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및 수입산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amino acid content of domestic and imported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6 no.3, 2018년, pp.208 - 212  

김경제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임승빈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  김소망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준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서현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중범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산과 중국산 능이버섯과 송이버섯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채취지역에 따른 능이버섯과 송이버섯의 식품학적 품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송이버섯의 조회분 함량은 중국 티벳산이 5.52%, 운남 5.40%, 연길 6.95%, 한국 양양 6.40%로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지방 함량은 한국 양양산이 1.19%로 가장 낮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중국 티벳산이 16.83%로 가장 낮아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송이버섯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중국 연길 $11,490.14{\pm}892.07mg%$, 중국 운남 $8,000.03{\pm}2072.65mg%$, 티벳 $6,815.48{\pm}771.82mg%$, 한국 양양 $6,074.74{\pm}814.86mg%$ 순으로 나타났다. 능이버섯의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총아미노산 함량은 한국산과 중국산 시료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결과 조회분 함량을 중국 남방지역(티벳, 운남) 송이버섯과 한국 양양 및 중국 북방(연길) 송이버섯의 구분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무기질 성분에 대한 추가 실험을 통해 지표 무기질 도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otal amino acid contents in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to compare the food quality according to production area. The crude ash contents in Tricholoma matsutake from Yanji (China), Yangyang (Korea), Tibet (China), and Yunnan (Chi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중국에서 수입된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산과 중국산 송이버섯과 능이버 섯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채취지역에 따른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의 식품학적 품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산과 중국산 능이버섯과 송이버섯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채취지역에 따른 능이 버섯과 송이버섯의 식품학적 품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송이버섯의 조회분 함량은 중국 티벳산이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은 무엇인가? 버섯은 우산모양의 자실체를 가진 담자균류로(Yoo et al, 2005) 영양성과 기능성이 밝혀져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 되고 있으며 인공재배기술의 발달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terrobang, 2011). 향, 맛 그리고 영양성이 뛰어난 버섯은 당류, 단백질, 아미노산, 효소 등 주요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오래전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Brereene, 1990; Chang and Miles, 1989).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의 다른 이름은 무엇인가?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은 맛과 향기가 뛰어나며 식감이 우수하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대만 등에서 채취, 소비되고 있다(Ku et al, 2002).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은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의 굴뚝버섯과(Telephoraceae)에 속하고 약리작용과 향기가 뛰어나 향 버섯이라 지칭되고 있다(Kang et al, 2000).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은 저칼로리 영양식품으로 다량의 정미 성분, 아미노산을 함유하고(Park, 2008; Lee et al, 2002) 항암활성, 항균작용, 혈전용해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rk, 2008; Hwang and Lee, 2005; Kim et al, 2009; Kang et al, 2011; Keum et al, 2004).
우리나라와 중국 등 아시아지역에서 자연채취만 가능하여 상품적 가치가 높은 2가지 버섯과 그 효능은 무엇인가?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은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의 굴뚝버섯과(Telephoraceae)에 속하고 약리작용과 향기가 뛰어나 향 버섯이라 지칭되고 있다(Kang et al, 2000). 송이버섯과 능이버섯은 저칼로리 영양식품으로 다량의 정미 성분, 아미노산을 함유하고(Park, 2008; Lee et al, 2002) 항암활성, 항균작용, 혈전용해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rk, 2008; Hwang and Lee, 2005; Kim et al, 2009; Kang et al, 2011; Keum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AC.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 210-219, USA. 

  2. Breene W. 1990.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 of specialty mushrooms. J Food Prot. 53: 883-94. 

  3. Chang ST, Miles PG. 1989. Edible mushroom and their cultivation CRC press, New York. 120: 307-312. 

  4. Henderson JW, Ricker RD, Bidlingmeyer BA, Woodward C. 1999. Agilent technical note 5980-1193E. 

  5. Hwang BH, Lee JK. 2005. Antitumor substances from mushrooms. J Kor Fores Engin. 24: 1-12. 

  6. John W. Henderson, Robert D. Ricker, Brian A. Bidlingmeyer, and Cliff Woodward. 2000. Rapid, accurate, sensitive, and reproducible HPLC analysis of amino acids. Agilent Technologies. Part No. 5980-1193E. USA. 

