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디지털 과세(Digital Taxation)에 대한 정책전략의 차별성 분석
Analysis of Differentiation of Policy Strategies for Digital Tax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2, 2019년, pp.45 - 57  

김지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공공정책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경제로 인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이 생겨나게 되고, 급격한 경제발달의 변화에 맞추어 국제조세제도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세율이 낮은 국가로의 조세회피, 전통기업과 디지털 기업과의 격차로 인한 문제, 사업장 중심의 과세체계의 문제로 인한 공평과세의 목소리도 커졌다. 이에 해외 기구인 OECD와 EU차원에서의 디지털세의 제안과, 향후 디지털경제에 맞는 비즈니스모델에 입각한 국제조세 제도의 기반 마련을 위한 국제적 움직임이 활발해지게 되었다. 해외 기구 및 국가들의 입장이 서로 다르고, 국제차원에서의 협력이 필요한 시점에서 국내의 정책도입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어 해외 국가별 입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국내에서 정책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의 입장과 상호작용을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행위자에 따라 국내 이해당사자들의 차이가 있었고, EU에서는 장기적으로 S.D.P.를, 단기적으로 디지털 서비스세(Digital Service Tax)를 제안하였고, OECD는 장기적으로 S.E.P.를 제안하는 등 서로 다른 입장을 나타내어 정책결정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정책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gital economy has created a new platform-based business model and raised the issue of the international taxation system in line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Voices of fair taxation have also grown due to tax breaks to countries with low tax rates, problems caused by the gap between tradit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행위자로서 정부, 국회, 학계, 업계, 시 민사회의 입장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정부는 포럼, 세미나 등을 통해 통상분쟁, 국내기업의 피해, 디 지털세 도입의 신중, 조세회피방지 등으로 찬성과 반 대, 유보를 하였고, 국회의 경우에는 평평한 운동장 마 련, 부가가치세법 일부개정법률 발의, 공정과세, 조세 정의 실현, 적자기업의 조세부담, 이중과세 등으로 찬 성과 유보의 입장을 나타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연구들에서 중요시한 ‘행위자, 상호작용, 연계구 조’를 정책네트워크의 구성요소로 하여 정치과정을 분 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과세(Digital Taxation)가 대 두된 배경 및 현황과 각국의 입장을 살펴보고 국내에 서의 입장을 정리해 보았다. 국내에서는 정부, 국회, 업 계, 학계, 시민사회의 행위자로서의 입장은 디지털과세 에 대해 찬성과 반대, 그리고 유보의 입장 등을 나타내 며 행위자에 따라 입장이 엇갈리기도 하고, 일치하기도 하고, 또 다시 바뀌기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과세(Digital Taxation)의 등장배경 및 국제조세에서의 문제와, 해외 각 국가들의 서로 다른 입장들을 살펴보고, 나아가 국내에서 디지털 과세(Digital Taxation) 정책에 대한 국내의 입장들을 살펴봄으로써 종합적인 이해와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본 연구의 선행연구가 될 것이다.
  • 전통기업에서의 과세제도가 비 즈니스 모델의 변화로 주요한 디지털 실재, 주요한 경 제적 실재, 디지털 서비스세로 제안이 되었고, 과세대 상 및 주체가 바뀌는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 에 디지털 과세에 대한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 책네트워크를 살펴보고자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또한 정책네트워크 모 형으로 정책이 결정된 후의 연구들은 많았으나, 정책이 결정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디지털 과세에 대한 복잡성과 변동성을 행위 자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향후 정책학에서의 지 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통한 정책 결정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2016년 기준 네이버 는 734억 원, 카카오는 약 300억 원을 망 사용료로 낸 것으로 알려졌다.9) 인터넷기업의 고정사업장 규정이 미비하기 때문에 구글, 애플 등 IT 기업에 대한 과세가 원천적으로 불가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책행위자란 무엇인가? 정책행위자는 정책과 관련하여 자신의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개별행위자들로 구성된 집단이나 조직이 된다[15]. 행위자들은 정책네트워크 의 구성요소 중 가장 역동적인 요소이며[24], 정책의 형성과 집행 과정에서 정책행위자들 간의 관계의 역동성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집행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 갈등 구조 혹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공조 관계 의 구조를 파악한다[16].
정책네트워크가 많은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모형은 복잡한 사회의 연결망 속에서 다양한 요소 간 의 인과관계를 행위자의 관계 측면에서 밝히고자 한 분석의 틀로 복잡한 정책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개념으 로 알려져 있다[9].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복 잡한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이론 또는 분 석의 틀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 [10][24]. 정책네트워크는 정부와 사회의 다양한 수준 과 기능적 영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공사 행위자들로 구성되고, 공공정책의 결정과 집행에서 조직화된 이익 집단과 국가의 관계 및 이익집단 상호간의 관계를 특 징지우는 개념이다[11].
디지털 경제가 야기시키는 문제는 무엇인가?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는 공급자와 소비자 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하지만, 지리적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특정 관할권에 경제적 거래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국가 경계 전체에 걸친 전자 거래에 대한 특히, 온라인 공급이라는 무형의 특성, 인터넷 사용자의 상대 적인 익명성 및 국경 없는 특성 때문에 부가가치세, 법인세 등을 부과하는 데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러한 디지털화(digitalization)는 생활과 노동 등 경제 전반과 소비에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도전과제를 만들어 내고 있는데 현재 법체계는 현실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1)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 H. Oh. & Y. J. Lim. (2018). Key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EU's Digital Tax.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18(13), 1-13. 

