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에너지 볼밀을 이용한 SnSb 합금 분말 제조와 리튬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of SnSb alloys using high energy ball-miiling and its lithium electrochemical behavior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28 no.5, 2018년, pp.191 - 198  

김대경 (안동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이혁재 (안동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알곤 분위기 하에서 다양한 몰 비의 Sn과 Sb 혼합분말에 대한 고에너지 볼밀을 시행하여 잔류 Sn, Sb 입자를 지닌 SnSb 합금결정상을 가지는 분말을 제조한 후, 그 소재적 특성과 리튬전기화학적 거동을 조사하였다. 시작 분말 내 Sn, Sb의 양 조절을 통해 잔류 Sn, Sb 상을 지닌 SnSb의 합금분말의 합성과 볼밀링에 의한 입자크기의 감소가 X-선 회절 분석입도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Li 금속을 상대전극으로 하여 합성된 SnSb 합금분말에 대한 Li 이온의 충방전 실험 결과, 시작 분말에서 Sn과 Sb의 몰 비를 4:6으로 하여 소량의 잔류 Sb를 지닌 SnSb 합금분말에서 가장 좋은 사이클 특성을 보여, $40mA\;g^{-1}$의 정전류 하에서 50회 충방전 후 $580mAh\;g^{-1}$의 용량을 보였으며, SnSb 합금상만을 가진 분말이 다음으로 좋은 충방전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Sn : Sb = 3 : 7 합금분말에서는 Sn과 Li-ion의 반응이 억제되어 낮은 용량을 보였다. 잔류 Sn 상이 포함된 SnSb 합금 분말은 초기의 높은 용량을 지속하지 못하고 20회 이상의 충방전 시 급격한 용량 감소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nSb alloy powders with excess Sn or Sb are fabricated by the high energy ball-milling of pure Sn and Sb powders with different Sn/Sb molar ratios, and then their material properties and lithium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are investigated. It is revealed by X-ray diffraction that SnSb alloys are 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한 건식 볼 밀링법을 이용해SnSb 합금과 잔류 Sn, Sb 상을 지닌 복합분말을 제조하여 리튬이차전지 음극재로서의 성능을 알아보는 것이다. 용량에 대해 장점을 가지고 있는 Sn과 사이클 안정성에 장점을 가지고 있는 Sb 상이 SnSb 합금 분말과 복합체를 이루고 있을 시의 리튬전기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과량의 Sn 혹은 Sb 분말이 들어있는 시작분말로 SnSb + Sn 혹은 SnSb + Sb 분말을 제조한 후 충방전시험을 실시하여 리튬전기화학적 특성을 순수한 SnSb 합금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차전지의 응용 분야는 무엇인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출력을 가지고 있는 리튬이차전지는 그 효용성으로 인해 초기의 소형 전자기기용 전력원에서 전기자동차와 대형 에너지 저장장치까지 그 응용범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1, 2]. 이러한 대형화에 따라 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닌 리튬이차전지 개발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향상된 전하저장 용량과 작동전압을 지닌 전극물질의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리튬이차전지의 상용화를 방해하는 전극 파쇄 및 용량감소를 위한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전기화학적으로 활성/비활성 물질들을 이용해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를 만들어 활물질의 부피변화를 감내하도록 하는 방법과[4, 5] 활물질의 크기를 나노 사이즈까지 줄여 각 입자들의 부피변화가 전체 전극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6, 7]으로 나누어 진다. 음극물질의 성능적인 측면에서만 보면 위 두가지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나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노력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상용화 및 사업성 측면의 고려가 필요하다.
리튬이온과 금속물질의 합금화할 때 문제점은 무엇인가? 고용량의 차세대 음극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물질은 리튬과 반응하여 합금을 형성하는 금속물질들로 기존의 탄소계 물질들에 비해 2~10배 이상의 에너지 저장 밀도(Si: 4200 mAh g−1, Sn: 992 mAh g−1, Sb: 660 mAh g−1)를 구현할 수 있다[3]. 그러나 리튬이온과 금속물질의 합금 반응에 따른 심각한 부피변화(120~300 %)는 지속적인 충방전 시 전극 내 균열 형성과 전기적 단락 등을 일으켜, 결국은 전극의 파쇄 (pulverization) 및 이에 따른 급격한 용량감소를 유발함으로써 상용화의 걸림돌이 되어 왔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 Van Noorden, "A better battery", Nature 507 (2014) 26. 

  2. D. Larcher and J.M. Tarascon, "Towards greener and more sustainable batteries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Nat. Chem. 7 (2015) 19. 

  3. C.M. Park, J.H. Kim, H. Kim and H.J. Sohn, "Li-alloy based anode materials for Li secondary batteries", Chem. Soc. Rev. 39 (2010) 3115. 

