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지역 중학생의 식행동실태 및 학업관련 인자와의 관계
Dietary behavior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study-related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5, 2018년, pp.455 - 464  

이명숙 (동서 생활 운동 자연치유 연구소) ,  현화진 (중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경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2011년 7월 4일부터 2011년 8월 24일까지 중학생들의 식행동 실태와 식행동과 학업관련 인자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경기지역의 일부 중학교의 남자 중학생 295명, 여자 중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통하여 학업관련 인자와 식행동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수면시간은 6~8시간 미만이 71.3%로 많았고, 학교 외 공부시간은 2~4시간 미만이 가장 많았다. 과외, 학원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에서는 '거의 받지 않는다'가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었다. 중학생들의 식습관 점수는 '과일을 매일 먹습니까?' '아침은 매일 규칙적으로 먹습니까?'의 점수가 높았고, '식사를 할 때는 식품 배합을 생각해서 먹습니까?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평균 식습관 점수는 남학생 $3.69{\pm}0.67$점 여학생은 $3.62{\pm}0.67$점으로 중간정도 수준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에서 남학생들은 '우유를 매일 마십니까?, 여학생들은 '과일을 매일 먹습니까?'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중학생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는 3회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한 끼 식사에 걸리는 시간은 10 ~ 20분 걸리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한 끼 식사에 걸리는 시간이 짧았다. 식사가 규칙적인편인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간식 섭취 횟수는 하루 1 ~ 2회가 가장 많았다. 학업관련인자에 따른 식행동 실태에서는 학교 외 공부시간이 2시간 이상인 학생들이 2시간 미만 공부하는 학생에 비해 식습관 점수가 높았고, 학교외 공부시간 2시간 미만인 학생이 2시간 이상 공부하는 학생에 비해 2끼를 먹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하루 평균 공부시간이 많은 학생일수록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조사대상 중학생들은 대체로 적정 시간의 수면을 취하고 있었고,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과외, 학원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은 중간 이상의 점수였으며, 하루 3끼니의 식사를 하고 식사가 규칙적인 학생들이 많았다. 또한 학생들의 수면시간과 학교 외 공부시간이 식습관 점수와 식행동에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대상자들의 식습관이 비교적 양호하고, 학업 관련 스트레스도 크지 않게 나타난 것은 매우 다행스럽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식습관이 수면시간과 학교 외 공부시간 등의 학업관련 인자와 관련성을 보였으므로, 특히 학업 부담으로 인한 학업관련 인자들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이 규칙적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올바른 식행동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us of dietary behavior and its association with study-related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Study-related factors, dietary habit score and dietary behavior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and then analyzed. A total of 580 student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식행동에 관한 연구로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식행동 실태와 학업스트레스의 학업관련 인자를 조사, 분석하여 중학생들의 식행동에 대하여 알아보고 학업관련 인자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학생 대상 식행동에 대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식행동 실태을 조사 분석하고 학업관련 인자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학업 관련인자를 살펴본 결과, 7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이 활발하고 성장해 가는 과정이므로, 각종 영양소의 요구량이 급증하는 시기이다.1 따라서 각종 영양소의 요구량이 일생 중 가장 크며,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야만 완전한 성장여건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 시기에 균형적 영양상태는 청소년기의 성장과 건강상태뿐 아니라, 장래의 건강상태에도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청소년들의 식습관은 어떠한가? 식습관이 불량할 경우 신체적 발육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서발달과 심리상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한다.2 우리나라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식사시간이 불규칙하고 패스트푸드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3 고열량의 인스턴트 간식섭취가 증가하고 있다.4 서구화, 기계화된 생활양식과 식습관은 영양결핍, 영양부족뿐 아니라 영양과잉에 의한 비만증까지 이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식습관이 불량할 경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올바른 영양 실천을 위해서는 식습관의 형성이 매우 중요하며,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따라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가 좌우된다. 식습관이 불량할 경우 신체적 발육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서발달과 심리상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한다.2 우리나라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식사시간이 불규칙하고 패스트푸드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3 고열량의 인스턴트 간식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ung CJ. A comparative study of food habits and body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clinical sympt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2): 202-208. 

  2. Martin RE, Lan YA, Kuratko CN, Chappel JA, Ahmad M.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individuals responsible for foodservice in Texas Daycare facilities. J Am Diet Assoc 1996; 96(9): A67. 

  3. Cho JE, Kim JH, Song K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s and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Soc Food Nutr 1994; 23(1): 55-61. 

  4. Beak YM, Jung SJ, Beak HI, Cha YS. A study on eating out and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Hum Ecol 2007; 10(2): 77-87. 

