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4 no.4, 2018년, pp.406 - 414  

송영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burnout, and the mediating role of empath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One hundred seventeen nursing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linic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3; Rudman & Gustavsson, 2012), 공감(Jeong & Lee, 2015)에 대한 각각의 연구는 있으나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공감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소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란 무엇인가? 소진은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개인에게 발생되는 것으로써 개인의 정서적 자원들이 고갈되어 정서적으로 지치고, 사람들에 대한 관점이 비인격화되며,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여 개인의 성취감이 저하되는 심리적 증후군이다(Maslach et al., 1996).
간호대학생이 겪는 가장 큰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는 일반대학생이 겪는 학업이나 경제적 문제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도 있지만(Song, 2012), 간호대 학생이 겪는 스트레스 중 가장 심한 스트레스 경험은 임상실습스트레스였다(Alzayyat & Al-Gamal, 2014).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토한 외국의 연구에서 간호대학 생이 임상실습에서 주로 겪는 스트레스의 원인은 환자간호에 대한 지식 및 기술 부족, 환자의 고통(죽음), 간호사나 임상실 습지도자와의 관계, 실습과제, 실습부담, 임상실습환경 등이었다(Alzayyat & Al-Gamal, 2014).
스트레스가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으로 간호 대학생에게서 어떤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가? 따라서 앞으로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의 공감정도를 알아보고, 공감과 소진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트레스는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으로(Jang & Kim, 2017) 간호대학생이 임 상실습시 겪게 되는 임상실습스트레스와 대상자와의 끊임없는 관계 형성에 필요한 공감과의 관계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즉,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공감이 매개요인으 로써 작용하는지 확인해봄으로써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에 도움을 줄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zayyat, A., & Al-Gamal, E. (2014).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gard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clinical education.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1(3), 406-415. http://dx.doi.org/10.1111/inr.12114 

  2. Beddoe, A. E., & Murphy, S. O. (2004). Does mindfulness decrease stress and foster empath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7), 305-312. 

  3. Choi, S. H. (2016). An impact of empath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35(4), 229-250. 

  4. Cunico, L., Sartori, R., Marognolli, O., & Meneghini, A. M. (2012). Developing empathy in nursing students: A cohort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13-14), 2016-202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2.04105.x 

  5.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6. Davis, M. H.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4, 113-126. 

  7. Ferri, P, Guerra, E., Marcheselli, L., Cunico, L., & Di Lorenzo, R. (2015). Empathy and burnout: An analytic cross-sectional study among nurses and nursing students. Acta Bio-Medica, 86(suppl 2), 104-115. 

  8. Hong, M., & Kim, Y. (2016). Effects of job stress and empathy on burnout in nurses who take care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1), 461-474. 

  9. Jang, H. E., & Kim, C. K.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bility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Emotional Disorders, 33(2), 65-81. 

  10. Jang, H. S. (2010). The differences of the college student'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and social-communication styl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6(2), 1-19. 

  11. Jang, H. S. (2013).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empathy on stress percep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1(3), 5-28. 

  12. Jang, S. Y. (2017). The effect of empathy o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2(2), 211-221. http://dx.doi.org/10.15715/kjhcom.2017.12.2.211 

  13. Jeong, H. S. (2015). The effect of empathy on the job stress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6), 3911-3918.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911 

  14. Jeong, H. S., & Lee, K. L. (2015). Empath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6044-6052. http://dx.doi.org/10.5762/KAIS.2015.16.9.6044 

  15. Ji, E. J. (2014).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empathic abilit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senior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16(3), 1685-1697. 

  16. Jo, H., & Kim, S. (2017). Moral sensitivity, empathy and perceived ethical climate of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the National Ment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 Mental Health Nursing, 26(2), 204-215. http://dx.doi.org/10.12934/jkpmhn.2017.26.2.204 

  17. Lee, D. Y., Park, J. K., & Choi, M. Y. (2017).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burnout among nursing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 off spiritual well-be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3), 300-308. http://dx.doi.org/10.5977/jkasne.2017.23.3.300 

  18. Lim, Y. J. (2017).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emotional labor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burnou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 Instruction, 17(6), 461-474.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6.461 

  19. Maslach, C., Jackson, S. E., & Leiter, M. P. (199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3r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0. Michalec, B., Diefenbeck, C., & Mahoney, M. (2013). The calm before the storm?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3(4), 314-320. 

  21. Park, S. (1997).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Gyeonggi: Moonumsa. 

  22. Rudman, A., & Gustavsson, J. P. (2012). Burnout during nursing education predicts lower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9(8), 988-1001. http://dx.doi.org/ 10.1016/j.ijnurstu.2012.03.010 

  23. Schaufeli, W. B., Martinez, I. M., Pinto, A. M., Salanova, M., & Bakker, A. B.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5), 464-481. 

  24. Shin, H., Puig, A., Lee, J., Lee, J. H., & Lee, S. M. (2011). Cultural validat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for Korean studen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2, 633-639. 

  25. Song, Y. (2012).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71-80.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71 

  26. Stillwell, S. B., Vermeesch, A. L., & Scott, J. G. (2017). Interventions to reduce perceived stress among graduate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14(6), 507-513. 

  27. Watson, R., Deary, I., Thompson, D., & Li, G. (2008). A study of stress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in Hong Kong: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 1534-1542.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7.11.003 

  28. Whang, S. J. (2002).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tool for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stress. Journal of the Margaret Pritchard College of Nursing, 14(1), 35-53. 

  29. Whang, S.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205-213. 

  30. Yu, H. S. (2015). Relationship among stress of clinical practice, practice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17(2), 1129-11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