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의료센터 내원객의 호흡기 감염예방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Knowledge and Behavior of Visitors in the Prevention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an Emergency Service, Hospital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5 no.3, 2018년, pp.210 - 219  

조명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  문경자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숙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ergency setting visitors' knowledge and behavior patterns in relation to prevention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visitors to the emergency service in 'D' general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의 내원객을 대상으로 호흡기 감염예방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감염예방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응급의료센터의 호흡기 관련 감염예방, 감염관리 및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질병관리센터와 다르게 우리나라의 감염예방을 위한 지침과 규정 및 관리 기준은 어떤 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가? 한편 미국질병관리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 의하면 호흡기 감염예방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감염차단을 위한 격리 통제뿐만 아니라, 의료인과 호흡기 감염 환자와 접촉하는 보호자 및 방문객에 대한 감염관리교육을 권고하고 있다[9]. 그러나 국내의 각종 감염예방을 위한 지침과 규정 및 관리 기준은 의료인의 치료적 관리 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있고, 환자나 보호자에 관한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10,11].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병원감염관리의 수행과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감염예방을 위한 주기적인 반복교육이 지식을 높여 수행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12,13], 표준화된 지침을 적용하여 교육하고 전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14].
호흡기 감염이란? 호흡기 감염은 환자나 보균자의 감염균이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전파되어 감염되는 질병을 말한다[1]. 응급의료센터는 호흡기 감염 증상을 가진 지역사회의 환자들이 일차적으로 찾는 장소로서 호흡기 감염을 병원과 지역사회로 확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질병의 전파 방지에 책임이 있으며[2,3], 호흡기 전염병 고 위험군의 조기발견 및 예방교육, 호흡기 전염병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응급의료센터은 어떤 책임을 가지고 있는가? 호흡기 감염은 환자나 보균자의 감염균이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전파되어 감염되는 질병을 말한다[1]. 응급의료센터는 호흡기 감염 증상을 가진 지역사회의 환자들이 일차적으로 찾는 장소로서 호흡기 감염을 병원과 지역사회로 확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질병의 전파 방지에 책임이 있으며[2,3], 호흡기 전염병 고 위험군의 조기발견 및 예방교육, 호흡기 전염병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이러한 응급의료센터는 한 공간 내 환자가 밀집되어 있어 면역 저하 환자, 비 감염 환자 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방문객에게도 호흡기 전염병의 위협이 존재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Internet]. Seoul: KCDC; 2017 [cited 2017 March 20].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intro/CdcKrIntro0505jsp?menuIdsHOME001-MNU1154-MNU2557-MNU2487&fid7947&cid72771. 

  2. Martel J, Bui-Xuan EF, Carreau AM, Carrier JD, Larkin E, Vlachos-Mayer H, et al. Respiratory hygiene in emergency departments: Compliance, beliefs, and perceptio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3;41(1):14-18. https://doi.org/10.1016/j.ajic.2011.12.019 

  3. Rothman RE, Hsieh YH, Yang S. Communicable respiratory threats in the ED: tuberculosis, influenza, SARS, and other aerosolized infections.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2006;24(4):989-1017. https://doi.org/10.1016/j.emc.2006.06.006 

  4. Rothman RE, Irvin CB, Moran GJ, Sauer L, Bradshaw YS, Fry RB, et al. Respiratory hygien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6;48(5):570-582.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06.05.018 

  5. Quach C, McArthur M, McGeer A, Li L, Simor A, Dionne M, et al. Risk of infection following a visit to the emergency department: A cohort stud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12;184(4):232-239. https://doi.org/10.1503/cmaj.110372 

  6. Yoon SY. Deriving the effective improvement elements of the emergency room in large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5;8(2):66-79.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nforcement rule of emergency medical care law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6 March 1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78880#0000. 

  8. Cheong CH, Seo YM, Lee SH, Kang JJ. Improvement of airborne infection prevention methods in emergency room by design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6;23(3):433-442. https://doi.org/10.21086/ksles.2016.03.23.3.433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Interim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recommendations for hospitalized patients with Middle East Respirator Syndrome Coronavirus [Internet]. Atlanta, GA: CDC; 2015 [cited 2016 March 15]. Available from: http://www.cdc.gov/coronavirus/mers/downloads/MERS-Infection-Control-Guidance-051414.pdf. 

  10. Turnberg W, Daniell W, Seixas N, Simpson T, Van Buren J, Lipkin E, et al. Appraisal of recommended respiratory infection control practices in primary care and emergency department setting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8;36(4):268-275. https://doi.org/10.1016/j.ajic.2007.08.004 

  11. Kim KN, Lee OC.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nurses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Response to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4):402-410. https://doi.org/10.7739/jka fn.2016.23.4.402 

  12. Suh YH, Oh HY. Knowledge, perception, safety climate, and compliance with hospital infection standard precaution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1):61-70. 

  13. Oh HS. National survey on nurses'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in general hospitals and analysis of variables to impact on their knowledge.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5;10(2),78-86. 

  14. Yoo JY, Oh EG, Hur HK, Choi MN. Level of knowledge on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3):232-243. https://doi.org/10.7475/kjan.2012.24.3.232 

  15. Kim SJ, Kang JY. Emergency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measur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3):351-361. 

  16. Park HJ. A study on emergency room nurses' knowledge, safety climate,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for infection control. Daegu: Kyungpook University; 2016. p. 1-48. 

  17. Shon JA, Yang YR, Park JH.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for influenza infection control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2):161-171. https://doi.org/10.7739/jkafn.2016.23.2.161 

  18. Harding AD, Almquist LJ, Hashemi S. The use and need for standard precautions and transmission-based precautio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11;37(4):367-373. https://doi.org/10.1016/j.jen.2010.11.017 

  19. Yoon SW, Kim OS. Pregnant women's Knowledge and compliance about pre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n. Korean Journal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3;18(1):7-14. https://doi.org/10.14192/kjnic.2013.18.1.7 

  20. Kim OS.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prevention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mong workers in geriatric facilities. Korean Journal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5;20(2):61-69. https://doi.org/10.14192/kjnic.2015.20.2.61 

  21. Kwon IS, Seo YM. Knowledge and practice on infection prevention of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Parent Child Health. 2010;13(2):102-109. 

  22. Lee DW, Kwon IS.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prevention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9;15(3):306-313. https://doi.org/10.4094/jkachn.2009.15.3.306 

  23. You SJ, Choi YK. Institutionalization of a patient-sitter program in acute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6):370-37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370 

  24. Kim JG, Seo HB. Infection control in triage space of emergency toom: Based on analysis of healthcare facility standard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016;22(4):97-104. https://doi.org/10.15682/jkiha.2016.22.4.97 

  25. Kim IO. A study on heal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respiratory 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measurement of It's effec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4;10(1):66-79. 

  26. Kim JH, Byeon DH, Kim MJ, Sim SS, Choo HS, Chai GJ, et al. Handwashing and preventive measures for new types of Influenz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1):16-22. 

  27. Park MK, Ko YS, Park KI.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n management for child guardians with respiratory infections after H1N1 diffusion (200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nd Health Nursing. 2011;17(1):1-9.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1.1 

  28. Park HJ, Lee YM.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out respiratory system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mong ICU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3;15(2):949-963. 

  29. Ryu SM, Kang SY. Effect of an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of infection and hand washing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2010;4(2):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