신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데 필요한 권리이며, 참여권은 아동이 자신의 생활과 관련된 일에 대해 의견을 표명하고 존중받으면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로 설명된다(유니세프한국위원회,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누리과정: 교사용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 강인숙, 이희경 (2016). 유아교사의 인성과 전문성 발달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0(4), 49-66. 

  3. 강진주, 고은경 (2018). 유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써 기록화의 가능성: 기록화에서 유아의 참여 역할에 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751-774. doi:10.22251/jlcci.2018.18.3.751 

  4. 구미향, 황소영 (2014).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7), 119-137. 

  5. 김민환 (2016). 수업에 관한 저경력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과정상의 주요 문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335-358. 

  6. 김정래 (1999). 아동권리협약 채택 10주년과 한국 아동의 권리. 아동과 권리, 3(2), 7-11. 

  7. 김정화 (2014).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343-364. 

  8. 김정화 (2017). 유아 권리관련 연구동향 분석. 아동교육, 26(4), 185-206. doi:10.17643/KJCE.2017.26.4.10 

  9. 김진숙 (200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진숙, 서혜정 (2011).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2), 51-79. 

  11. 김태윤, 김미숙 (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교사의 유아권리인식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08, 97-122. 

  12. 김현자 (2008). 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논의의 접근방법과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97-221. 

  13. 김현진, 신은수 (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학력 및 전공, 자격유형, 과거 직업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239-259. doi:10.24211/tjkte.2008.25.3.239 

  14. 김호현, 장희선 (2017).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침해 인식의 모호성과 그 근거에 관한 혼합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1(2), 169-194. 

  15. 대한민국정부 (2017). 제5.6차 유엔아동권리협약 국가보고서. http://incrc.org/column/?uid12&moddocument&pageid1에서 2018년 5월 12일 인출. 

  16. 문선화 (2015). 한국사회에서의 아동의 발달권. 동광, 110, 3-38. 

  17. 배송희 (2010). 유아권리 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성찰과 영유아의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213-232. 

  19. 신은정 (2016).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511-535. doi:10.22154/JCLE.17.4.22 

  20. 양순경 (2012). 유아권리에 대한 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21(2), 181-196. 

  21. 유니세프한국위원회,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한국 아동의 놀권리 현주소와 대안. 서울: 사단법인 유니세프한국위원회. 

  22. 유니세프한국위원회 (n.d.). 유엔아동권리협약. http://www.unicef.or.kr/education/outline_01.asp에서 2018년 5월 10일 인출. 

  23.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 (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윤진희 (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명순, 이은주 (2013).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아동과 권리, 17(2), 265-284. 

  26. 이미숙 (2010).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 인식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영애, 곽정인 (2013).영유아권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988-1003. doi:10.5392/JKCA.2013.13.11.988 

  28. 이용교 (2004). 영유아보육시설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의 참여권의 신장방안. 아동과 권리, 8(2), 169-188. 

  29. 이유미, 안지혜 (2014a).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569-591. 

  30. 이유미, 안지혜 (2014b).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3), 239-259. 

  31. 이은영 (2001). Katz의 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유아교사의 전문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혜경 (2010).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경력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4(5), 287-314. 

  33. 장원주, 이화도 (2017). 유아인권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6(2), 327-347. doi:10.17643/KJCE.2017.26.2.16 

  34. 정진이 (2014). 보육교사의 인권의식 및 민감성과 영유아 학대 인식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조숙영, 원혜경 (2016).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1165-1185. doi:10.22251/jlcci.2016.16.11.1165 

  36. 주한수 (2005). 초등학교 아동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황옥경 (2010). 아동권리교육의 실태 분석. 아동과 권리, 14(4), 677-706. 

  38. Abalo, J., Varela, J., & Manzano, V. (2007). Importance values for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formula for spreading out values derived from preference ranking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0(2), 115-121. doi:10.1016/j.jbusres.2006.10.009 

  39. Dahlberg, G., Moss, P., & Pence, A. (2007).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Languages of evaluation (2nd ed.). NY: Routledge. 

  40. Hart, R. A. (2008). Children's participa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volving young citizens in community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are. NY: Earthscan. 

  41. Hart, S. N., & Zeidner, M. (1993).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s: early findings of a cross national projec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2), 165-188. doi:10.1163/157181893X00043 

  42.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doi:10.1086/460731 

  43. Koo, M. H., & Hwang, S. (2014). 유아교사의 유아인권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7), 119-137. 

  44. Shier, H. (2001). Pathways to participation: Openings, opportunities and obligations. Children & Society, 15(2), 107-117. doi:10.1002/chi.617 

  45. Sinclair, R. (2004). Participation in practice: Making it meaningful, effective and sustainable. Children & Society, 18(2), 106-118. doi:10.1002/chi.817 

  46. Stern, R. (2006). The child's right to participation - Reality or rhetori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ppsala University, Uppsala, Sweden. 

  47. Wall, J. (2011). Can democracy represent children? Toward a politics of difference. Childhood, 19(1), 86-100. doi:10.1177/09075682114067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