  5. Lee YN, Lee JS, Ko YM. Study on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2): 189-200. 

  6. Yi BS.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recognition of diet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04; 10(3): 364-374. 

  7. Mo SH.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ctors arousing the academic stress of adolescents: focused on self-esteem and autonomy in opinion decision. J Future Oriented Youth Soc 2010; 7(2): 49-66. 

  8. Lee SW, Jang YE. A study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o suicidal idealization: moderat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Korean J Youth Stud 2011; 18(11): 111-136. 

  9. Han SY.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physical symptoms, mental health according to stress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2; 13(12): 5800-5807. 

  10. Jung IK, Nam KO, Kim JH.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dietary behavior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 Res Ins Korean Educ 2012; 30(3): 125-143. 

  11. Weinstein SE, Shide DJ, Rolls BJ. Changes in food intake in response to stress in men and women: psychological factors. Appetite 1997; 28(1): 7-18. 

  12. Yang HY. The impact of the academic stress level on sugar food consumption pattern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2. 

  13. Lee JE, Na HJ, Kim Y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 and dietary behavior scor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in Daejeon.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08; 20(1): 1-19. 

  14. Kim KH.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Diet Cult 2000; 15(5): 387-397. 

  15. Emond M, Ten Eycke K, Kosmerly S, Robinson AL, Stillar A, Van Blyderveen S.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attachment stress on stress-eaters and stress-undereaters. Appetite 2016; 100: 210-215. 

  16. Chang HW, Kim JH, Auh SY, Jung IK. An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n the life-style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12; 24(3): 57-72. 

  17. Kang MH, Choue R. Relationships of body image, body stress and eating attitude, and dietary quality in middle school girls based on their BMI. Korean J Nutr 2010; 43(3): 285-293. 

  18. Park HO, Hyun HJ, Song KH. The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and non-majors of 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4): 363-373. 

  19. Kim SY, Lee HM, Song KH. Body image recogni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1): 3-12. 

  20. Statistics Korea. 2016 statistics on the youth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7 Jul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pressReleases/13/3/index.board?bmoderead&bSeq&aSeq354961. 

  21. Son SM, Park ES. A study of the body weight control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e index i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6): 683-694. 

  22. Baik I, Shin C. Association of daily sleep duration with obesity, macronutrient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3): 315-323. 

  23. Choi IJ. A study on mental health improvement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general repor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1. 

  24. Ma Y, Bertone ER, Stanek EJ 3rd, Reed GW, Hebert JR, Cohen NL, Merriam PA, Ockene IS. Association between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a free-living US adult population. Am J Epidemiol 2003; 158(1): 85-92. 

  25. Park PS, Song EJ, Hwang SR, Park KO, Park MY. Effects of skipping breakfast based on the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angju, Kyeongbuk province. Korean J Hum Ecol 2011; 20(4): 861-869. 

  26. Ahn Y, Kim H, Kim K. A study on weight control,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among high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2): 205-217. 

  27. Kim HS, Kim HY.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preferences,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11-518. 

  28. Yoon HS, Lee GO. Preference and consumption patter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milk and milk products in Geochang area. J Korean Diet Assoc 2005; 11(4): 449-461. 

  29. Her ES, Lee KH, Bae EY. Interrelations among beverage intake,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2): 189-198. 

  30. Kim S, Kim W, Kang M. Surve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k and milk product consumption and dietary nutrient intake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n Diet Assoc 2011; 17(3): 313-326. 

  31. Jo SJ, Kim NY, Han MJ. Dietary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Yangphyung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6; 22(5): 626-635. 

  32. Song MJ, An EM, Shon HK, Kim SB, Cha YS. A study on the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174-182. 

  33. Kim OS, Kwon SY, Ryu HS. The study of dietary pattern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J Korean Diet Assoc 2006; 12(4): 342-349. 

  34. Jeong KY, Lee YS, Kim SM. The study of dietary behavior, BMI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5; 15(1): 1-10. 

  35. Park HA, Rhie SG, Won HR.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cognition of body image, weight control and nutrition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07; 18(3): 481-491. 

  36. Sung SH, Yu OK, Sohn HS, Cha YS.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36(8): 995-1009. 

  37. Kim SA, Lee BH.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ent intake status, dietary habi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cheon-si. Korean J Nutr 2008; 41(8): 786-796. 

  38. Sung CJ, Shin HH, Lee YS. Effects of the nutrient intake status and dietary habit on academic achievement of female students at a liberal high school in Suwon. Sookmyung J Sci Better Living 1996; 11(1): 207-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