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 '태움(Taeoom)'에 대한 개념 분석
A Concept Analysis of 'Taeoom' to Newly Employed Nurses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5 no.3, 2020년, pp.1 - 13  

김지원 (경주대학교 간호학과) ,  배성윤 (인제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attributes of 'Taeoom' (or workplace bullying) inflicted to newly employed nurses in Korea. Method: Walker & Avant(2011)'s eight-stage process was used to perform a conceptual analysis of 'Taeoom'. Literature review of 40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태움에 관한 문헌수가 적은 데다 개념분석 연구가 아직 미흡한 상황으로, 태움을 경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더 많은 질적 연구와 함께 태움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포함해 보다 포괄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사 태움에 관한 기존의 개념분석연구가 문헌고찰에만 의존한 데 반해, 본 연구는 최근의 문헌을 고찰함과 동시에 문헌에서 드러나지 않는 태움의 질적 경험을 반영하기 위해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도출된 개념 속성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자 실무자와 전문가의 검토를 거침으로써 태움의 개념에 관한 보다 종합적인 관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 문헌검색은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학술문헌 검색엔진 RISS와 DBpia의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모두 검색하여 총 47건의 문헌이 검색되었다. 검색대상 문헌의 출판년도 범위는 2009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최근 10년으로 한정하였으며, 이는 임상현장의 지속적인 환경 변화와 인구사회학적 요구를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개념 분석 의미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 모델 사례 개발에 필요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경북지역 G대학교 간호학과 졸업자를 대상으로 졸업생 간담회를 실시하였는데, 이들 졸업생 중 임상에서 ʻ태움ʼ의 경험이 있는 졸업생들 위주로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해당 사례는 본인의 동의를 받은 후 9명의 ʻ태움ʼ 경험사례를 심층면담을 토대로 자가 기술하도록 하였다.
  • 문헌고찰과 간호학과 졸업생들의 사례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경력간호사의 신규간호사에 대한 ʻ태움(Taeoom)ʼ 행위로 인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 본 연구는 Walker & Avant[9]의 개념분석 틀을 활용하여 신규간호사에 대한 ʻ태움(Taeoom)ʼ 경험의 개념을 분석하여 그 속성을 정의하고,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하여 간호사들 간의 ʻ태움(Taeoom)ʼ 행위 근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Walker & Avant[9]의 개념분석틀에 근거하여 간호현장에서 발생하는 태움의 개념을 정립하고 관련 속성과 선행요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진행된 개념분석연구로,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적응과 간호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Walker & Avant[9]의 개념분석틀을 적용하여 직장 내 괴롭힘과 유사한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 간호조직 내의 ʻ태움ʼ 현상에 관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이해를 분명히 하고자 진행된 개념분석연구로서 간호사들 간의 태움 문화 근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출된 태움(Taeoom)ʼ의 개념 속성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자 간호학 교수 3인, 교육학 박사 1인, 20년 이상 임상근무 간호사 1인, 신규간호사 1인에게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개념 속성과 연구결과를 전자우편으로 전송하거나 직접 면담을 통하여 내용 타당도를 재확인하였다. 내용타당성 확보를 위한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는 <표 3>과 같다.
  • ʻ태움(Taeoom)ʼ과 ʻ직장 내 괴롭힘ʼ의 개념적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ʻ태움(Taeoom)ʼ의 경우 대상자의 대다수가 신규간호사들이며 취업 후 일정시기에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경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간호조직문화에서의 ʻ태움(Taeoom)ʼ 과 ʻ직장 내 괴롭힘(Workplace bullying)ʼ 간에 개념적 의미 차이를 구분할 필요성이 있겠다[2]. 이에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에 대한 ʻ태움(Taeoom)ʼ 행위의 속성을 파악하여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직장 내 괴롭힘(Bullying)과의 개념적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간호조직문화 전반에 깔려있는 ʻ태움ʼ의 특수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근무를 가려고 생각하면 가슴이 두근거리며 불안해졌다. 병원에서 일할 생각만 하면 가슴이 답답해지고 출근하기가 너무 싫고 ʻ저기 옷걸이에 목을 매면 죽으니까 내일 병원 안 가도 돼ʼ, 운전을 하면서는 ʻ그냥 확 사고를 내고 병원을 가지 말까?ʼ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는 근무 중에도 집중이 되지 않고 머리가 멍해지고 실수를 할까봐 겁부터 나고 의료 사고를 낼까봐 두려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움과 유사한 단어로는 무엇이 있는가? ʻ태움ʼ과 유사한 단어인 직장 내 괴롭힘은 직장 내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주로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으로 모욕적이며 위협적이고, 겁먹게 하여 자책하게 만드는 지속적인 행동이라고 정의되고 있다[13].
태움은 무엇을 의미하는 단어인가? 최근 들어 한국의 대형 종합병원에서 발생한 신규간호사의 잇따른 투신자살로 인해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과중한 업무 부담,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면서 ʻ태움(Taeoom) 문화ʼ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1]. 일반적으로 ʻ태움(Taeoom)ʼ은 한국의 간호사 간에 벌어지는 ʻ직장 내 괴롭힘(Bullying)ʼ 또는 ʻ심신의 폭력ʼ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그 의미와 수준이 점차 확대되어 신조어로 자리 잡고 있다[2].
ʻ태움(Taeoom)ʼ 행위로 인한 결과 네 가지는 무엇인가? • 첫째, 신체적 증상으로 위장 장애 및 수면곤란, 두통을 공통적으로 호소하였다. • 둘째, 감정적 증상으로 집중력 감소, 약물남용,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자살의도와 기도 등의 부정적 감정이 생겨났다고 하였다. • 셋째, 업무와 조직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져 이직의도가 증가하였다. • 넷째, 간호업무 성과면에서는 간호업무의 비효율성과 간호조직문화에 대한 부적응 상태로 전반적인 간호서비스의 질이 낮아진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an EH, Ha YM.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consequ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6;22(3):303-312. 

