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 전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에 대해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들의 자기계발과 사회적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 전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에 대해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들의 자기계발과 사회적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resilience, an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2 teachers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resilience, an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2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Jeollabuk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The whole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of resilience, and the whole teacher efficacy did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of resilienc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personal teacher efficacy, material support, and general teacher efficacy acted as significant factors in their whole resilience.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resilience should be backed up by self-improvement of teachers who are able to upgrade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resilience, an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2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Jeollabuk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The whole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of resilience, and the whole teacher efficacy did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of resilienc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personal teacher efficacy, material support, and general teacher efficacy acted as significant factors in their whole resilience.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resilience should be backed up by self-improvement of teachers who are able to upgrade teacher efficacy, and social suppor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지금까지 유아교육분야에서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어 왔으나 사회적 지지와 교사의 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유아교육의 질적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지치지 않고 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회복탄력성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조직의 규모가 작은 유아교육기관의 특성상 영유아교사에게 진행되는 동료교사, 원장의 물질적, 심리적인 도움인 사회적인 지지는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요인으로 간주하여 교사의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이 교수효능감은 관련이 있으며 낙관에 영향을 받은 교사 효능감은 변화와 도전적인 환경에서 긍정적인 적응과 개인적인 발달을 포함하는 역동적 개념을 가진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요인으로 간주하여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와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예비조사는 2017년 7월 3일부터 7월 7일까지 전북 지역(전주시, 군산시) 유치원 교사 및 보육시설 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연구도구의 내용 및 체제의 적절성과 검사의 소요 시간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기관에 방문하여 배부와 회수를 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질문지의 문항 내용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검사에 소요된 시간 또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어 본 조사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조사는 2017년 7월 10일에서 28일까지 전북지역 (전주시, 익산시, 군산시)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에게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조사대상 유아교육기관에 전화를 하여 질문지 작성에 동의를 구한 후 각 기관의 기관장에게 질문지의 내용과 작성방법을 설명 한 후 직접 방문하여 전달하거나 우편으로 배부하고 회수 하였다. 질문지는 총 400부를 배부하여 306부(76.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전북지역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근무하는 교사 400명을 임의표집 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배부된 질문지 중 회수 안 된 질문지, 응답의 불안정하고 검사항목이 누락된 질문지를 제외하고 282부를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전북지역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근무하는 교사 400명을 임의표집 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배부된 질문지 중 회수 안 된 질문지, 응답의 불안정하고 검사항목이 누락된 질문지를 제외하고 282부를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2명의 일반적인 배경을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예비조사는 2017년 7월 3일부터 7월 7일까지 전북 지역(전주시, 군산시) 유치원 교사 및 보육시설 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연구도구의 내용 및 체제의 적절성과 검사의 소요 시간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기관에 방문하여 배부와 회수를 하였다.
본 조사는 2017년 7월 10일에서 28일까지 전북지역 (전주시, 익산시, 군산시)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에게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조사대상 유아교육기관에 전화를 하여 질문지 작성에 동의를 구한 후 각 기관의 기관장에게 질문지의 내용과 작성방법을 설명 한 후 직접 방문하여 전달하거나 우편으로 배부하고 회수 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조사대상 유아교육기관에 전화를 하여 질문지 작성에 동의를 구한 후 각 기관의 기관장에게 질문지의 내용과 작성방법을 설명 한 후 직접 방문하여 전달하거나 우편으로 배부하고 회수 하였다. 질문지는 총 400부를 배부하여 306부(76.5%)를 회수하였고, 응답이 다수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24부의 질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82부 (70.5%)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문항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문항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다. 연구문제 1에서는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문제 2에서는 다중공선성 여부를 검증한 후 Stepwise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독립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판단하기 위해 다중공선성을 분석한 결과, 분산팽창요인(VIF)은 10이하를 보여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회귀분석을 위한 기본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론/모형
사회적 지지 척도는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임진형(2000)이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들의 교사 효능감 척도는 Enochs와 Riggs (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유치원 교사 효능감 측정도구로 수정하여 사용한 이분려(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 효능감의 하위영역은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으로,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복탄력성 척도는 Reivich와 Shatte(2003)가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회복탄력성지수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를 한국형으로 수정, 보완한 김주환(2011)의 한국형 회복탄력성지수검사(KRQ-53) 도구를 하위요인의 문항별 신뢰도 계수가 낮은 9번, 51번 문항을 제외하여 사용한 김수진(2017)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51문항으로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의 3개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각각 세부 하위요인을 포함하고 있다.
