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 간 갈등이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 for Male and Female Adolesc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2, 2019년, pp.121 - 129  

이형실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  오샘물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82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 간 갈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 간 갈등과 공격성, 또래관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모 간 갈등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자 청소년 집단에서는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에 부분매개 되어 남자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는 부모 간 갈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청소년의 부모 및 가족 경험과 청소년 개인의 심리 정서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 among adolescents. Data from 482 middle school students of Seoul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의 또래관계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부모 간 갈등이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부모 간 갈등이 청소년이 맺는 또래관계와 관련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통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본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가족 요인과 개인적 심리 정서 요인 및 또래관계가 관련되는 과정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부모 간 갈등이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부모 간 갈등이 청소년이 맺는 또래관계와 관련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통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공격성과 또래관계에서 남녀 차이가 종종 보고되므로[31,32],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또래관계로 연결되는 경로에 남녀 청소년 간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통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본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가족 요인과 개인적 심리 정서 요인 및 또래관계가 관련되는 과정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서,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부부갈등에 대한 개입을 통하여 청소년 자녀의 공격성 수준을 낮추며 이로써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의 또래관계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Gottman과 Katz[13]는 부부갈등이심한 경우 자녀의 스트레스와 분노 수준이 높고, 이는 또래와의 부정적 상호작용과 관련된다고 하였다. 이에,본 연구는 부모 간 갈등이 청소년의 또래 경험과 관련되는 과정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었다.

가설 설정

  • 첫째, 부모 간 갈등, 공격성 및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남녀 간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격성의 정의? 공격성은 다른 사람에게 신체적, 심리적인 해를 입히는 의도적인 행동이라고 정의된다. 또한 공격성은 다른 사람에 대한 직접적인 언어적, 신체적 공격 행동뿐만 아니라 그러한 행동을 야기하는 정서 상태인 분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14].
부모 간 갈등으로 인해 자녀가 또래관계에 대처하는 행동? Parke와 Ladd[12]에 따르면 심한 부부 간 갈등은 자녀의 높은 스트레스와 분노, 부적응 행동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또래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자녀는 부모가 서로의 대립을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보면서, 이를 모델링하여 또래와의 대립이 생겼을 때 공격적인 행동으로 대처하게 된다[10]. 또한 부부관계에서의 문제는 자녀가 경험하는 또래와의 상호작용 문제와 관련이 있고[5], 아동기에 부모 간 갈등에 노출된 경험은 청소년의 또래에 대한 공격성을 예측하였다[18].
청소년의 공격성이 연령 증가에 따라 초래할 수 있는 행동? 또한 공격성은 다른 사람에 대한 직접적인 언어적, 신체적 공격 행동뿐만 아니라 그러한 행동을 야기하는 정서 상태인 분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14]. 청소년의 공격성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더욱 심각하고 다양한 반사회적 행동이나 범죄 및 정신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15], 이 시기에 적절한 개입이 중요하다. 공격적인 성향이 강한 청소년은 친구에게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당하는 빈도가 높고 학업성취도가 낮으며, 가정과 학교 등에서 부적응의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 J. Lee. (2001).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ttitude of bringing up, school condition and adolescents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 M. H. Han. (1996). A study on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J. G. Parker & S. R. Ashe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4. J. S. Lee & H. J. Chung. (2004). The relations among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s' marital relationship,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3), 47-61. 

  5. E. M. Cummings, M. Ballard, M. El-Sheikh & M. Lake. (1991). Resolution and children's responses to interadult anger. Developmental Psychology, 27(3), 462-470. 

  6. D. G. Kang. (2002).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related to children's problem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7. J. L. Peterson & N. Zill. (1986). Marital disruption, parent- 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2), 295-307. 

  8. G. W. Holden & K. L. Ritchie. (1991). Linking extreme marital discord, child rearing, and child behavior problems: Evidence from battered women. Child Development, 62(2), 311-327. 

  9. R. E. Emery & K. D. O'Leary. (1984). Marital discord and child behavior problems in a nonclinic sampl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2(3), 411-420. 

  10. P. T. Davies & E. M. Cummings.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387-411. 

  11. E. M. Cummings & P. T. Davies. (201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 An emotional security perspective.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12. R. D. Parke & G. W. Ladd. (2016). Family-peer relationships: Modes of linkage. Hillsdale, NJ, 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3. J. M. Gottman & L. F. Katz. (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73-381. 

  14. P. Orpinas & R. Frankowski. (2001). The Aggression Scale: A self-report measure of aggressive behavior for you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1(1), 50-67. 

  15. R. Loeber & M. Stouthamer-Loeber. (1998). Development of juvenile aggression and violence. Some common misconceptions and controversies. American Psychologist, l53(2), 242-259. 

  16. D. Olweus. (1993). Understanding children's worlds.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Malden: Blackwell Publishing. 

  17. Y. O. Kwon & S. H. Yi. (1999).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resolution of martial conflic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4), 61-74. 

  18. L. A. McCloskey & E. L. Lichter. (2003). The contribution of marital violence to adolescent aggression across different relationship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8(4), 390-412. 

  19. N. Long, R. Forehand, R., Fauber, & G. H. Brody. (1987). Self-perceived and independently observed competence of young adolescents as a function of parental marital conflict and recent divor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5(1), 15-27. 

  20. J. Y. Hong & H. S. Doh. (2002). Parental marital conflict,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5), 125-136. 

  21. M. J. Kim. (2002). Relations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to aggression in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22. B. K. Park & H. S. Doh. (2002). Correlates of peer victimization: Personality traits, parent attachment, and marital conflic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5), 51-64. 

  23. E. M. Cummings, R. Iannotti & C. Zahn-Waxler. (1985). The influence of conflict between adults on the emotions and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1, 495-507. 

  24. J. M. Jenkins. (200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motions: The development of an anger organiz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723-736. 

  25. E. H. Jung. (2004). Relationship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aggression, and bullies/victims of peer victim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Bucheon. 

  26. J. E. Cha, J. Y. Lee, & S. H. Hwang. (2009).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and fear of abandonment on adolescents' depression and aggression: Comparison of boy and girl students model. Journal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7(2), 3-15. 

  27. S. O. Son & B. J. Lee. (2015).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f adolescent social relations: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and depression, and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0), 1-26. 

  28. J. D. Coie & K. A. Dodge. (1998). Agg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W. Damon & N. Eisenberg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779-862). Hoboken, NJ, US: John Wiley & Sons Inc. 

  29. J. D. Coie, K. A. Dodge, R. T. V. Wright. (1991). The role of aggression in peer relations: An analysis of aggression episodes in boys' play groups. Child development, 62(4), 812-826. 

  30. N. R. Crick & N. E. Werner. (1998). Response decision processes i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69(6), 1630-1639. 

  31. A. J. Yoo, Y. J. Han & J. K. Kim. (2002). Aggression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early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3), 79-90. 

  32. E. E. Maccoby & C. N. Jacklin. (1980). Sex differences in aggression: A rejoinder and reprise. Child Development, 51, 964-980. 

  33. S. Y. Ahn & H. S. Lee. (2009). The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y and family variables on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21(3), 163-176. 

  34. C. R. Seo & H. S. Lee. (2006).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18(2), 151-162. 

  35. S. K. Seo & S. M. Kwon. (2006).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2), 487-501. 

  36.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7. N. R. Crick, J. F. Casas & M. Mosher. (1997).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pre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3(4), 579-588. 

  38. T. Malti & K. H. Rubin. (2018). Agg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T. Malti & K. H. Rubin (Ed.),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Aggression(pp. 3-19).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9. A. J. Yoo, