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 Q방법론 적용
Subjective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4, 2019년, pp.156 - 165  

이은주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  황경혜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조옥희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75개의 Q 모집단 중 최종 34개의 Q표본을 선정하고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43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9점 척도의 Q-분류를 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 QUANAL Program으로 주요인분석을 하였다. 결과: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는 모두 3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전체변량은 49.96%였다. 제1유형인 '생명의료 희망형'은 말기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생명을 연장하기를 원한다고 생각하였다. 제2유형인 '서비스 제공 요구형'은 말기환자가 미리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다학제적인 간호와 이에 대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제3유형인 '죽음 수용 인식형'은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여 품위 있게 죽기를 원한다고 생각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다양한 주관적 태도를 파악했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말기환자에 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ubjective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in nursing students who had clinical practice. The types of subjective attitude were classified by applying Q methodology. According to those types, basic 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를 분석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말기환자에 대한 간호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는 연명의료 희망형, 서비스 제공 요구형, 죽음 수용 인식형으로 분류되었다.
  • 본 연구 결과,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은 말기환자가 연명의료를 희망하거나 서비스 제공을 요구하고 있으며, 죽음을 수용하고 있다는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임상 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인 태도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맞춤형 중재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말기환자의 주관적 태도 유형을 토대로 상황별 말기환자의 임상사례를 개발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의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를 알아보고자 Q 방법론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말기환자에 대한 간호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Q 방법론을 이용하여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인 태도를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별로 적합한 말기환자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기환자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말기환자에 대한 합의적 정의나 관련법이 최근에서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말기환자에 대한 정확한 구분은 명확하지 않다. 최근 개정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에 의하면 말기환자란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근원적인 회복의 가능성이 없고 점차 증상이 악화되어 담당의사와 해당 분야의 전문의 1명으로부터 수개월 이내에 사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진단을 받은 환자를 말한다(1). 임상현장에서는 여러 진단검사 결과와 신체적인 증상을 고려하여 말기 환자로 판단하는데, 의학기술의 발달로 환자의 생존기간이 점차 연장되어 가고 환자마다 증상이 다양하여 말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세우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인 태도를 유형화한다. 둘째,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기술한다.
말기 암환자가 호소하는 신체적 고통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말기에는 질병의 진행과정이 매우 다양하고 생리학적 특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2), 말기 암환자의 경우에는 통증과 식욕부진, 허약감, 변비, 안절부절, 호흡곤란, 구강건조 등의 신체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3). 또한 무기력, 외로움, 소외감의 증가, 통제력 상실 및 죽음에 대한 두려움(4)뿐만 아니라 여명이 3개월 미만인 환자의 경우에는 우울증을 경험하거나 안락사를 요구하기도 하여(5)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도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ternet].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1997-2019. [cited 2019 Jul 1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205656&efYd20190328#0000. 

  2. Lee SM, Kim SJ, Choi YS, Heo DS, Baik S, Choi BM, et al.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definition of the end stage of disease and last days of life and criteria for medical judgement. J Korean Med Assoc 2018;61:509-21. 

  3. Potter J, Hami F, Bryan T, Quigley C. Symptoms in 400 patients referred to palliative care services: prevalence and patterns. Palliat Med 2003;17:310-4. 

  4. Rydahl-Hansen S. Hospitalized patients experienced suffering in life with incurable cancer. Scand J Caring Sci 2005;19:213-22. 

  5. van der Lee ML, van der Bom JG, Swarte NB, Heintz PM, de Graeff A, van den Bout J. Euthanasia and depression: a prospective cohort study amo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 Clin Oncol 2005;23:6607-12. 

  6. Kim MA, Kim SH. Subjectivity toward death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3;9:7-16. 

  7. Kwekkeboom KL, Vahl C, Eland J. Companionship and education: a nursing student experience in palliative care. J Nurs Educ 2005;44:169-76. 

  8. Smith-Stoner M, Hall-Lord ML, Hedelin B, Petzall K. Nursing students’ concerns about end of life in California, Norway, and Sweden. Int J Palliat Nurs 2011;17:271-7. 

  9. Munoz-Pino IP.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upon their first care encounter with terminally ill patients. Invest Educ Enferm 2014;32:87-96. 

  10. Adesina O, DeBellis A, Zannettino L. Third-year Australian nursing students’ attitudes, experiences, knowledge, and education concerning end-of-life care. Int J Palliat Nurs 2014;20:395-401. 

  11. Hoe KS, Park E. Clinical nurses’ perceived or experienced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sian Oncol Nurs 2016;16:147-57. 

  12. Kim DR, Han EK, Kim SH, Lee T, Kim KN. Factors influencing nurses’ ethical decision-making regarding end-of-life care. Korean J Med Ethics 2014;17:34-47. 

  13. Aradilla-Herrero A, Tomas-Sabado J, Gomez-Benito J. Death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nursing students. Omega (Westport) 2012-2013;66:39-55. 

  14. Cerit B. Influence of training on first-year nursing department students’ attitudes on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study. Omega (Westport) 2019;78:335-47. 

  15. Kim O, Lim S.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well-dying,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7;18:63-71. 

  16. Kim SH, Kim DH, Son HM. Comparison of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ward death,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1;14:144-51. 

  17. Lee HJ. A study on the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n hospice care. J East-West Nurs Res 2013;19:88-95. 

  18. Lee SW, Lee SY, Lee YW, Kuwano N, Ando M, Hayashi M, et al.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from South Korea, Japan and Indonesi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212-21. 

  19. Choi EJ, Jeong HS.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good death recognition, and self-esteem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J Korea Acad-Indust cooperat Soc 2018;19:275-84. 

  20. Kim GM, Sung KS, Kim EJ.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Child Health Nurs Res 2017;23:292-9. 

  21. Kim YH, Yoo YS, Cho OH.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wards death of terminal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1-9. 

  22. Ek K, Westin L, Prahl C, Osterlind J, Strang S, Bergh I, et al.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exploring first-year nursing students' descriptive experiences. Int J Palliat Nurs 2014;20:509-15. 

  23. Terry LM, Carroll J. Dealing with death: first encounters for first-year nursing students. Br J Nurs 2008;17:760-5. 

  24. Yang SA. Convergenc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nd-of-life care attitude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 Korea Converg Soc 2016;7:141-54. 

  25. Kim HK. Understanding Q methodology for subjectivity research. Seoul J Nurs 1992;6:1-11. 

  26. Kim HK.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Communication Books;2008. p. 78-191. 

  27. Young doctor. Determination of voluntary life-sustaining treatment '29 times' increase in a year [Internet]. Seoul: Young doctor; 2019 [cited 2019 Jul 9]. Available from: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0087. 

  28. Yun YH. Hospice care for improving terminally ill patients’ quality of life. J Korean Med Assoc 2008;51:530-5. 

  29. Fact sheet: Social values in end-of-life care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Social Affairs; 2014 Dec 31. [cited 2019 Jul 15].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web /publication/research/view.do?menuId44&tid71&bid12&division001&ano1883. 

  30. Chen YC, Del Ben KS, Fortson BL, Lewis J. Differential dimensions of death anxiety in nursing students with and without nursing experience. Death Stud 2006;30:919-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