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Alnus japonica Stem Extract against Porphyromonas gingivali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12, 2019년, pp.1386 - 1392  

김혜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  조수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유래 구강건강소재로써 염료식물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오리나무, 옻나무, 치자나무, 황칠나무, 황벽나무, 회화나무 줄기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6 종의 국내 자생 염료식물의 줄기에서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 중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1 mg/disc)이 치주질환 원인균인 P. gingivalis KCTC5352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은 P. gingivalis KCTC5352에 대해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chlorhexidine과 유사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 gingivalis KCTC5352의 MIC는 0.4 mg/ml였고 MBC는 0.6 mg/ml였다.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이 0.2-2.0 mg/ml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P. gingivalis KCTC5352의 바이오필름 생성율과 세균 생육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P. gingivalis KCTC5352의 superoxide dismutase (SOD)와 섬모에 대한 mRNA 발현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은 치주질환 원인균인 P. gingivalis KCTC5352에 대한 항균활성과 생물막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천연물유래 구강건강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dye plants as natural oral health product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stem extracts of A. japonica, R. verniciflua Stokes, G. jasminoides, D. morbifera, P. amurense Rupr., and S. japonica against P. gingivalis KCTC 5352, S. mutans KCTC3065, S. dow...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은 P. gingivalis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천연물유래 구강건강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을 선발하여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구강미생물인 P. gingivalis에 대한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과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여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오리나무 줄기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 내 치면세균막에 의해 유발된 치석을 계속 방치했을 경우 나타나는 증상은? 치면세균막이 적절하게 제거되지 못하면 치면에 침착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치석으로 변하게 된다. 치석은 계속 방치하게 되면 치은출혈, 부종, 치조골 흡수로 인한 치아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고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원인이 된다[10]. 치주질환은 치아 주변 조직인 치은, 치조골, 치주인대 및 백악질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치아 소실의 주요한 원인이며 동맥경화증과 같은 심혈관질환뿐만 아니라 폐혈증, 유산, 조산, 폐렴 및 당뇨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치면세균막이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은 구강 내 존재하는 세균에 의해 발병되는 세균감염성 질환이며 구강 세균은 음식물 섭취를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고 세균 밀도가 높아지면 치아표면에 치면세균막(dental biofilm)이라 불리는 세균막(biofilm)을 형성하게 된다. 치면세균막은 치아 표면에 부착된 당 단백질(glycoprotein) 성분의 얇은 막에 약 700여 종 이상의 세균들이 부착하여 형성된 점착성 세균막이다[16]. 구강 내 치면세균막은 물리적으로 두꺼운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부 물질의 침투가 어렵고, 세포 간 상호작용을 통해 유전적 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부유 세균에 비해 항균 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24, 25].
구강 내 치면세균막의 특성은? 치면세균막은 치아 표면에 부착된 당 단백질(glycoprotein) 성분의 얇은 막에 약 700여 종 이상의 세균들이 부착하여 형성된 점착성 세균막이다[16]. 구강 내 치면세균막은 물리적으로 두꺼운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부 물질의 침투가 어렵고, 세포 간 상호작용을 통해 유전적 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부유 세균에 비해 항균 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24, 25]. 치면세균막이 적절하게 제거되지 못하면 치면에 침착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치석으로 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S. W., Kim, Y. G., Kim, M. H., Lee, B. I., Lee, S. H., Kwon, H. I., Hwang, B. and Lee, H. Y. 1999. Comparison of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ing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sis Thumb and Alnus japonica Steud. Kor. J. Med. Crop Sci. 7, 263-268. 

  2. Back, H. S., Kang, S. K., Auh, K. S., Chun, Y. S. and Hong, J. P. 2013. Effect of antibacterial effects of myrrh, rhatany, chamomomilla against to oral microorganisms. J. Oral Med. Pain 38, 299-312. 

  3. Buitelaar, R. M., Langenhoff, A. A. M., Heidstra, R. and Tramper, J. 1991. Growth and thiophene production by hairy root culture in various two liquid phase bioreactiors. Enz. Microbiol. Technol. 13, 487-494. 

  4. Choi, H. J., Heo, N. S., Choi, Y. W., Lee, Y. G., Jeong, Y. K. and Joo, W. H. 2012. Antimicrobial and anti-halitosis effects of Alnus firma extracts. J. Life Sci. 22, 1071-1076. 

  5. Darveau, R. P., Tanner, A. and Page, R. C. 1997. The microbial challenge in periodontitis. Periodontol. 2000 14, 12-32. 

  6. Davidson, P. M. and Parish, M. 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8-152. 

  7. Gerits, E., Verstraeten, N. and Michiels, J. 2017. New approaches to combat Porphyromonas gingivalis biofilms. J. Oral Microbiol. 9, 1300366. 

  8. Haffajee, A. D. and Socransky, S. S. 1994. Microbial etiological agents of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s. Periodontol. 2000 5, 78-111. 

  9. Han, S. M., Hong, I. P., Woo, S. O., Park, K. K. and Chang, Y. C. 2016. Anticariogenic activity purified bee venom (Apis mellifera L.) against four cariogenic bacteria. Kor. J. Pharmacogn. 47, 43-48. 

  10. Hwang, Y. J., Cho, Y. S. and Lee, S. Y. 2015.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J. Dent. Hyg. Sci. 15, 620-627. 

  11. James, P., Worthington, H. V., Parnell, C., Harding, M., Lamont, T., Cheung, A., Whelton, H. and Riley, P. 2017. Chlorhexidine mouthrinse as an adjunctive treatment for gingival health. Cochrane Database Syst. Rev. 3, CD008676. 