성능/효과
각 문항의 측정 방식은 1점에서 5점으로 Likert 5점 척도이다. 긍정적 문항은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을 계산하고, 부정적인 문항은 점수가 5~1점으로 낮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역채점 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표 4와 같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긍정성(r=.42, p<.01), 대인관계능력(r=.37, p<.01), 자기조절능력 (r=.28, p<.01)순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직장내 지지 전체는 회복 탄력성 하위요인인 긍정성(r=.40, p<.01), 대인관계능력 (r=.31, p<.01), 자기조절능력(r=.27, p<.01)순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정보적 지지의 순으로 영향을 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자기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설명력은 20%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효능감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대인관계능력(r=.51, p<.01), 긍정성(r=.46, p<.01), 자기조절능력(r=.43, p<.01 순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직장외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 (r=.22, p<.01), 대인관계능력(r=.34, p<.01), 긍정성 (r=.34, 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능력과 긍정성이 자기조절능력보다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 전체와 사회적 지지 원천에 따른 직장외 지지 전체 (r=.37, p<.01)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능력과 긍정성이 자기조절능력보다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사회적 지지 원천에 따른 직장내 지지가 직장외 지지 보다 높은 정적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1 순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교사 효능감과 정적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과 정적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독립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판단하기 위해 다중공선성을 분석한 결과, 분산팽창요인(VIF)은 10이하를 보여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회귀분석을 위한 기본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정보적 지지가 추가되어 4% 증가한 전체 설명력은 24%였다. 즉, 개인적 교사효능감 (B=.23), 정보적 지지(B=.12)가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정보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영향을 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설명력은 27%였다. 정보적 지지가 추가되어 7% 증가한 설명력은 34%였으며 일반적 교사 효능감이 추가되어 1% 증가한 전체설명력은 35%였다.
표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정보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영향을 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설명력은 27%였다. 정보적 지지가 추가되어 7% 증가한 설명력은 34%였으며 일반적 교사 효능감이 추가되어 1% 증가한 전체설명력은 35%였다. 즉, 개인적 교사효능감(B=.
정보적 지지가 추가되어 7% 증가한 설명력은 34%였으며 일반적 교사 효능감이 추가되어 1% 증가한 전체설명력은 35%였다. 즉, 개인적 교사효능감(B=.30), 정보적지지(B=.12)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중회귀분석 결과, 평가적지지,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의 순으로 영향을 주며, 평가적지지는 긍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설명력은 19%였다.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10%가 증가한 설명력은 29%였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3%가 증가한 설명력은 32% 였으며 물질적 지지가 추가되어 1% 증가한 전체 설명력은 33%였다. 즉, 평가적지지(B=.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10%가 증가한 설명력은 29%였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3%가 증가한 설명력은 32% 였으며 물질적 지지가 추가되어 1% 증가한 전체 설명력은 33%였다. 즉, 평가적지지(B=.19), 개인적 교사효능감(B=.23), 일반적 교사효능감(B=.18), 물질적지지(B=.14)가 높을수록 긍정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영향을 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 전체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설명력은 31%였다. 물질적지지가 추가되어 10%가 증가한 설명력은 41%였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2%가 증가한 전체 설명력은 43%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각 하위변인 및 전체 간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것은 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이 사회적 지지임을 밝혀주는 결과이며 직장 내·외 모두에서 사회적 지지를 받은 유아교사는 회복탄력성이 높아지게 되어 유아교사로서 성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됨을 시사한다.
표 1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영향을 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 전체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설명력은 31%였다. 물질적지지가 추가되어 10%가 증가한 설명력은 41%였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2%가 증가한 전체 설명력은 43%였다. 즉, 개인적 교사효능감(B=.
물질적지지가 추가되어 10%가 증가한 설명력은 41%였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2%가 증가한 전체 설명력은 43%였다. 즉, 개인적 교사효능감(B=.26), 물질적지지 (B=.19), 일반적 교사효능감(B=.11), 물질적지지(B=.14) 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 전체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와 사회적 지지 전체 및 교사효능감 전체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관계는 각 하위요인 및 전체 간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긍정성과 가장 높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와 사회적 지지 전체 및 교사효능감 전체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관계는 각 하위요인 및 전체 간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긍정성과 가장 높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복탄력성 하위 요인과 정적상관 관계가 있으며 긍정성과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길현주, 김수영(2016)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며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임을 밝힌 질적 연구들(박은혜, 전샛별, 2010; 이진화 외, 2010)과 같은 맥락이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원천에 따른 직장내 지지와 직장외 지지 전체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지지원천별 사회적지지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장내 사회적 지지가 직장외 사회적 지지 보다 높은 상관을 나타냈지만 직장내 사회적 지지와 직장외 사회적 지지 모두 회복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 냈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원천에 따른 직장내 지지와 직장외 지지 전체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지지원천별 사회적지지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장내 사회적 지지가 직장외 사회적 지지 보다 높은 상관을 나타냈지만 직장내 사회적 지지와 직장외 사회적 지지 모두 회복탄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 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내 사회적 지지가 직장외 사회적 지지보다 직무스트레스를 낮춘다는 임진형(2000) 의 연구결과와 연결되는 것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 각 하위요인 및 전체 간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수효능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회복력성과 교수효능감 간 각각의 하위요인과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던 이순자와 김진화(2017)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강정희와 안진경(2015)의 연구, 빈윤희(2015), 최수빈(2016)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중요한 이유는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 개인의 심리적 안녕뿐만 아니라 학생의 학업성취, 학교생활 만족등에 영향을 미쳐 교육의 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권수현, 2015). 본 연구에서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아동에 대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어려운 상황에서도 아동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갖고 수업활동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교육의 질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리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 전체는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리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 전체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리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 전체는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리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 전체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복탄력성이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냈고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는 빈윤희(2015)연구와 이순자와 김진화(2017)의 연구와 같은 맥락이다.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조절력에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정보적지지가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자기조절력은 개인적효능감, 정보적지지가 높을수록 높짐을 알 수 있다. 대인관계능력에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정보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대인관계능력에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정보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대인관계능력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정보적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높아질수록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긍정성에서는 평가적지지,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물질적지지가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긍정성에서는 평가적지지,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물질적지지가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긍정성은 평가적지지, 개인적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물직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 임을 알 수 있었다.
