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시스템을 활용한 음악 산업 동향 분석 및 미래가치 전망
Music Industry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rends and Future Prospects 원문보기

방송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23 no.5, 2018년, pp.701 - 713  

고윤화 (국립경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블록체인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동향 파악을 토대로 국내 음악 산업에의 적용 가능성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디지털 뮤직 플랫폼의 변화와 저작권 및 디지털 유통수익 분배 이슈 등에 대해 분석적 고찰을 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시도와 노력은 앞으로 도래할 미래사회의 블록체인 시스템 활용의 성패를 논하기보다는 디지털시대에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는 음악 산업 분야에 있어서 블록체인의 본래적 기능이 어떻게 적용가능하며, 긍정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우리가 노력해야 할 실제적 요소는 무엇인지 고민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블록체인과 암호(가상)화폐의 구조와 주요기능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음악 산업과의 연결고리가 무엇인지, 어떻게 적용가능한지 파악한다. 아울러 시스템을 적용한 몇 가지 사례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국내 음악 산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본고는 테크놀로지의 고도화 과정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음악 산업 특히 국내 음악 산업계의 발전적 방향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데 하나의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the digital music platforms and digital profit distribution issu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application to the Global music industry based on the block chain system. This attempt is not to reveal the success of t...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물 인터넷 기술의 예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는 인터넷 보급 이후, 정보화와 디지털 테크놀로지 발전 및 기술의 고도화에 따른 후속 과정이기도 하며 이 전 시대와는 다른 인간의 삶에 또 다른 변화를 가져올 일종의 전환점이 될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혹자는 앞서 언급한 기술이 실제 우리의 일상적 삶과는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지금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수 있는 것들 예를 들어 어린 아이들을 위한 미아방지용 위치추적 시스템이나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배차간격과 도착시간을 실시간 반영해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만 생각해봐도 새롭게 등장한 사물 인터넷 기술이 이미 우리의 실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처럼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빠른 속도로 인간의 삶의 기저에 흡수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가장 먼저 적용한 플랫폼은 무엇인가? 블록체인 기술을 가장 먼저 적용한 플랫폼은 이미 잘 알려진 비트코인(Bitcoin)이다. 2009년에 만들어진 암호 화폐 (가상화폐)이며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의 논문 (2008)을통해 공식적으로 소개됐다.
비트코인을 처음 소개한 인물은 누구인가? 블록체인 기술을 가장 먼저 적용한 플랫폼은 이미 잘 알려진 비트코인(Bitcoin)이다. 2009년에 만들어진 암호 화폐 (가상화폐)이며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의 논문 (2008)을통해 공식적으로 소개됐다. <그림 2>에서와 같이 암호 화폐 (가상화폐)의 종류는 다양한데 비트코인 이외에도 이더리움 (EthereumㆍETH), 라이트코인(LitecoinㆍLTC), 리플 (XRP), 대시(Dash), 모네로(MoneroㆍXMR), 제트캐시(ZcashㆍZEC), 퀀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 Kim, "The Future of Block Chain Technology Leading Innovation in the Industrial Eco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tnts, Vol.18, No.6, pp.324-332, June, 2018 

  2. N. Satoshi,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2008) 

  3. J. Kim, J. Yoo, A. Lee, C. Lee, Y. Huh, Music Business Bible, BAKHA Publisher, 2016 

  4. H. Kim, "Copyright Protection for AI-generated Musical Works", LAW & TECHNOLOGY, Vol.14, No.2, pp.20-32, March, 2018 

  5. Money Today News, [Block Chain to Change Everyday]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213 13183018401 (accessed: Aug 23, 2018) 

  6. O. Marcus, et al. " Music on the blockchain", 2016 

  7. K. Choi, J. Kim, "Reinventing the revenue model for the content platform",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18, No.7, pp.1267-1280, November, 2017 

  8. S. Park, Special Report, N Contetnts no.3, pp. 52-55, 2017 http://www.kocca.kr/n_content/vol03/vol03_15.pdf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