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건강검진과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간 관련성 분석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creening and Unmet Healthcare Needs: Using KNHANES(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4 no.4, 2019년, pp.1 - 12  

정석환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  백승찬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  김재현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imilar factors between reasons for unscreening and unmet health care needs through prior research, and based on this, we wanted to figure out the relevance between the medical screening and unmet health care needs. Methodology: The analysis wa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가에서 시행하는 일반건강검진은 심‧뇌혈관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 기존의 만 40세 이상의 대상에서 만 20세 이상으로 대상을 확대하였으며 격년 주기로 대상자를 선정한다[12]. 국가 암검진은 국민의 사망원인 1위인 암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를 유도함으로써 암 치료율을 높이고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5대암인 위암(만40세 이상), 대장암(만 50세 이상), 유방암(만 40세 이상여성), 자궁경부암(만 20세 이상 여성). 간암(만 40세 이상 중 간암발생고위험군 해당자)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다[17].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관련 선행연구인 소득수준, 장애인과 노인 등 취약계층에서 발생하는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연구[8, 24]와 서비스 이용 가용성, 개인의 선택, 서비스 대기 시간 등으로 세분화한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요인 및 형평성 연구[25, 26]와는 달리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뿐 아니라 전국민표본집단의 검진수진여부와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관련 선행연구인 소득수준, 장애인과 노인 등 취약계층에서 발생하는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연구[8, 24]와 서비스 이용 가용성, 개인의 선택, 서비스 대기 시간 등으로 세분화한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요인 및 형평성 연구[25, 26]와는 달리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취약계층뿐 아니라 전국민표본집단의 검진수진여부와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많은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중 사망률에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암, 심‧뇌혈관질환,폐렴, 당뇨 등을 조기에 발견하거나 진단할 수 있는 일반건강검진과 암검진[12]을 중심으로 일반건강검진과 암검진 모두 받지 않은 집단과 두 검진 중 하나의 검진만 받은 집단, 두 검진 모두 받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보건복지부의 노인기준연령에 따라 65세 미만과 이상 그리고 성별 4계층으로 분할하여 일반건강검진과 암검진의 수진여부가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여부에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검진대상자의 검진 수진여부가 건강형평성 측면에서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1차년도(2016)와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해 건강검진과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간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일반적인 특성으로 필요의료서비스에 미충족하는 사람은건강검진을 수진한 집단에 비해 수진하지 않은 집단에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건강검진을 수진하지 않은대상의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사유는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검진과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검진대상자만을 조사한 연구로 "비해당(청소년과 소아)"과 "모름(또는 무응답)"에 해당하는 대상은 제외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의료보장제도의 특징은? 우리나라 의료보장제도는 전 국민이 소득과 건강상태에 관계없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1] 모든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고자 하지만 건강보험 정책의 보장성 부족으로 인해 높은 부담률을 지닌다[2, 3]. 또한, 의료비 증가율은 지난 10년간 OECD 증가율 1.
수진여부에 따른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이 일반건강검진을 수진한 사람보다 암 건진을 진료 받은 사람이 더 높게 나온 이유는? 본 연구에서 건강검진 수진여부에 따른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은 일반건강검진을 수진한 사람보다 암 검진을 진료받은 사람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암이 우리나라 사망원인 1순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5대암을 중점적으로 검진하는 암검진에 비해 일반건강검진에서 시행하는 검사가 더 많으며, 사망원인에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암 이외의 만성질환(심·뇌혈관, 고혈압, 당뇨등)은 일반건강검진을 통해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이며,실제 일반건강검진의 유질환자 판별률이 암검진에 비해높아[27-29] 암검진만 수진한 사람이 일반건강검진만 수진한 사람에 비해 필요의료서비스 미충족 발생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필요의료서비스에 대한 미충족은 언제 발생하는가? 필요의료서비스에 대한 미충족은 의료에 접근‧이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의료서비스를 원하는 시간이나 장소에서 이용할 수 없을 때 야기되는 가용성, 의료서비스를 경제적인 지불 능력 또는 이동수단의 문제로 이용할 수 없을 때 야기되는 접근성 그리고 의료서비스에 대한 의료 정보 부족과 낮은 지식 수준으로 인해 이용할 수 없을 때 야기되는 수용성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다[6]. 필요 의료서비스에 대한 미충족은 치료가 필요할 때 적시에 제공받지 못하여 질병이 악화되고, 질병의 악화는 사망률 증가에도 영향을 끼치며, 필요 의료서비스 미충족을 지속해서 경험하는 특정계층의 건강수준을 악화시킬 수 있는 악순환 연속의 중심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hoi R, Hwang BD. Analysis of Unmet Medical Needs according to Mental Health.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6. 10(1): p. 117-129. 

  2. Huh SI, Kim SJ. Unmet Needs for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Korean Health Economic Review., 2007. 13(2): p. 1-16. 

  3. Kim KS, Lee HO.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Unmet Needs depending on the Types of Health Care System. Social Welfare Policy, 2012. 39(4): p. 255-279. 