즉, 긍정성은 평가적지지, 개인적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물직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 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회복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이순자와, 김진화 (2017), 빈윤희(2015)의 연구와도 같은 맥락이며 물질적지지는 긍정성과 회복탄력성 전체에, 평가적지지는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회복탄력성 전체에 영향력을 주었다는 김정희 외(2014)의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McClland(1978)는 교실수업에서 오는 다양한 좌절과 실망의 경험으로부터 높은 교사효 능감을 유지하고 지원받을 수 있는 자기연수, 계획과 목표수립, 단체지원 등 교사들의 동기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한석실, 임명희, 2003 재인용). 본 연구에서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영향력 있는 요인임을 볼 때 교사효능감을 유지하고 지원받을 수 있는 교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과 경력에 따라서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교사연수, 경력과 실력에 따른 직위체계의 보장은 교사효능감을 높일수 있으며 이러한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영향력 있는 요인임을 볼 때 교사효능감을 유지하고 지원받을 수 있는 교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과 경력에 따라서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교사연수, 경력과 실력에 따른 직위체계의 보장은 교사효능감을 높일수 있으며 이러한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 교사가 교실에서 문제에 직면 했을 때 문제원인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주고 교사자신의 행위에 대해 인정, 칭찬, 조언과 업무결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를 적극적으로 해주고 보육교사가 업무수행과 관련된 물건이 필요할 때 대가 없이 물건을 빌려주거나 개인적 사정으로 업무를 하지 못할 때 일을 대신해주는 지지가 많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표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중회귀분석 결과, 평가적지지, 개인적 교사효능감, 일반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의 순으로 영향을 주며, 평가적지지는 긍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설명력은 19%였다.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10%가 증가한 설명력은 29%였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추가되어 3%가 증가한 설명력은 32% 였으며 물질적 지지가 추가되어 1% 증가한 전체 설명력은 33%였다.
후속연구
본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모두와 관련성이 있으므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장내,외에서 유아교사가 필요로 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로서의 교수행위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교사효능감을 높여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위의 주장들을 살펴보면 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교실에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교육환경의 질을 저하시키기보다는 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의연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여 영유아교사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회복탄력적인 교사는 영유아에게 안정적인 보호와 환경을 제공하고, 영유아와 지지적인 관계를 통하여 수업에 대한 긍정적이고 높은 기대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기회를 통해 아동 또한 회복탄력성을 형성하게 한다.
교사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이 있다. 교사효능감은 교사가 학생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믿는 정도로(Ashton, 1984; Bandura, 1997; Pajares, 1996; Woolfolk, Rosoff, & Hoy, 1990), 교사가 자신의 교수행동에 대해 갖는 신념은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며(길효정, 이영주, 2013) 개인의 목표 설정, 노력의 정도, 지속성의 수준과 관련되어 행동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인이다(Bandura, 1997; Gibson & Dembo, 1984).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교수효능감(general reaching efficacy)과 개인적 교수효능감(personal reaching efficacy efficacy)의 두 요소로 구성된다.
영유아교사들의 직무에 관한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고 해결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영유아교사들은 보호와 교육이라는 중요하고도 특수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직무에 관한 스트레스 요인들로 인해 직업에 대한 소명감과 자긍심을 갖지 못하며(고홍화, 김정휘, 1994) 낮은 사회적 인식, 과도한 업무와 장시간의 보육, 낮은 보수, 고용의 불안정 등은 영유아교사가 보육에 전념을 못하게 하여 (권영란, 문영경, 2016) 높은 이직률을 나타내고 있다.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유아 교사의 심리적 소진, 직업 정체성 약화, 높은 이직률 및 생애주기를 단축하며, 교사와 유아간의 관계 형성,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권성민, 2012; 이진화, 유준호, 김은희, 2010) 교사로서의 해야 할 역할을 포기하거나 이직, 퇴사를 하게 하여 유아교육의 질을 저하 시킨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