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학업성취,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asswide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4, 2018년, pp.55 - 62  

정인숙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0회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셀프리더십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확인을 위한 원시실험연구로,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Mann-Whitney U와 Kruskal-Wallis 검정 결과, 변수의 평균 순위값의 영향요인은 입학동기였다. Wilcoxon Signed Ranked Test 결과, 실험처치 전후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1),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인지적 전략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중 관계촉진의 평균순위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20; p=.040),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96, p=.041). 본 연구 결과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고,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에 효과가 있는 중재로 볼 수 있으나, 대상자 수를 확대하고, 대조군을 설정한 유사실험연구로 실험결과를 재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primitive experimental study to find effects of 10 times classwide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nn-Whitney U and Kruskal-Wallis test using SPSS/WIN 19.0, the motive of admission was th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0회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된 단일군 원시실험연구이다. 실험처치 중 2회의 학업성취평가와 실험처치 전후 구조화된 설문지로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10회의 전학급동료교수법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원시실험설계로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셀프리더십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학급동료교수학습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다음의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학업성취,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적성에 따라 간호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평균순위값이 앞서 있었는데, 이는 유사한 연구가 없어 직접 비교할 수 없으나 중학생들의 적성과 학업성취도 관계의 연구에서 적성이 높은 과목의 학업성취도가 높았다는 연구결과는 비록 대상자에 있어 차이가 있지만, 최근 취업난으로 적성과 무관하게 간호학과에 입학하는 경향에 대해 간호학과 입학 전 진학지도 시 고려의 필요성을 시사한다[11].
  • 이에 본 연구는 전학급동료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셀프리더십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료교수학습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수자의 강의만으로 이루어지는 수업과는 달리 동료교수학습은 동료학생이 다른 동료를 가르치는 학습법으로, 동료교수자는 스스로 학습자료를 준비하고 구성하여 가르침으로써 학습에 더 관심을 갖게 되고, 동료학습자는 친근한 동료교수자로부터 가르침을 받음으로 부담없이 질문하며 학습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스스로 학습과정을 조직화하여 참여함으로써 서로간의 의사소통과정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인간관계를 맺게 된다.
셀프리더십은 무엇인가?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들은 간호대학생들이 스스로의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고 동기부여하면서 자기주도적인 삶에 임하는 과정인 셀프리더십의 강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1,4]. 자기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여 내면의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셀프리더십은 간호학 이론학과목의 학습 뿐 아니라 간호실무에서 업무수행이나 직무만족을 통해 업무성과 산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함양을 위한 교육은 필수적이라 하겠다[4].
동료교수학습의 효과는 무엇인가? 교수자의 강의만으로 이루어지는 수업과는 달리 동료교수학습은 동료학생이 다른 동료를 가르치는 학습법으로, 동료교수자는 스스로 학습자료를 준비하고 구성하여 가르침으로써 학습에 더 관심을 갖게 되고, 동료학습자는 친근한 동료교수자로부터 가르침을 받음으로 부담없이 질문하며 학습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스스로 학습과정을 조직화하여 참여함으로써 서로간의 의사소통과정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인간관계를 맺게 된다. 동료교수학습 중 전학급동료교수는 강의실 내의 모든 학생이 4~5명으로 구성된 집단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을 하는 학습법으로,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모든 학생이 참여하게 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S. Yi & K. A. Kim. (2012).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Employment Strateg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6(2), 19-39.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175537 

  2. I. S. Jung. (2016). The Converging Effects of Complete Science Subjects in High School on the Grades of Basic Nursing Sciences and Major Nursing Subjects of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97-106. http://dx.doi.org/10.15207/JKCS.2016.7.5.097 

  3. I. S. Jung. (2017). Convergence Research on the Studying Science Subjects before Entrance to Nursing department, the Scores of Basic Nursing Sciences and Academic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17-125.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09108 

  4. J. Y. Choi. (2016).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Daejeon. 

  5. Y. S. Lee, S. H. Park & J. K. Kim. (2014).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6), 229-240. http://www.riss.kr/link?idA100031648 

  6. P. V. Broca & M. A. Ferreira. (2018). Nursing team communication in a medical ward.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71(3), 951-958. DOI: 10.1590/0034-7167-2017-0208. 

  7. H. K. Cho & I. S. Jung. (2018).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45-52.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31760 

  8. Y. H. Kim, I. S. Kweon, K. D. Kim, K. M. Park, H. S. Park, H. S. So, W. S. Lee, K. S. Chang, B. R. Jeong & E. H. Choi. (2016).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 Cases in nursing education. Seoul : Fornurse. 

  9. K. Iwata, D. S. Furmedge, A. Sturrock & D. Gill. (2014). Do peer-tutorsperformbetter in examinations? An analysis of medical school finalexamination results. Medical Education. 48(7), 698-704. DOI: 10.1111/medu.12475. 

  10. T. Y. Chung.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Managers' Life-Long Education Coaching Leadership and Its Memb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11. S. H. Kim.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p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2. C. L. Donohoe, J. B. Conneely, N. Zilbert, M. Hennessy, S. Schofield & J. V. Reynolds. (2015). Docemur Docemus: Peer-Assisted Learning Improves the Knowledge Gain of Tutors in the Highest Quartile of Achievement but Not Those in the Lowest Quartile. 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72(6), 1139-1144. DOI: 10.1016/j.jsurg.2015.07.001 

  13. K. E. Lee & E. H. Choi. (2017). Pre-Post Simulation Training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confidence and Critical thinking Skill in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Degree of Self-leadership.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3(1), 66-75. http://www.riss.kr/link?idA102875984 

  14. K. H. Kim & E. H. Hwang. (2016). Influence of Ego-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 Leader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2), 436-445. http://dx.doi.org/10.5762/KAIS.2016.17.2.436 

  15. S. J. Lee. (2013).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6. E. J. Bong. (2013)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were utilized Group Activ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10), 394-402. http://www.koreacontents.or.kr 

  17. M. Ravanipour, M. Bahreini1 & M. Ravanipour. (2017). Exploring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peer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4, May 2015. http://www.jehp.net on Thursday, July 27, 2017, IP: 210.125.253.4] 

  18. J. H. Tai, B. J. Canny, T. P. Haines & E. K. Molloy. (2017). 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Peer Learning: An Observational Study of Medical Students on Clinical Placement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29(1), 13-24. DOI: 10.1080/10401334.2016.1165101. Epub 2016 May 4. 

  19. S. Sevenhuysen, M. K. Farlie, J. L. Keating, T. P. Haines & E. Molloy. (2015). Physiotherapy students and clinical educators perceive several ways in which incorporating peer-assisted learning could improve clinical placements: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Physiotherapy, 61(2), 87-92. DOI: 10.1016/j.jphys.2015.02.015. Epub 2015 Mar 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