  2. European Commission. (2018). "Time to establish a modern, fair and efficient taxation standard for the digital economy", EU Monitor. https://www.eumonitor.eu/9353000/1/j9vvik7m1c3gyxp/vkmvhchzsezx 

  3. J. S. Oh. (2018). A Study on the Types of MNE's Digital Business & International Tax Related Issue of Virtual Permanent Establishment.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Management, International Management Review, 22(2), 185-207. 

  4. H. Park. (2019). Review of Changes in the Concept of Permanent Establishment and Adoption of Diverted Profits Tax under the Digital Economy. International Fiscal Association Korea. Journal of IFA, Korea. 35(1), 45-71. 

  5. A. Nellen. (2015). Taxation and today's digital economy. Journal of Tax Practice & Procedure. 17(2), 17-26. 

  6. J. S. Ahn. (2013). Tax Avoidance Behavior and Implications of Multinational IT Companies : Focusing on the case of Apple and Google. Public Finance Forum,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7(2013). 

  7. PWC. (2018). Economic and Policy Aspects of Digital Services Turnover Tax, 4-7. 

  8. Y. J. Kim. (2005). Policy Network on Deciding the Place for Nuclear Waste: Focused the Inducing Action in Kyongju Area.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9(4), 287-316. 

  9. S. S. Song & K. C. Kwon. (2004). Policy Network Analysis on the Legislation Process of Internet Contents Regulation.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4(1), 83-110. 

  10. S. E. Lim. (2013). A Study on the Conflict for Free School Meal Policy in Terms of Policy Network.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stration, 27(1), 203-226. 

  11. M. M. Atkinson & W. D. Coleman. (1985). Corporatism and industrial policy. Organized interests and the state, 22-44. 

  12. P. Kenis & V. Schneider. (1989). Policy networks as an analytical tool for policy analysis. In paper for conference at Max Planck Institute, Cologne (pp. 4-5). 

  13. K. Namkoong. (2017). Policy Sciences. Bubmoonsa, 270-296. DOI : 978-89-18-02473-8. 

  14. S. Y. Kim. (2010). The Policy Network Perspective in the Analysis of the Policy Process: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Releva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Studies. 19(4), 177-210. 

  15. D. Marsh & R. A. W. Rhodes. (1992). Policy networks in British government. Clarendon Press. 

  16. H. H. Park. & S. G. Hong. (2016). An Exploratory Study of Creative Economy Policy Network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25(2), 429-454. 

  17. H. M. Yang. & D. W. Kang. (2009). An Analysis of Policy Network in the Process of Making Policy toward North Korea -Based on the Case of "Gaese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21(1), 415-458. 

  18. K. J. Kim. (2003). Policy Network Analysis of Maternity Assistance Policy-making in the Kim Dae Jung Administration. Korean Association of Governmental Studies (KAGOS), 37(3), 23-44. 

  19. K. E. Huh. & K. Y. Kim. (2015). A Study on the Agenda-Setting Process for Alternatives in Application of Fixed Book Price Policy to Libraries - Based on the Policy Network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 289-315. DOI : 10.4275/KSLIS.2015.49.4.289. 

  20. M. Szczepanski. (2018). Corporation taxation of a signifiant digital presence. European Parliamentary Research Service. 1-8. 

  21. R. Mehari. (2019). "Taxation of Significant Digital Presence; an evaluative study on draft EU proposal to tax significant digital presence in context of EU primary Law". Master Programme in International Tax Law and EU Tax Law. Master's Thesis 15 ECTS. Uppsala Universitet. 1-47. 

  22. OECD/G20. (2014).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Project, Addressing the Tax Challenges of the Digital Economy. 

  23. M. Dohler. (1991). Policy Networks, Opportunity Structures and Neo-Conservative Reform Strategies in Health Policy. Empirical Evidence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pp. 235-296). Campus Verlag. 

  24. K. H. Yoo, D. H. Kim & K. D. Suh. (2018). Analysis of Actors' Interaction Pattern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Sexual Crime Prevention Policy: Focusing on classification and ca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9), 209-215. DOI : 10.15207/JKCS.2018.9.9.2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