  4. X.L. Wang, M. Feygenson, H.Y. Chen, C.H. Lin, W. Ku, J.M. Bai, M.C. Aronson, T.A. Tyson and W.Q. Han, "Nanospheres of a new intermetallic FeSn5 phase: Synthesis, magnetic properties and anode performance in Li-ion batteries", J. Am. Chem. Soc. 133 (2011) 11213. 

  5. Y. Gu, F.D. Wu and Y. Wang, "Confined volume change in Sn-Co-C ternary Tube-in-Tube composites for high-capacity and long-life lithium storage", Adv. Funct. Mater. 23 (2013) 893. 

  6. I. Kovalenko, B. Zdyrko, A. Magasinski, B. Hertzberg, Z. Milicev, R. Burtovyy, I. Luzinov and G. Yushin, "A major constituent of brown algae for use in high-capacity Li-ion batteries", Science 334 (2011) 75. 

  7. A.M. Chockla, K.C. Klavetter, C.B. Mullins and B.A. Korgel, "Tin-seeded silicon nanowires for high capacity Li-Ion batteries", Chem. Mater. 24 (2012) 3738. 

  8. S.C. Chao, Y.F. Song, C.C. Wang, H.S. Sheu, H.C. Wu and N.L. Wu, "Study on microstructural deformation of working Sn and SnSb anode particles for Li-ion batteries by in situ transmission X-ray microscopy", J. Phys. Chem. C 115 (2011) 22040. 

  9. H.L. Zhao, C.L. Yin, H. Guo, J.C. He, W.H. Qiu and Y. Li, "Studies of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SnSb alloy prepared by solid-state reduction", J. Power Sources 174 (2007) 916. 

  10. S.F. Fan, T. Sun, X.H. Rui, Q.Y. Yan and H.H. Hng, "Cooperative enhancement of capacities in nanostructured SnSb/carbon nanotube network nanocomposite as an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201 (2012) 288. 

  11. H. Li, G.Y. Zhu, X.J. Huang and L.Q. Chen,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dendrite-like nanosized SnSb alloy prepared by co-precipitation in alcohol solution at low temperature", J. Mater. Chem. 10 (2000) 693. 

  12. J.U. Seo and C.M. Park, "Nanostructured SnSb/MOx (M Al or Mg)/C composites: hybrid mechanochemical synthesis and excellent Li storage performances", J. Mater. Chem. A 48 (2013) 15316. 

  13. S. Das, T.N. Guru Row and A.J. Bhattacharyya, "Probing the critical role of Sn content in SnSb@C nanofiber anode on Li storage mechanism and battery performance", ACS Omega 2 (2017) 9250. 

  14. Y. Wang and J.Y. Lee, "One-step, confined growth of bimetallic Tin-antimony nanorods in carbon nanotubes grown in situ for reversible Li+ ion storage", Angew. Chem., Int. Ed. 45 (2006) 7039. 

  15. M. He, M. Walter, K.V. Kravchyk, R. Erni, R. Widmer and M.V. Kovalenko, "Monodisperse SnSb nanocrystals for Li-ion and Na-ion battery anodes: synergy and dissonance between Sn and Sb", Nanoscale 7 (2015) 455. 

  16. M. Walter, S. Doswald and M.V. Kovalenko, "Inexpensive colloidal SnSb nanoalloys as efficient anode materials for lithium- and sodium-ion batteries", J. Mater. Chem. 4 (2016) 7053. 

  17. Y.F. Zhukovskii, P. Balaya, E.A. Kotomin and J. Maier, "Evidence for interfacial-storage anomaly in nanocomposites for lithium batteries from first-principles simulations", Phys. Rev. Lett. 96 (2006) 058302. 

  18. Y.-Y. Hu, Z. Liu, K.-W. Nam, O.J. Borkiewicz, J. Cheng, X. Hua, M.T. Dunstan, X. Yu, K.M. Wiaderek, L.-S. Du, K.W. Chapman, P.J. Chupas, X.-Q. Yang and C.P. Grey, "Origin of additional capacities in metal oxide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Nat. Mater. 12 (2013) 1130. 

  19. F.J. Fernandez-Madrigal, P. Lavela, C.P. Vicente, J.L. Tirado, J.C. Jumas and J. Olivier-Fourcade, "X-ray diffraction, $^7Li$ MAS NMR spectroscopy, and $^{119}Sn$ Mossbauer spectroscopy study of SnSb-based electrode materials", Chem. Mater. 14 (2002) 2962. 

  20. L. Aldon, A. Garcia, J. Olivier-Fourcade, J.-C. Jumas, F.J. Fernandez-Madrigal, P. Lavela, C.P. Vicente and J.L. Tirado, "Lithium insertion mechanism in Sb-based electrode materials from $^{121}Sb$ Mossbauer spectrometry", J. Power Sources 119-121 (2003) 5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