  7. Joo OS. 2008.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Kor J Food Preserv. 15: 864-871. 

  8. Jung HS, Park YN, Yoo YB, Jeon DH, Park KM. 2013. Analysis of nutritiona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Neolentinus lepideus. J Mushroom Sci Prod. 11: 261-268. 

  9. Kang HC, Yun BD, YU SH, Yoo IC. 2000. Chemical structure of th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mushroom Sarcodon aspratus. Can J Chem. 65: 2369-2372. 

  10. Kang MG, Bolormaa Z, Lee JS, Seo GS, Lee JS. 2011. Antihypertensive activity and anti-gout activity of mushroom Sarcodon aspratus. Kor J Mycol. 39: 53-56. 

  11. Keum DH, Ro JG, Hong SR, Park KM, Kim H, Han JW. 2004. Drying equations of Sarcodon aspratus. J Biosystem Engin. 29: 59-64. 

  12. Kim TH, Jo SH, Kim MJ, Yu YB, Jang MH, Park KM. 2012.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al contents of Auricularia spp. J Mushroom Sci Prod. 10: 29-36. 

  13. Kim YE, Yang JW, Lee CH, Kwon EK. 2009.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 Soc Food Sci Nutr. 38: 555-560. 

  14. Korea Forest Service. 2017a. Exportation and importation statistics of forest products. Available at: http://www.forest.go.kr/newkfsweb/kfi/kfs/soft/selectPrTradeList.do?mnKFS_02_03_03_05_01.Accessed Nov. 21. 2017. 

  15. Korea Forest Service. 2017b. Forest Products Research. Available at: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36&tblIdDT_13648_A010&conn_pathI3. Accessed Nov. 21. 2017. 

  16. Ku KH, Cho MH, Park WS. 2002.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volitile flavor compounds in raw and frozen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Kor J Food Sci Technol. 34: 625-630. 

  17. Lee GD, Lee MH, Son KJ, Yoon SR, Kim JS, Kwon JH. 2002. Change in organoleptic properties of chiness cabbage kimchi adding pine mushroom during storage. Kor J Food Preserv. 9: 161-167. 

  18. Maria Paola Bartolomeo, Federico Maisano. 2006. Validation of a reversed-phase HPLC method for quantitative amino acid analysis. J Biomol Tech. 17: 131-137. 

  19. Noh JG, Park JS, Choi JS, Song IG, Yun T, Min KB. 2009. A study of useful wild mushrooms by segregation and identification native in middle area. J Mushroom Sci. 7: 49-56. 

  20. Park ML.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ine-tree mushroom(Tricholoma matsutake Sing.) pickle for the stand'rd recipe. Culi Sci Hos Res. 14: 55-66. 

  21. Park YA, Bak WC, Ka KH, Koo CD.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amino acid content of Lentinula edodes, a new variety of shiitake mushroom, in 'Poongnyunko'. J Mushrooms Sci. 15: 31-37.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terrobang. 2011. Chronicle of mushrooms. Available at: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v/psvr/psvrc/rdaInterDtl.ps?menuIdPS00063&cntntsNo34230. Accessed May. 22. 2018. 

  23. Yoo YB, Kong WS, Oh SJ, Cheong JC, Jang KY, Jhune CS. 2005. Trends of mushroom science and mushroom industry. J Mushroom Sci. 3: 1-23. 

  24. You YH, Yoon HJ, Woo JR, Rim SO, Lee JH, Kong WS, Kim JG. 2011.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let of Pinus densiflora colonized by Tricholoma matsutake. Kor J Mycol. 39: 223-2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