  12. Kim, H. J., Yeom, S. H., Kim, M. K., Shim, J. G., Paek, I. N. and Lee, M. W. 2005.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2 synthesis inhibitory activities of diarylheptanoids from the barks of Alnus japonica Steudel. Arch. Pharm. Res. 28, 177-179. 

  13. Kim, H. S., Kwon, H. S., Kim, C. H., Lee, S. W., Sydara, K. and Cho, S. J. 2018.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Diospyros malabarica stems on growth and biofilm formation of oral bacteria. J. Life Sci. 28, 110-115. 

  14. Kim, S. Q., Shin, M. K., Auh, Q. S., Lee, J. Y., Hong, J. P. and Chun, Y. H. 2007. Effect of phytoncide on Porphyromonas gingivalis. J. Oral Med. Pain 32, 137-150. 

  15. Kim, S. T., Kim, J. D., Ahn, S. H., Ahn, G. S., Lee, Y. I. and Jeong, Y. S. 2004.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Alnus japonica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Phytother. Res. 18, 971-975. 

  16. Kim, S. Y., Woo, D. H., Lee, M. A., Kim, J. S. and Lee, J. H. 2017. Red fluorescence of oral bacteria interacting with Porphyromonas gingivalis. J. Kor. Acad. Oral Health 41, 22-27. 

  17. Kuroyanagi, M., Shimomae, M., Nagashima, Y., Muto, N., Okuda, T., Kawahara, N., Nakane, T. and Sano, T. 2005. New diarylheptanoids from Alnus japonica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Chem. Pharm. Bull. 53, 1519-1523. 

  18. Kwon, H. J., Parkm J. W., Yoon, M. S., Chung, S. K. and Han, M. D. 2008. Dental hygiene and dental educ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halitosis in korean patients. J. Kor. Acad. Oral Health 32, 231-242. 

  19. Lee, J. Y. and Lee, M. O. 2016. Influential factors for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adults on periodontal diseases and their belief. J. Kor. Cont. Associ. 16, 295-307. 

  20. Lee, M. W., Kim, J. H., Jeong, D. W., Ahn, K. H., Toh, S. H. and Surh, Y. J. 2000.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expression by diarylheptanoids from the bark of Alnus hirsuta var. Sibrica. Biol. Pharm. Bull. 23, 517-518. 

  21. Lee, M. W., Tanaka, T., Nonaka, G. I. and Nishioka, I. 1992. Dimeric ellagitannins from Alnus japonica. Phytochemistry 31, 2835-2839. 

  22. Lee, Y. A., Kim, K. H., Kim, J. S., Cho, S. M., Kim, S. W. and Lee, M. W. 2000. Antioxidative effects of diarylhepatonoids from Alnus hirsuta. Arch. Pharm. Res. 44, 193-196. 

  23. Lopez, N. J. 2000. Occurrence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Prevotella intermedia in progressive adult periodontitis. J. Periodontol. 71, 948-954. 

  24. Marsh, P. D. 2004. Dental plaque as a microbial biofilm. Caries Res. 38, 204-211. 

  25. Marsh, P. D. 2006. Dental plaque as a biofilm and a microbial community-implications for health and disease. BMC Oral Health 6, S14. 

  26. Na, C. S., Lee, S. B., Kim, J. B., Chung, H. S. and Dong, M. S. 201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Alnus japonica Steud on the experimentally-induced acute gastritis and peptic ulcers in rats. Kor. J. Pharmacogn. 43, 72-78. 

  27. Nagano, K., Abiko, Y., Yoshida, Y. and Yoshimura, F. 2012. Porphyromonas gingivalis fimA fimbriae: roles of the fim gene cluster in the fimbrial assembly and antigenic heterogeneity among fimA genotypes. J. Oral Biosci. 54, 160-163. 

  28. Nakayama, K. J. 1994. Rapid viability loss on exposure to air in a superoxide dismutase-deficient mutant of Porphyromonas gingivalis. J. Bacteriol. 176, 1939-1943. 

  29. Park, H. R. and Hong, S. J. 2015. Research on natural medicine for wellness and oral health J. Digital Convergence 13, 357-363. 

  30. Stevic, T., Savikin, K., Zdunic, G., Stanojkovic, T., Juranic, Z., Jankovic, T. and Menkovic, N. 2010. Antioxidant, cytotoxic,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lnus incana (L.) ssp. incana Moench and A. viridis (Chaix) DC ssp. viridis extracts. J. Med. Food 13, 700-704. 

  31. Van der Ploeg, J. R., Giertsen, E., Ludin, B., Morgeli, C., Zinkernagel, A. S. and Gmur, R. 2004. Quantitative dete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fimA genotypes in dental plaque. FEMS Microbiol. Lett. 232, 31-37. 

  32. Wada, H., Tachibana, H., Fuchino, H. and Tanaka, N. 1998. Three new diarylheptanoid glycosides from Alnus japonica. Chem. Pharm. Bull. 46, 1054-1055. 

  33. Zhang, Y., Wang, Y., Zhu, X., Cao, P., Wei, S. and Lu, Y. 2017.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eugenol from essential oil of Syzygium aromaticum (L.) Merr. & L. M. perry (clove) leaf against periodontal pathogen Porphyromonas gingivalis. Microb. Pathog. 113, 396-402. 

  34. Zhou, L., Ding, Y., Chen, W., Zhang, P., Chen, Y. and Lv, X. 2013. The in vitro study of ursolic acid and oleanolic acid inhibiting cariogenic microorganisms as well as biofilm. Oral Dis. 19, 494-5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