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의 보건소 이용 만족도에 관한 융합연구
The Convergence Study about Use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Center i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123 - 128  

이보우 (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영주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  장선주 (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창규 (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경상북도 G시의 지역주민 409명을 대상으로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보건소 이용에 대한 만족도와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건강사업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09명의 대상자 중 보건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284명을 대상으로 보건소 진료에 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일반진료, 한방진료, 치과진료, 물리치료, 검사, 예방접종 등 모든 분야에서 농촌지역의 만족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주민에게 원활한 공공의료서비스가 제공 될 수 있도록 시설 확충 및 개선이 필요하며, 도심지역과 농촌지역 간의 의료 불평등 해소를 위한 보건의료정책을 펼쳐나가야 할 것 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vided 409 local residents in G city of Gyeongsangbuk-do into urban area and rural area,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with using public health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4 people who had experience using public health centers among 409 people. In rural areas, satisfactio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 향상을 위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지역의 다양한 구성원들을 참여시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한 지역보건정책을 수립함으로 보다 현실성 있는 보건정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역 공공의료기관인 보건소의 활용도가 높은 도심지역과 의료 취약지역인 농촌지역을 구분하여 연구 분석함으로써 지역보건의료의 균형 있는 자원 배치와 중장기적인 보건 인프라 확충에 근거 자료로 활용하여 지역사회 전반의 보건의료종합계획 수립에 역할을 기대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개 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보건의료계획 및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여 이를 적극 반영한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또한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보건소 이용에 대한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간, 소득계층 간 지역보건의료의 건강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마련에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은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는가? 우리나라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은 1982년 의료 전달 체계 수립을 위한 보건의료계획을 시작으로 시행되었으며, 이후 1990년대에는 농촌 지역의 의료서비스 개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하였다[1,2]. 2000 년대 이후 보건소의 역할은 지역 주민의 건강수준 및 현황을 분석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의 주민들을 위하여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보건소의 비전을 고려한 추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3].
2000년대 이후 보건소의 역할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보건소의 지역보건의료계획은 1982년 의료 전달 체계 수립을 위한 보건의료계획을 시작으로 시행되었으며, 이후 1990년대에는 농촌 지역의 의료서비스 개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하였다[1,2]. 2000 년대 이후 보건소의 역할은 지역 주민의 건강수준 및 현황을 분석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의 주민들을 위하여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보건소의 비전을 고려한 추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3].
지역보건의료의 현안 해결을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가? 하지만 보건소의 보건의료 환경은 제한된 지역사회의 보건인력과 예산, 시설 등 부족한 보건의료자원으로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보건의료서비스 요구도를 충족시켜야 하며, 의료접근성이 취약한 주민들에 대한 접근성 강화와 지역 및 소득계층 간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 등 지역보건의료의 현안 해결에도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12-14]. 따라서 지역보건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건소의 실무자만이 계획하고 보건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각계각층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계획수립에 참여시켜 지역보건의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지역주민들이 실제 보건의료사업에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 S. Shim, M. S. Lee, N. R. Oh & K. H. Kang. (2010). A Study on Duty Awareness of Public Health-Cente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 83-91. DOI : 10.15207/JKCS.2010.1.1.083 

  2. E. H. Oh. (2017).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s of Public Health Center.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11(3), 27-33. 

  3. G. S. Han. (2015). Utilization and Factors Associated in Public Health Cen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15(6), 728-735. DOI: 10.17135/jdhs.2015.15.6.728. 

  4. M. B. Malcarney, P. Pittman, L. Quigley, K. Horton & N. Seiler. (2017). The Changing Roles of Community Health Workers. Health Services Research, 52(1), 360-382. DOI: 10.1111/1475-6773.12657. 

  5. J. M. Kim. (2017). Study on Intention and Attitude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Healthcar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53-60. 

  6. V. Khanal, R. Bhandari, M. D. Adhikari, R. J. Karkee & C. D. Joshi. (2014). Utilization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s in western rural Nepal: A cross-sectional community-based study.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58(1), 27-33. DOI: 10.4103/0019-557X.128162 

  7. H. S. Jo, M. S. Hwang & H. J. Lee. (2010). Market segmentation of health information use on the Internet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9(10), 707-715. DOI: 10.1016/j.ijmedinf.2010.07.006 

  8. A. A. Baig et al. (2014). Community Health Center Provider and Staff's Spanish Language Ability and Cultural Awareness. J Health Care Poor Underserved, 25(2), 527-545. DOI: 10.1353/hpu.2014.0086 

  9. Y. H. Song, M. R. Eom & S. M. Jin. (2018). Comparative Study of Educational Needs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Private Employees for Health and Welfar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207-214. 

  10. Y. J. Park, H. H. Park & S. Y. Ryu.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5(3), 287-300. DOI: 10.5393/JAMCH.2010.35.3.287 

  11. J. S. Kim & J. S. Park. (2018).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by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Utilization of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451-459. 

  12. I. O. Moon, J. N. Jeong & M. H. Seo. (2019). Learning Strategies Influencing factor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5), 407-416. 

  13. J. Corburn. (2004) Confronting the Challenges in Reconnecting Urban Planning and Public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4), 541-546. 

  14. S. H. Yoo. (2009).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CBPR) for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141-158. 

  15. S. Macintyre, A. Ellaway & S. Cummins. (2002). Place effects on health: how can we conceptualise, operationalise and measure them?. Social Science & Medicine, 55(1), 125-139. DOI: 10.1016/S0277-9536(01)00214-3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y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17. H. S. Kim & Y. H. Park. (2013). Related Factors on Health Servic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Health Center Clients: Using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3), 95-109. DOI: 10.12811/kshsm.2013.7.3.095. 

  18. J. H. Kim. (2015). The Analysis of Priority Setting in Community Health Planning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 264-275. DOI: 10.5392/JKCA.2015.15.01.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