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의 참여 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Predictors of Participation Restriction in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4, 2018년, pp.19 - 30  

김연주 (서울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정란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의 참여 제약과 관련이 있는 요인간의 상관관계 및 그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미국 척수 손상 협회(American Spinal Injury Assocation; ASIA) 분류법 상 손상정도(Frankel type)가 A,B,C에 해당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척수장애인 82명이었다. 대상자들을 통하여 참여, 환경적 요인, 기능적 요인, 손상관련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참여 수준은 한국형 단축형 크레이그 핸디캡 평가(CHART-K-SF)로, 환경적 요인은 CHIEF-25 한국형으로, 기능적 요인은 척수손상환자 독립성 지수SCIM-III을 사용하였다. 손상관련 요인의 통증 및 통증관련 심리적 고통은 Pain and Distress Scale (PAD)로, 심리사회적 요인 중 자존감은 로젠버그 자아존중감 척도(RSES),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GSS)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정보는 SPSS Version 21.0을 통하여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 참여 제약의 위험요인은 환경적 요인과 기능적 요인이었으며, 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73.7%였다(R2N=.737). 환경적 장벽이 있는 것이 없는 것에 비해 약 40배 정도 참여 제약을 겪을 위험도가 높았으며, 기능적 수준이 4사분위수(상위 25%)인 것에 비해, 2사분위수일 경우 약 21배, 1사분위수(하위25%)일 경우 약 236배 정도 참여 제약을 겪을 위험도가 높아졌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의 참여 제약의 예측요인을 다각적인 측면으로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에서 척수장애인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규명한 것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redictors of participation restriction in community-dwelling Spinal Cord Injury (SCI) based on environmental, functional, injury-related, psychosocial,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2 community-dwelling SCI adults o...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작업치료사가 치료를 제공할 때는 클라이언트가 원하고 필요로 하는 작업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하므로(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중재의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의 참여제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의 참여 제약과 관련이 있는 요인간의 상관관계 및 참여 제약에 대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작업치료사들에게 척수장애인의 참여 향상을 위한 중재에 대해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 82명을 대상으로 참여 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설문 및 평가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의 참여 제약의 예측요인을 다각적인 측면으로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에서 작업치료적의 유용성을 다룬 것에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 거주 척수장애인의 참여를 목표로 하는 작업치료 서비스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수장애인은 어떤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가? 국내에서 척수장애는 신경학적인 분류 안에서 뇌졸중과 외상성 뇌손상 다음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작업치료사의 주요 클라이언트가 되는 진단군이다(Lee,Chang, Jung, Ku, & Woo, 2014). 척수장애인은 중추신경계 장애로 인해 평생 동안 전신 마비나 하반신 마비의 문제를 가지고 살아야 하며 운동기능과 감각기능의 소실 정도에 따라 독립적인 생활 및 사회생활이 어려워진다(Coleman & Geisler, 2004). 또한 척수장애인이 손상 후에 지속적으로 겪는 운동 및 감각손상, 대소변관리, 호흡 및 혈압 문제 등은 활동과 참여에 제약을 주게 된다(Anderson, 2004; Larsson Lund, Nordlund, Rowell, & Connelly, 2008).
ICF에서 활동과 참여로 제시하고 있는 영역은 어떤 것들인가? ICF에서는 하위 구성요소 중 ‘참여’를 ‘생활의 상황(situation)에 관여 (involvement)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이에 따른 ‘참여 제약’을 ‘생활의 상황에 관여하는 동안 경험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고 있다. ICF에서 활동과 참여로 제시하고 있는 영역은 총 9 가지로 학습과 지식적용, 일반적 과제와 요구, 의사 소통, 이동, 자기관리, 가정생활, 대인상호작용과 대인관계, 주요 생활영역, 지역 사회 생활·사회생활 및 시민생활이다. 이러한 영역 속에서 참여는 신체 기능과 구조, 활동, 환경요인, 개인요인, 건강상태와 역동적인 상호관계를 형성한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척수장애인의 참여 제약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로 어떤 것들을 조사하였는가?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미국 척수 손상 협회(American Spinal Injury Assocation; ASIA) 분류법 상 손상정도(Frankel type)가 A,B,C에 해당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척수장애인 82명이었다. 대상자들을 통하여 참여, 환경적 요인, 기능적 요인, 손상관련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참여 수준은 한국형 단축형 크레이그 핸디캡 평가(CHART-K-SF)로, 환경적 요인은 CHIEF-25 한국형으로, 기능적 요인은 척수손상환자 독립성 지수SCIM-III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박종구, 장세진, 이태용. (2015). SPSS(PASW) 17.0을 이용한 보건통계학.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 

  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 1-48.doi:10.5014/ajot.2014.682006 

  3. Anderson, K. D. (2004). Targeting recovery: Priorities of the spinal cord- injured population. Journal of Neurotrauma, 21, 1371-1383. doi:10.1089/neu.2004.21.1371 

  4. Bae, J. M. (2012).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al statistics using SPSS. Seoul, Korea: Hannareae. 

