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

The Lives Experience of Visiting Nurses of Home-based Long-term Care Service Center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1, 2019년, pp.603 - 618  

변진이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방문간호 경력 1년 이상인 10명의 방문간호사들로 목적적 표집과 편의 표집, 눈덩이식 표집 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7일부터 2018년 10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은 총 23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van Manen이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에 근거를 두고 전체론적(holistic) 방법과, 선택적(selective) 방법, 그리고 세분법(detailed)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은 6개 본질적 주제와 20개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는 '대상자 및 보호자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 '주도적 간호수행으로 방문간호의 기반을 다져감', '지원체계 미비로 원하는 만큼의 간호를 제공하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함', '간호의 진정성이 전달되지 않을 때 속상함', '내 환자라는 책임감을 가지고 돌봄의 소명을 다함', '방문간호사로서 보람과 의미를 느끼며 오래도록 일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들의 간호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nursing experience of visiting nurses of home-based long-term care service centers by us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A total of 10 home-visiting nurse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ere recruited through ...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보험이란 무엇인가? 이런 고령화 추세는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와 부양 노인 인구의 증가라는 사회적 문제를 가져왔고[2], 우리나라는 노인 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였다[3]. 노인장기요양보험이란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으로 인하여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는 사회보험으로 시설급여, 재가급여(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등), 특별 현금급여로 서비스가 구분된다[3].
van Manen이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을 사용한 자료 분석 방법은 무엇인가?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7일부터 2018년 10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은 총 23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van Manen이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에 근거를 두고 전체론적(holistic) 방법과, 선택적(selective) 방법, 그리고 세분법(detailed)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은 6개 본질적 주제와 20개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유일한 의료서비스인 방문간호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가? 재가급여 중 유일한 의료서비스인 방문간호는 장기요양요원인 간호사 등이 간호요구도가 높은 대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간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병원 입원이나 시설 입소를 지연시키고, 대상자가 지속적으로지역사회에 거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4]. 방문간호사는 방문간호지시서에 근거하여 간호처치를 수행하고,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대상자 평가 및 신체기능 측정과 같은 기본간호에서부터 대상자와 보호자에 대한 교육·상담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의 간호 서비스를 제공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통계청, 2017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018. 

  2. 박선아, 임지영,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서비스 수행도와 필요도," 가정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81-188, 2017. 

  3. 국민건강보험공단, 2016년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 

  4. 이상진, 곽찬영,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서비스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272-283, 2016. 

  5. 권민영, 임지영, 이영휘, 김화순,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간호서비스에 대한 방문간호사의 인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5-18, 2010. 

  6. 김명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한 방문간호사의 역할.업무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32-250, 2009. 

  7. M. R. Acuna, "Efectiveness of home visits in the elderly on functional status, mortality and nurse home admission," Gerokomos, Vol.24, No.2, pp.78-80, 2013. 

  8. K. Lee and E. Cho,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needs for older adults with a stroke: a comparison of home care and nursing home care,"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14, No.2, pp.103-111, 2017. 

  9. 김지연, 김홍수,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과 노인 가족돌봄제공자의 돌봄 스트레스," 한국간호과학회, 제46권, 제6호, pp.836-847, 2016. 

  10. M. Washio, K. Takeida, Y. Arai, E. Shang, A. Oura, and M. Mori, "Depression among family caregivers of the frail elderly with visiting nursing services in the Northernmost city of Japan," International Medical Journal, Vol.22, No.4, pp.250-253, 2015. 

  11. H. Y. Lee, Y. J. Ju, E. C. Park, J. Kim, and S. G. Lee, "Effects of home-visit nursing services on hospitalization in the elderly with pressure ulcer: a longitudinal study,"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27, No.5, pp.822-826, 2017. 

  12. M. Kashiwagi, N. Tamiya, M. Sato, and E. Yano,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home visit nursing services covered by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rural Japan a cross-sectional study," BMC Geriatrics, Vol.13, No.1, pp.1-11, 2013. 

  13. D. Russell and K. H. Bowles, "Continuity in visiting nurse personnel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atient experience," Home Health Care Management and Practice, Vol.28, No.2, pp.120-126, 2016. 

  14. T. Naruse, M. Fujisaki-Sakai, and S. Negata, "Home visiting nurse service duration and factors related to institution admission," Home Health Care Management & Practice, Vol.29, No.1, pp.46-55, 2017. 

  15. E. E. M. Maurits, A. J. E. Veer, P. P. Groenewegan, and A. L. Francke, "Home care nursing staff in self-directed team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feel they have more autonomy over patient care: a nationwide survey," J. of Advanced Nursing, Vol.73, No.10, pp.2430-2440, 2017. 

  16. T. Naruse, M. Sakai, L. Watai, A. Tauchi, Y. Kuwahara, S. Nagata, and S. Murashima.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related to work engagement among home-visiting nurses in Japan,"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10, No.2, pp.267-272, 2013. 