  4. OECD. Society at a glance 2019 : OECD Social Indicators. 2019. 

  5. Song HY, Choi JW, Park EC. The Effect of Economic Participatory Change on Unmet Needs of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Health Policy and Mangement, 2016. 25(1): p. 11-21. 

  6. Chen J, Hou F. Unmet needs for health care. Health Rep, 2002. 13(2): p. 23-34. 

  7. Shin YJ, Shon JI. The Prevalence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 -Using 1st and 2nd Korea Welfare Panel Dat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9. 29(1): p. 95 - 122. 

  8. Shin JE. Determinants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Adults with Disabilities: A Ca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 33(2): p. 549-577. 

  9. Oh HY, Gil EH.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Korean Adults with Hypertension. Korean J Adult Nurs, 2017. 29(1): p. 22-31. 

  10.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Healthy People 2010 Final Review.Hyattsville, MD. 2012. 

  11. Cunningham P.J, Hadley J. Differences between symptom-specific and general survey questions of unmet need in measuring insurance and racial/ethnic disparities in access to care. Med Care, 2007. 45(9): p. 842-50. 

  12. NHIS. General Health Examination Guide. 2019. 

  13. Choi R, Hwang BD. Use Characteristics of Health Examinations Services from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 11(2): p. 331-340. 

  14. Maciosek M.V, et al. Priorities among effective clinical preventive services: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and analysis. Am J Prev Med, 2006. 31(1): p. 52-61. 

  15. NECA.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Project. MOHW, 2011. 

  16. Jee SH, et al. The mortality rate and medical cost by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alysis.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4. 13(4): p. 1-56. 

  17. NHIS. General Cancer Examination Guide. 2019. 

  18. Mun YO,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Population Needed to Have Cancer Screening.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2007. 7(3): p. 157-164. 

  19. Okura M, et al. Health checkup behavior and individual health beliefs in older adults. Geriatr Gerontol Int, 2018. 18(2): p. 338-351. 

  20. Shin HE, Chung WK. The Effect of Working Hours Reduction o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9. 25(1): p. 53-75. 

  21. Lee AK, Lee SM, Park IS. Analyses of the Non-Examinees Characteristics for the Effective Health Screening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06. 16(1): p. 54-72. 

  22. Yeo JY, Jeong HS. Determinants of health screening and its effects on health behavi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012. 22(1): p. 49-64. 

  23. Uhm HS, Kang YJ. Investig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Consistency of Participation in examination of General Health Examination.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5. 55: p. 293-294. 

  24. Shin HE, et al. A Systematic Study on Health Care Factors for the Elderl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9. 25(1): p. 29-52. 

  25. Hwang J, et al. Measurin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eye care services among patients with diabetes in Alberta, Canada, 1995-2009. Diabetes Res Clin Pract, 2017. 127: p. 205-211. 

  26. Sibley L.M, Glazier R.H. Reasons for self-reported unmet healthcare needs in Canada: a population-based provincial comparison. Healthc Policy, 2009. 5(1): p. 87-101. 

  27. NHIS. Results of the first general health examination by city, county and district : People with disease. 2015. [Interne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6 [2018.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7_N098&conn_pathI2 

  28. NHIS. Results of the first general health examination by city, county and district : People with disease. 2016. [Interne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7 [2018.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7_N098&conn_pathI2 

  29. NHIS. Results of the first general health examination by city, county and district : People with disease. 2017. [Interne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8 [2018.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7_N098&conn_pathI2 

  30. Teo, C.H, et al.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health screening in men: A systematic review. Soc Sci Med, 2016. 165: p. 168-176. 

  31. Choi YJ, Park HC, Yun YB. Medical Panel Data Analysis Through Data Pre-processing : Focusing on Activities for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2019. 16(2): p. 179-187. 

  32. Hwang BD, Choi R. The Prevalence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s by Age Group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5. 9(1): p. 81-93. 

  33. Shin KR, Kim JS. A Study on Health Concern, Self-rated Health,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ly Women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 34(5). 

  34. Kim YJ, et al.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health screeners between 2002 and 2007.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9. 25: p. 243-251. 

  35. Kim SA,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n current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s in Korea.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2019. 62: p. 53-92. 

  36. Huh SI, et al. Policy Options to Tackle Unmet Health Needs, i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m, YH Editor. 200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Korea. 

  37. Dryden R, et al. What do we know about who does and does not attend general health checks? Findings from a narrative scoping review. BMC Public Health, 2012. 12: p. 723. 

  38. Jeong BG,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Healthcare System and Health Examination Particip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0. 35(4): p. 395-404. 

  39. Kim YI, Cho YC. The Associated Factors of Health Examinations Behaviors among Some Elderly Persons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of Rural Med, 2004. 29(1): p. 1-14. 

  40. Hofer T.P, Katz S.J. Healthy behaviors among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Ontario: the effect on use of preventive care. Am J Public Health, 1996. 86(12): p. 1755-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