  5. Byun, E. J., Kim, S. M., & Park, J. H.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its affecting factor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3), 67-77. doi:10.14519/jksot.2015.23.3.06 

  6. Catz, A., Itzkovich, M., Agranov, E., Ring, H., & Tamir, A. (1997). SCIM-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A patients with spinal cord lesions. Spinal Cord, 35, 850-856. doi:10.1038/sj.sc.3100738 

  7. Chang, F. H., Wang, Y. H., Jang, Y., & Wang, C. W. (2012).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ode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 2264-2270. doi:10.1016/j.apmr.2012.06.008 

  8. Coleman, W. P., & Geisler, F. H. (2004). Injury severity as primary predictor of outcome in acute spinal cord injury: Retrospective results from a large multicenter clinical trial. Spine Journal, 4, 373-378. doi:10.1016/j.spinee.2003.12.006 

  9. Curt, A., Schwab, M. E., & Dietz, V. (2004). Providing the clinical basis for new interventional therapies: Refined diagnosis and assessment of recovery after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42(1), 1-6. doi: 10.1038/sj.sc.3101558 

  10. Dahl, T. H. (2002).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n introduction and discussion of its potentional impact on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esearch.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4, 201-362. doi:10.1038/sj.sc.3101310 

  11. Dijkers, M. P., Yavuzer, G., Ergin, S., Weitzenkamp, D., & Whiteneck, G. G. (2002). A tale of two countries: Environmental impacts on social particip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40, 351-362. doi: 10.1038/sj.sc.3101310 

  12. Han, C., Fukushima, T., & Ide, M. (2010). Measuring perceived environment barriers in Korean community-dwelling disabilities. Korea Academy of Care Management, 5, 47-66. 

  13.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Research Institute, 11(1), 107-130. 

  14. Kearney, P. M., & Pryor, J. (2004).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and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162-170. doi:10.1111/j.1365- 2648.2003.02976.x 

  15. Kim, H. Y. (2003). Study on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Ma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Pusan. 

  16. Kirchberger, I., Biering-Sorensen, F., Charlifue, S., Baumberger, M., Campbell, R., Kovindha, A., ... Stucki, G. (2010). Identification of the most common problems in functioning of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Spinal Cord, 48, 221-229. doi:10.1038/sc.2009.116 

  17. Larsson Lund, M., Nordlund, A., Nygard, L., Lexell, J., & Bernspang, B. (2005). Perceptions of participation and predictors of perceived problems with participation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7(1), 3-8. doi: 10.1080/16501970410031246 

  18. Lee, H. S., Chang, K. Y., Jung, M. Y., Ku, I. S., & Woo, H. S. (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2), 89-112. doi:10.14519/jksot.2014.22.2.07 

  19. Lund, M. L., Nordlund, A., Bernspang, B., & Lexell, J. (2007). Perceived participation and problems in participation ar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peoplewith spinal cord injur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9, 1417-1422. doi:10.1080/09638280601029068 

  20. Noreau, L., Fougeyrollas, P., & Boschen, K. (2002). Perceived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n social participation among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Topics in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7(3), 56-72. doi:10.1310/1UGA-EY2T-N6XP-1PHE 

  21. Park, S. (201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 Korean version for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 

  22. Park, K. Y., Chung, Y. J., & Kim, J. H. (2009).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SCIM)III.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3), 97-109. 

  23. Pendleton, H. M., & Schultz-Krohn, W. (2013).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t. Louis, MO: Elsevier Health Sciences. 

  2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Rowell, D., & Connelly, L. B. (2008). Personal assistance, income and employment: The Spinal Injuries Survey Instrument (SISI) and its application in a sample of people with quadriplegia. Spinal Cord, 46, 417-424. doi:10.1038/sj.sc.3102157 

  26. Schonherr, M. C., Groothoff, J. W., Mulder, G. A., & Eisma, W. H. (1999). Functional outcome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outcome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13, 457-463. doi:10.1191/026921599666105472 

  27. Schkade, J. K., & Schultz, S. (1992). Occupational adaptation: Toward a holistic approach for contemporary practice, part 1.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6, 829-837. doi:10.5014/ajot.46.9.829 

  28. Sherer, M., Maddux, J.,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9. Toe, S. H. J., Sew, S., Backman, C. Forwell, S., Lee, W. K., Chan, P. L., & Dean, E. (2011). Health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in Singapore: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3, 1460-1474. doi:10.3109/ 09638288.2010.533812 

  30. Whiteneck, G. G., Charlifue, S. W., Gerhart, K. A., Overholser, J. D., & Richardson, G. N. (1992). Quantifying handicap: A new measure of long-term rehabilitation outcom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3, 519-526. 

  31. Whiteneck, G., Meade, M. A., Dijkers, M., Tate, D. G., Bushnik, T., & Forchheimer, M. B. (2004).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role in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 1793-1803. doi:10.1016/j.apmr.2004.04.024 

  32. World Health Orgnization. (2001). International Classifici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Swiss: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