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태움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Tae-um in Nurse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482 - 491  

정선경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의 태움 개념분석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한 개념 정의를 내리고자 시도되었다. Walker and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태움의 속성은 조직문화, 피해자인 미숙한 신규 간호사, 가해자인 선임 간호사, 가르침의 변질, 언어적, 신체적 폭력경험, 심리적, 신체적 증상으로 도출되었다. 간호사의 태움의 선행요인은 간호업무 과다, 높은 노동 강도, 직무 스트레스, 인력 부족, 열악한 근무 환경, 신규 간호사의 업무 능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함, 조직의 위계질서, 힘의 불균형이었으며 결과는 신체적, 심리적 증상, 간호업무 효율 저하, 불신 증가, 이직의도 증가, 환자 간호의 질 하락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태움의 선행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활동 간호인력 확충을 위한 근로조건 개선, 사회적지지 프로그램 제공, 의사소통과 상호협력 관계를 지향하는 공동체 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후 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더 많은 질적 연구와 태움의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개발 연구, 태움 문화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태움의 선행요인을 제시하여 해결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신규간호사 적응 프로그램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attributes of nurses' Tae-um based on the conceptual analysis method of Walker and Avant. The attributes of nurses' Tae-um were derived from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experienced new nurses that are victims, senior nurses that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전에 실시된 직장 내 괴롭힘 개념분석은 혼종모형을 적용한 연구로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간호현장의 직장 내 괴롭힘 개념을 도출하였으나[16] 본 연구는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사례를 들어 개념의 이해를 도운데 의의가 있다. 괴롭힘이나 갈굼으로 현재의 간호계의 문제 현상인 태움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리라 생각되어 간호사의 태움 개념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간호사의 태움은 간호단위 내에 존재하는 조직문화로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영향요인이다[14].
  • 본 개념분석의 목적은 ‘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고 명확한 개념적 정의를 내리는데 있다.
  • 본 연구는 Walker & Avant(1983)의 개념분석틀에 근거하여[18] 간호현장에서 발생하는 태움에 대한 개념 정립과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된 개념분석연구로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적응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진행하였다.
  • 이후 태움의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 개발연구와 태움 문화 개선을 위한 전략 및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태움 개념분석을 통해 나타난 선행요인을 제시하여 해결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신규간호사 적응을 돕고 신규간호사 적응 프로그램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이해를 분명히 하고자 진행된 개념분석연구이다. 태움은 간호사들 사이에 사용되어온 용어이지만 그 의미가 모호하며 갈굼, 괴롭힘으로 표현되어 왔다.
  • 개념은 이론의 벽돌이라 불릴 만큼 이론의 구조를 탄탄하게 하는 구조물로 확실하고 명확하게 명명되고 구조가 정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18]. 이에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규명함으로서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적응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태움의 선행요인으로 확인된 신규간호사의 업무능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함은 선행연구에서 3년 미만 신규간호사의 업무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근무 부서경력이 높은 그룹이 업무능력이 높음을 확인한 연구[29]를 통해 논의를 하고자 한다. 개인은 새로운 일을 배우는데 드는 시간과 경험을 통해 성숙하고 지식을 획득하며 자신이 하는 일에 가치를 부여하면서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30].
  • 간호사의 태움은 간호단위 내에 존재하는 조직문화로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영향요인이다[14]. 태움의 선행요인을 확인하여 그 해결방법을 논의하여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적응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태움이 나타난 원인은 무엇인가? 간호사의 태움의 속성은 조직문화, 피해자인 미숙한 신규 간호사, 가해자인 선임 간호사, 가르침의 변질, 언어적, 신체적 폭력경험, 심리적, 신체적 증상으로 도출되었다. 간호사의 태움의 선행요인은 간호업무 과다, 높은 노동 강도, 직무 스트레스, 인력 부족, 열악한 근무 환경, 신규 간호사의 업무 능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함, 조직의 위계질서, 힘의 불균형이었으며 결과는 신체적, 심리적 증상, 간호업무 효율 저하, 불신 증가, 이직의도 증가, 환자 간호의 질 하락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태움의 선행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활동 간호인력 확충을 위한 근로조건 개선, 사회적지지 프로그램 제공, 의사소통과 상호협력 관계를 지향하는 공동체 문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간호사의 태움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Walker & Avant(1983)의 개념분석틀에 근거하여[18] 간호현장에서 발생하는 태움에 대한 개념 정립과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된 개념분석연구로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적응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진행하였다. 개념분석을 통해 확인된 간호사의 태움의 정의는 권력관계와 위계질서가 존재하는 병원에서 업무능력이 미숙한 신규간호사가 선임간호사의 변질된 가르침인 폭력을 경험하고 신체적·심리적 증상을 겪는 것이다. 개념분석을 위한 문헌고찰 시 최근 언론에 등장하는 것에 비해 태움에 관한 문헌수가 적었는데, 태움을 경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더 많은 질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가 국내 문헌으로 진행된 점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선배 간호사가 신규간호사의 성장을 기다리고 이끌어줘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경험이 적은 신규간호사가 자신의 몫을 담당할 수 있을 때까지 신규간호사의 성장을 기다려줄 수 있는 아량과 이끌어줄 수 있는 역량도 필요하다. 간호조직체는 함께 일을 하는 공동체이며 환자 안녕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진 조직이기 때문이다[28]. 그리고 신규간호사의 성장을 기다리기까지 간호업무를 보조해줄 수 있는 유동적인 인적자원도 확보되어야 하며 신규간호사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시 개인의 역량 정도에 따른 차별교육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yeong-Hui, Choe, Ha-na, Lee, Concept Analysis of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1 pp. 376-385,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1.376 

