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성가치관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xual Values Scale f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1 no.2, 2018년, pp.98 - 107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이소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sexual values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8 university students for three months from March 15th to June 15th, 2016.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was done in the following order: develop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성가치관 측정도구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의 자아개념을 조사하였다. 이는 자아개념 역시 자아가치관을 의미하며 가치관 형성과 상호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이기 때문이다[16].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대학생의 성가치관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절실하므로 이를 위한 예비도구를 개발하고 그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성가치관에 대해 파악하고 추후 이들의 올바른 성가치관의 정립을 돕는 간호중재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의 특징은? 성(Sexuality)은 인간의 전 생애 과정에서 중심축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복합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성은 성행위, 성 정체감과 성 역할, 성적 인식력, 관능성, 쾌락, 친밀감, 생식 등을 포함하는 한 개인의 핵심적인 요소로 삶의 기본 권리이다[1]. 또한 성은 단순히 성적 본능을 충족하는 성행위에 국한되지 않고 신체를 이용한 자기표현으로, 사회적 과정에 필요한 의사소통 양식으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존재감을 느끼는 수단이 된다[2].
성이란 무엇인가? 성(Sexuality)은 인간의 전 생애 과정에서 중심축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복합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성은 성행위, 성 정체감과 성 역할, 성적 인식력, 관능성, 쾌락, 친밀감, 생식 등을 포함하는 한 개인의 핵심적인 요소로 삶의 기본 권리이다[1].
우리나라 대학생의 성가치관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대학생의 성 관련 연구들은 성의식[8], 성태도[9], 그리고 성행동[10] 등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아직 이들을 포괄하여성(sexuality)을 개인의 가치관(value)으로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11,12]. 또한 지금까지 성 관련 연구에 사용된 도구들은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번역한 것들이다. 따라서 우리 문화권에서 대학 생의 변화된 성가치관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성가치관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필요하며 이는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ller AM. Uneasy promises: Sexuality, health, and human righ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1;91(6):861-864. 

  2. Cho JH. The politics of women's identity.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000;16(2):207-209. 

  3. Hurlock EB. Adolescence development(McGraw-Hill series in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Book; 1973. p. 245-392. 

  4. Lee HY, Park S. Study on consciousness & values of sexu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Education. 2001;2(1):53-65. 

  5. Kim HH, Kim TH. The family value changes and educational enforcement in the low fertility period.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2008;1(1):21-35. 

  6. Cha ES.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 sexua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98;12(2):357-375. 

  7. Jung BM. Values and education. Seoul: Baeyoungsa; 1992. p. 5-180. 

  8. Kim SH, Yoon WC. Sexual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2):248-257. 

  9. Lee YM, Lee YH. The differences of sexual attitudes and sexual behaviors based on the married women's type of orgasm and orgasmic disorder.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2;17(1):31-51. 

  10. Kim NH, Park YJ, Jung HS.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5;7(2):17-42. 

  11. Shearman SM. Culture, values, and cultural variability: Reviews of hofstede, inglehart, and schwartz's universal value framework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2008 May 22-26; TBA, Montreal. Quebec. 

  12. Kim GY, Oh JL. A study of on the sexual knowledge, sexual consciousness and values of university student.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Education. 2014;15(1):1-13. 

  13. Cho BJ. An investigation into the values of Korean peopl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1989;18 (2):365-402. 

  14. Waltz CW, Bausell RB.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Philadelphia: F.A. Davis; 1981. p. 39-100. 

  15. William B, Onsman A, Brown 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ve step guide for novices. Journal of Emergency Primary Health Care. 2010;8(3):1-13. 

  16. Markus H, Wurf E. The dynamic self concept: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1987;38:299-337. 

  17. Song IS.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self-concept. Korean Society Educational Evaluation. 2004;17(2):1-25. 

  18. Choi HC. The study of the effect of self 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for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0. p. 6-28. 

  19. Oh YH. Study on sexuality education for future healthy gener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124:37-54. 

  20. Shin GH, Kang MH.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esteem on sexual attitude and the meditator effect of sexual consciousness. Studies in Humanities. 2013;37:489-518. 

  21. Kaestle CE, Allen KR. The role of masturbation in healthy sexual development: Perceptions of young adults. Archives of Sexual Behavior. 2011;40(5):983-994. https://doi.org/10.1007/s10508-010-9722-0 

  22. Fahs B, Frank E. Notes from the back room: Gender, power, and (In) Visibility in women's experiences of masturbation. Journal of Sex Research. 2014;51(3):241-252. https://doi.org/10.1080/00224499.2012.745474 

  23. Rosenberg M. Self-concept research: A historical overview. Social Forces. 1989;68(1):34-44. https://doi.org/10.1093/sf/68.1.34 

  24. Ryu JM, Kim JK. A validation study of self-concept inventory: Focused on self-concept congruenc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9;10(1):125-142. 

  25. Kim HJ, Jo YJ.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values, self-concepts,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5;53(2):107-137. 

  26. Lee EO, Lim NY, Park HA, Kim JI, Bai JY, Lee SM.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2009. p. 32-190. 

  27. Taris TW, Semin GR, Bok IA. The effect of quality of family interaction and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values on sexual permissivenes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998;159(2):237-250. 

  28. Kim SH.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on sexual attitude on adolescent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12. p. 48-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