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시대의 보육환경 내 영유아의 사회적 경험
Young Children's Social Experiences Within Child Care Centers During COVID-19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2, 2021년, pp.29 - 46  

최혜영 (창원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유준호 (을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권수정 (한화태평로어린이집) ,  장경은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young children's social experiences during COVID-19. In this study, social experiences are defined as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ir daily life experiences in child care centers. Methods: P...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31)

  1. 고은경, 견주연, 하지민 (2015).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1-18. doi:10.14698/jkcce.2015.11.5.001 

  2. 김상림 (2012).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4), 207-230. 

  3. 김수정, 곽금주 (2003). 의사 전달적 기능으로서 영아기 신체접촉. 인간발달연구, 10(2), 51-73. 

  4. 박언하, 최종욱 (2010). 자살 관련 미디어 노출 빈도에 따른 유아의 죽음 불안의 차이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387-403. 

  5. 박현선 (1999). 실직가정 청소년의 적응 유연성(resilience)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한국아동복지학, 8, 35-58. 

  6. 보건복지부 (2020). 보도참고자료-어린이집 휴원 해제 계획.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54792에서 2020년 10월 1일 인출 

  7. 아시아경제 (2020. 8. 4.).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 18일 문 연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80414225695552&mobileY에서 2020년 10월 1일 인출. 

  8. 양옥승 (2013). 영아 자기조절 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유아교육연구, 33(2), 427-443. doi:10.18023/kjece.2013.33.2.019 

  9. 육아정책연구소 (2020). 감염병 재난 극복을 위한 영유아 심리방역 매뉴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0. 조필환 (2013). 초등학생의 운동참여와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및 스트레스 간 인과모형. 교과교육학연구, 17(1), 129-149. doi:10.24231/rici.2013.17.1.129 

  11. 최예린 (2020). 코로나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253-279. doi:10.15409/riece.2020.22.1.12 

  12. 최은영 (2020a). 유치원, 어린이집의 코로나19 대응체계 진단 및 과제. 서울: 육아정책 연구소. 

  13. 최은영 (2020b). 코로나19 육아분야 대응체계 점검: 어린이집.유치원 휴원 장기화에 따른 자녀돌봄 현황 및 향후 과제. 서울: 육아정책 연구소. 

  14. 최혜영, 박진재, 신나리 (2017).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어린이집 운영 정책: 정책 고찰과 새 정부의 정책 제언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5), 21-41. doi:10.14698/jkcce.2017.13.05.021 

  15. Bodrova, E., & Leong, D. (1996). Tools of the mind: The Vygotskia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Merrill. 

  1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COVID-19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cases-updates/cdc-in-action.html에서 2020년 12월 6일 인출 

  17. Chen, F., Zheng, D., Liu, J., Gong, Y., Guan, Z., & Lou, D. (2020).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adolescents during COVID-19: A cross-sectional study. Brain, Behavior, and Immunity, 88, 36-38. doi:10.1016/j.bbi.2020.05.061 

  18. Crescentini, C., Feruglio, S., Matiz, A., Paschetto, A., Vidal, E., Cogo, P. et al.(2020). Stuck outside and insi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OVID-19 outbreak on Italian parent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symptoms. Frontier in Psychology, 11, 586074. doi:10.3389/fpsyg.2020.586074 

  19. de Lannoy, L., Rhodes, R. E., Moore, S. A., Faulkner, G., & Tremblay, M. S. (2020). Regional differences in access to the outdoors and outdoor play of Canadian children and youth during the COVID-19 outbreak.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111(6), 988-994. doi:10.17269/s41997-020-00412-4 

  20. Del Boca, D., Pasqua, S., & Suardi, S. (2016). Child care,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ren's school outcomes: An analysis of Italian data.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32(2), 211-229. doi:10.1007/s10680-015-9370-0 

  21. Kachel, G., Hardecker, D. J. K., & Bohn, M. (2021). Young children's developing ability to integrate gestural and emotional cue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01, 104984. doi:10.1016/j.jecp.2020.104984 

  22.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K., Rupiper, M. L., & Gregory, K. M. (2017).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박경자, 김소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경기도: 교문사(원판 2010). 

  23. Lazar, A., & Torney-Purta, J. (1991). The development of the subconcepts of death in young children: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2(6), 1321-1333. doi:10.1111/j.1467-8624.1991.tb01608.x 

  24. Lonetto, R., & Templer, D. I. (1986). Death and anxiety. Washington, DC: Hemiphere. 

  25. Pelaez-Nogueras, M., Field, T., Gewirtz, J. L., Cigales, M., Gonzalez, A., Sanchez, A., & Richardson, S. C. (1997). The effects of systematic stroking versus tickling and poking on infant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69-178. doi:10.1016/S0193-3973(97) 90034-4 

  26. Sama, B. K., Kaur, P., Thind, P. S., Verma, M. K., Kaur, M., & Singh, D. D. (2021). Implications of COVID-19-induced nationwide lockdown on children's behaviour in Punjab, India.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47(1), 128-135. doi:10.1111/cch.12816 

  27. Shah, K., Mann, S., Singh, R., Bangar, R., & Kulkarni, R. (2020). Impact of COVID-19 on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ureus, 12(8), e10051. doi:10.7759/cureus.10051 

  28. Saurabh, K. & Ranjan, S. (2020). Compliance and psychological impact of quarantin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ue to COVID-19 pandemic [Electronic version]. The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87(7), 532-536. doi:10.1007%2Fs12098-020-03347-3 

  29. Stack, D. M. (2001). The salience of touch and physical contact during infancy: Unraveling some of the mysteries of the somesthetic sense. In G. Bremner, & A. Fogel (Eds.), Handbook of developmental psychology: Blackwell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pp. 351-378). London: Blackwell Publishing. 

  30. van Liempd, I. H., Oudgenoeg-Paz, O., & Leseman, P. P. M. (2020). Do spatial characteristics influence behavior and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67, 101385. doi:10.1016/j.envp.2019.101385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Advice on the use of masks the community, during home care and in health care settings in the context of the novel coronavirus (2019-nCoV) outbreak. 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documents/advice-on-the-use-of-masks-2019-ncov.pdf에서 2020년 10월 1일 인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