  17. R. Takashima, K. Tanabe, T. Morita, Y. Amemiya, Y. Fujikawa, H. Yasuda, T. Kashii, and N. Murakami, "Usefulness of a collaborative home visit program between hospital and visiting nurses," Journal of Hospice and Paliative Nursing, Vol.17, No.6, pp.524-535, 2015. 

  18. 강새봄, 김홍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권고군의 방문간호 이용과 의료 이용의 관계," 보건행정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83-290, 2014. 

  19. 김지은, 이인숙, "이중차이분석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방문간호서비스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6권, 제2호, pp.89-99, 2015. 

  20. 김은경, 김윤미, 김명애,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서비스의 소요시간별 방문당 원가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제40권, 제3호, pp.349-358, 2010. 

  21. 임지영, 김은주, 최경원, 이정석, 노원정,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283-299, 2012. 

  22. 박찬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하에서 방문간호사의 방문간호서비스," 간호과학, 제21권, 제1호, pp.64-72, 2009. 

  23. 변도화,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방문간호센터 운영의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간호학회, 제29권, 제2호, pp.203-218, 2015. 

  24. 최성미, 이미경, "가정전문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의사결정능력과의 관계," 가정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47-155, 2015. 

  25. M. van Manen, 신경림 역,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현문사, 2000. 

  26. M. van Mane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London: Routledge, 2016. 

  27. M. Q. Patton, 김진호 등 저, Patton과 함께하는 행복한 여행; 질적연구 및 평가 방법론, 파주: 교육과학사, 2017. 

  28. J. W. Creswell and C. N. Poth,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2017. 

  29. M. Sandelowski,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8, No.3, pp.27-37, 1986. 

  30. T. Shalof and J. Shamian, 대한간호협회 편, Bring It Home, 서울: 대한간호협회, 2015. 

  31. 조조 모예스, 김선형 역, 미 비포 유 , 파주: 살림, 2013. 

  32. B. M. Walivaara, S. Savenstedt, and K. Axelsson, "Caring relationships in home-based nursing care-registered nurses's experience," The open Nursing Journal, Vol.7, pp.89-95, 2013. 

  33. K. H. Lee, D. L. Algase, and E. S. McConnell, "Daytime observed emotional expressions of people with dementia," Nursing Research, Vol.62, No.4, pp.218-225, 2013. 

  34. 이용재, 강태우, "장기요양수급 대상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156-165, 2014. 

  35. L. Hafskjold, V. Sundling, V. Dulmen, and H. Eide, "The use of supportive communication when responding to older people's emotional distress in home care: An observational study," BMC nursing, Vol.16, No.24, pp.1-12, 2017. 

  36. M. Shimizu, M. Nishimura, Y. Ishii, M. Kuramochi, N. Kakuta, and M. Miyashit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for attitudes, self-reported practices, difficulties and knowledge among home care nurses providing palliative care,"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Vol.22, pp.8-22, 2016. 

  37. Y. Nakamura, "Expert visiting nurse station managers expectations of visiting nurses performance; based on manager involvement in personnel utilization and training," J. of Jap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Vol.33, No.4, pp.33-42, 2013. 

  38. 정현진, 박종덕, 김승희, 최은희, 박해용, 김아름, 고령화 시대에 대응한 통합재가서비스 활성화 방안,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4. 

  39. W. Ono, "Development of grief care education program for visiting nurses in Japan," J.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Vol.18, No.3, pp.233-241, 2016. 

  40. B. E. Bendixen, M. Kirkevold, M. Graue, and J. Haltbakk, "Experiences of being a family member to an older person with diabetes receiving home care servic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Vol.32, No.2, pp.805-814, 2018. 

  41. E. Cho, E. Y. Kim, and N. J. Lee, "Effects of informal caregivers on function of older adults in home health car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5, No.1, pp.57-75, 2013. 

  42. 한민경, 재가와병노인 가족의 방문간호 체험: 방문간호사에 관한 이야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3. A. Taguchi, T. Naruse, Y. Kuwahara, A. Matsunaga, S. Nagata, and S. Murashima, "Characteristics of clients using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s at nighttime and early morning in Japan: focusing on clients' cancellation of services of visiting nurses at nighttime and early morning," Home Health Care Management and Practice, Vol.26, No.4, pp.250-256, 2014. 

  44. O. Araujo, L. Lage, J. Cabrita, and L. Teixeira.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ECPICID-AVC to measure informal caregivers' skills when caring for older stroke survivors at hom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Vol.30, No.4, pp.821-829, 2016. 

  45. 조남옥, 고성희, 김춘길, 양수, 오경옥, 이숙자, 정유진, "가족, 간병인, 간호사가 인지하는 노인요양보호사 교육의 중요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27-137, 2008. 

  46. 정운숙, 임은실, "뇌졸중 이환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와 시설 서비스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4호, pp.388-398, 2016.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