  2. Young-Mi Kim, Sang-Nam Kim, The convergence study of Experience of Turnover in new graduate nurses within one yea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97-106, 2016.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6.7.4.097 

  3. Jeong-Hee, Jeong, Mihyang, Choi, Eungyeong, Kim, Young-Hae, Kim, A Convergence Study about Factors Affecting New Nurses Personnel Turnov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9. No 2. pp. 73-83, 2018.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2.073 

  4. Sang Sook, Han, In Soon, Sohn, Nam Eun, Kim,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Vol. 39, No. 6. pp. 878-887, 2009.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78 

  5. Mi-Ja, Yoo,. Jong-Kyung, Kim, A Structural Model of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Job Embeddednes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2 No. 3, pp. 292-302, 2016.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3.292 

  6. Cimiotti JP, Aiken LH, Sloane DM, Wu ES. Nurse staffing, burnout, and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vol 40, No 6, pp. 486-490. 2012. DOI: https://doi.org/10.1016/j.ajic.2012.02.029 

  7. Jones CB, Gates M. The costs and benefits of nurse turnover: Abusiness case for nurse retention.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Vol 12, No 3, 2008. 

  8. Jeong-Hye, Park. Turnover Reduction Strategy of New Graduate Nur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8, pp. 833-842, 2017.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7.08.44 

  9. Seo-Young Lee1, Soon-Rim Suh.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4 pp. 317-324,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4.317 

  10. Bo-Mi, Im, Jong-Min, Park, Mi-Jin, Kim, Su-Yeon, Kim, Jeong-Ho, Maeng, Lu-Li, Lee, Kyung-Ah, Kang,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Turnover Experience of Novice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4 No. 4, 313-322, 2015.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5.24.4.313 

  11. So-Young, Park.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ing Workplace Supply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Vol 6, No 1. pp 31-54, 2018. DOI: https://doi.org/10.14729/converging.k.2018.6.1.31 

  12. JiMin, Shin, YangJoonh, Kim, "Professor ${\rightarrow}$ Major ${\rightarrow}$ Nurse...A bruised medical community With a grinding, 2017.11.1.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general/819005.html 

  13. DaeIn, Woo, "Nurses 'Taewoom'(bullying in the workplace) still...Many of them in their early years can't stand it and quit their jobs." 2017.6.14. http://news.joins.com/article/21664754 

  14. Jiyeon, Kang, Minju, Lee, The Related Factors to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alt Nursing, Vol. 28, No. 4, pp. 399-414, 2016.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6.28.4.399 

  15. Ji-yeon Kang, Seon-young Yun,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Nurses' Experience with Workplace Bully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6, No. 2, pp. 226-237, 2016.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6.46.2.226 

  16. Youn-ju, Lee, Eun-Jin, Lee, Conceptual Development of Workplace Bullying: Focusing o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 and Promotion, Vol. 31, No. 1, pp. 57-71, 2014. DOI: http://dx.doi.org/10.14367/kjhep.2014.31.1.57 

  17. Sun-Hwa; Choeng, In-Sook, Lee, Qualitative Research on Nurses Experiencing Taeoo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5, No. 3, pp. 238-248, 2016.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6.25.3.238 

  18. Lorraine Olszewki, Walker, Kay Coalson, Avant (Original author), Gasil, Oh, Insook, Lee, Soonyoung, Cho, (Co-translation),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pp. 227-249. Seoul, Jeongdammidia, 2014. 

  19. National Korean Language Standard Dictionary,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0. Eun-Jung, Kim, Yu-Jong, Kim, Ji-hoo, Hwang, Hyun-Seok, Cho, Kyung-Ho, Kim, Seung-Deok, Lee, Kap-Sung, Kim, Study of the Density of Smoke and Harmful Gases of Adhesive Indirect Moxibustion, Journal Korean Oriental Medicine, Vol. 33, No. 1, pp. 42-51, 2012. 

  21. Byung-Jin, Na, Sang-Do, Ha, Effectiveness and Safety of Salt, Food Science and Industry, Vol. 42, No. 2, pp. 60-73, 2009. 

  22. DaYoung, Park, Shoes go flying... The secret of a nurse's locker room, http://www.ohmynews.com/NWSWeb/View/at_pg.aspx?CNTN_CDA0002066070 

  23. Haeng-Mi, Son, Moon-Hee, Ko, Joon-Mi, Kim, Jin-Ha, Moon,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1, No. 6, pp. 988-997, 2001. 

  24. Hyun-Ran, Shin, Young-Chae, Cho,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Joru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8, pp. 3958-3970,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958 

  25. Young-Ran, Yeun, Job Stress, Burnou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Joru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8, pp. 4981-4986,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8.4981 

  26. Eun-Kyung, Park. Moder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and Leadership between Antecedents and Burn-out and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Inje University, Seoul, 2011. 

  27. Seung-hye, Choi, In-sun, Jang, . Seung-mi, Park, Hae-young, Le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0, No 2, pp. 206-214, 2014.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2.206 

  28. Myun-Sook, Jung, Kwang-Ok, Park, Se-Young, Kim, Eun-Kyung, Kim, Jong-Kyung Kim, Eun-Jun Park, Nursing management, pp. 106-177, Hyunmoonsa, 2018. 

  29. Jeong-Ah, Cho, Kyung-Hee, Chung. Effect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ing Unit Managers Servant Leadership on the nurses job performanc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5, No. 2, pp. 37-48. 2015. DOI: http://dx.doi.org/10.14257/AJMAHS.2015.04.36 

  30. Hun-seok, Oh, Eun-mo, Sung, Jin-hyun, Bae, Mun-ju, Seo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i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op Experts from General Experts in Company Context.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0, No. 4, pp. 105-135, 2009. 

  31. Jeong-Hwa Park, Su-Kyoung Chung.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0 pp. 236-244,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0.2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