  2. Cheong SH, Lee IS. Qualitative research on nurses experiencing Taeoom.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6;25(3):238-248. 

  3. Lee EM. Impact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on nursing service quality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elf concept [Master's thesis]. Jeonbuk: Woosuk University;2017. 

  4. Sune CJ, Jung MS. Concept analysis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Journal of KOEN 2014;8(4)299-308. 

  5. Kang JY, Yun SY. A ground theory approach on nurses' experience with workplace bullying. J Korean Acad Nurs 2016;46(2)226-237. 

  6. Han JH, Yoo EK. The study of preceptor nurses' occupational stress and burden. Korean J Stress Res 2018;l26(1)38-45. 

  7. Yeun YR. A research of workplace bullying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KAIS 2015;16(12)8341-8349. 

  8. Lee YJ. The conceptu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new instruments to measure bullying in nursing workplace. [dissertation]. Seoul: Inha University;2016. 

  9. Walker & Avant. Walker LO, Avant KC.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11. 

  10. Lee MJ, Kim MJ. Concept analysis and volition for health behavior practice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J Korean Acad Nurs 2016;6(5)687-696. 

  11. Common Sense Dictionary. Parkmungak. 

  12. Lee YJ, Lee EJ. Conceptual development of workplace bullying: focusing o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1)57-70. 

  13. Leymann, Heinz. Mobbing and Psychological Terror at Workplaces. Violence Vict 1990;5(2):119-126. 

  14. Choi SE, Lee SS, Kim SD. Relationships of workplace bullying to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3;22(4):267-274. 

  15. Seo MS, Kim JH.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KSW 2017;12(2):105-115. 

  16. Ham Y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hospital new nurses. [dissertation]. Incheon: Inha University;2018. 

  17. Kang JY, Yun SY, Won YH, An YS.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place bullying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4;7(2):24-33. 

  18. Oh HJ, Uhm DC. The Clinical nurse's attack in the workplace. Korean J Adult Nurs 2013;12(90):1. 

  19. Kang JY, Lee MJ. Pooled preval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6;9(1):51-65. 

  20. Han MR, Gu JA, Yoo IY.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leader-member exchang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4;20(4):383-393. 

  21. Tett, R. P., Meyer, J. P.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 Psychol 1993;46(2):259. 

  22. Kim HJ, Park DH.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1);241-252. 

  23. Seo MS, Kim JH.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KSW 2017;12(2):105-115. 

  24. Jo EA, Kang JY.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graduate nurses. J Muscle Jt Health 2015;22(2)78-86. 

  25. Jeong SK. Concept analysis of Tae-um in Nurses. JKAIS 2018;19(8):482-491. 

  26. Jung HJ.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Taeoom among nurses. JCCT 2019;5(4):157-169. 

  27. Hong AR, Lee SY, Cheong JO.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conflicts on workplace bullying among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9;17(8):321-327. 

  28. Cheong JO.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ilence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mong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0;18(1):169-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