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보육환경이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 on Child Care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4 no.5, 2018년, pp.137 - 152  

김정화 (목포대학교 아동학과) ,  김갑순 (세한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ildcare environment on childcare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7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The childcare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physical environment an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 설명력이 낮게 나타난 제한점이 있다. 낮은 설명력으로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의 영향력을 부각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 분석을 통해 어린이집의 물리적 환경과 보육교사의 업무지원 환경이 보육 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육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를 위한 최적의 보육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개인변인이나 조직의 내적특성보다는 제도적 차원에서 보육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 의도를 가지고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으로 나누어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 설명력이 낮게 나타난 제한점이 있다.
  •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은 그들이 속한 보육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효능감 제고를 위해서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환경의 구체적인 변인을 찾고자 한다. 질 높은 보육환경은 보육교사의 전문적 역할 수행을 위한 최적의 물리적인 환경과 보육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업무환경을 갖추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보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서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어린이집의 보육환경 변인을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보육환경의 요인을 찾아 개선하여 보육교사로서의 보육 효능감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서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어린이집의 보육환경 변인을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이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은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으로 나누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어린이집의 보육환경 변인을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보육환경의 요인을 찾아 개선하여 보육교사로서의 보육 효능감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어린이집 보육환경이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을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으로 나누어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보육환경과 보육효능감, 그리고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표 2에서와 같이 보육효능감과 보육환경과의 상관관계는 r =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효능감이란? 보육교사가 교사로서의 유능한 수행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보육교사가 가지고 있는 투철한 직업의식과 교사로의 교육적 신념이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구은미, 2004). 이러한 영향력을 보육효능감이라 한다. 보육효능감이 높은 교사일수록 보육의 질이 더 높게 나타는 연구(신혜영, 2004)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업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이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고 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한다고 볼 수 있다.
보육교사의 업무를 지원하는 환경은 어떤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어린이집에서의 업무지원 환경은 어린이집 차원에서 보육교사가 보육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추진하는 관리의 방안을 의미한다. 보육교사의 업무를 지원하는 환경은 교사의 업무 수행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고(Williams, 2000) 장 시간의 보육으로 소진될 수 있는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통해 업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갖는다. 보육교사를 지원하는 환경은 어린이집 보육교사들 간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공동의 목표와 가치를 공유하고 지속적인 재교육에 참여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전문적 성장이 이루어진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보육환경이 필요한가? 또한 연구결과에서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린이집의 보육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좋은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물리적 환경과 업무지원 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은 함께 높아진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해서 보육교사로서의 긍정적 신념을 갖고 전문적 교수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보육환경이 갖추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정원 (2015).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행복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227-242. doi:10.21184/jkeia.2015.12.9.4.227 

  2. 강정은, 송다영 (2010).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79(2), 88-114 

  3. 강병재, 백영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45-168. 

  4. 고영미, 이금란 (2004). 유치원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5(1), 21-37. 

  5. 권순구, 봉미미, 김성일 (2016).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척도개발. 교육심리연구, 30(3), 469-496. doi:10.17286/KJEP.2016.30.3.01 

  6. 권영란, 문영경 (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doi:10.21213/kjcec.2016.16.1.99 

  7. 권정윤, 이미나, 정미라 (2016). 영아교사의 경력,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교사민감성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6(3), 294-313. doi:10.18023/kjece.2016.36.3.013 

  8. 구은미 (2004).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 (2007). 어린이집의 전문성지원 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115-135. 

  10. 김영숙, 정명선 (2014).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3), 1424-1435. doi:10.5762/KAIS.2014.15.3.1424 

  11. 김은영, 권성민 (2014). 유아교사의 생태실천행동, 경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 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3(1), 131-153. 

  12. 김은영, 김진경, 최경숙, 조운주, 조혜주, 안진 (2009). 유치원과 보육시설 시설?설비 기준 개발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3. 박은미, 이석순 (2013). 보육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180-200. 

  14. 박희숙, 이현경 (2008) 유아교사의 개인적 요인, 환경교육 인식, 환경친화적 태도에 따른 환경 교수효능감 연구. 유아교육연구, 28(2), 51-68. doi:10.18023/kjcec.2008.28.2.003 

  15. 변길희, 김나림 (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및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0(4), 21-34. 

  16.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신은수 (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18. 양연숙 (2012). 어린이집 전문성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241-256. 

  19. 엄경순 (2002). 유아교육기관의 사회적 조직과 유아교사 효능감 및 만족도와의 관계. 아동교육, 11(1), 93-102. 

  20. 오옥선 (2014). 유아교사의 직업환경적 요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89, 103-125. 

  21. 오정윤 (2011). 보육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25-47. 

  22. 유희정, 이미화 (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23. 육아정책연구소 (2017). 2017 KICCE 육아지원정책 현안과 과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이경돈 (2010). 영아보육교사의 영아발달 지식과 보육효능감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례, 문혁준 (2013).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3), 163-182. 

  26. 이기영 (2007).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기향 (200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여성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세나, 이영석 (2005).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6(6), 45-58. 

  29. 이수현 (2015). 영아반 교사의 영아발달 지식 및 보육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점자 (2012). 어린이집 직무환경이 보육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점자, 김형모 (2012).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01-120. 

  32. 임성택 (2011). 교사효능감. 서울: 강현출판사 

  33. 임옥희 (2006).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신념 및 효능감 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정순희, 최영미, 이희영 (2013).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193-215. 

  35. 최정선 (2017).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보육효능감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인숙 (2015).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표인숙 (2007).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한민좌 (2001). 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효능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황옥경 (2012). 보육교사의 처우 현황과 개선방안: 보수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49-272. 

  40. 홍석영 (2012). 어린이집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1(2), 271-281. 

  41. 현정환 (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31. 

  42. Allinder, R. M.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17(2), 86-95. doi:10.1177/088840649401700203 

  4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10.1037/0033-295X.84.2.191 

  44. Berman, P., McLaughlin, M. W., Bass, G., Pauly, E., & Zellman, G. (1977).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VII: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Santa Monica, CA: The Rand 

  45. Gibson, S., & Dembo, M. H.(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doi:10.1037/0022-0663.76.4.569 

  46. Glickman, C. D., Gordon, S. P., & Ross-Gordon, J. M. (2001).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A developmental approach. Boston, MA: Allyn & Bacon 

  47. Harms, T., Clifford, R. M., & Cryer, D. (1998).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Revised Edi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48. Harms, T., Clifford, R. M., & Cryer, D. (2005).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 Revised Edi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49. Holahan, C. K., & Holahan, C. J. (1987).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aging a lo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42(1), 65-68. doi:10.1093/geronj/42.1.65 

  50. Hoy, W. K., & Woolfolk, A. E. (1993).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 doi:10.1086/461729 

  51. Knobloch, N. A., & Whittington, M. S. (2002). Factors that influenced beginning teachers' confidence about teaching in agricultural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AAAE Central Region Agricultural Education Research Conference, St. Louis, MO. 

  52. Latta, M. M. & Thompson, C. M. (2011). An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in the teaching of arts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12(9), 1-16. 

  53. Tschannen-Moran, M., &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d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7), 783-805. doi:10.1016/S0742-051X(01)00036-1 

  54. Willi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s,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A. 

  55. 三木知子, ?井茂男(1998). 保育專攻短大生の保育者?力感に及ぼす敎育實習の影響. ?育心理??究. 46(2), 203-211. doi:10.5926/jjep1953.46.2_2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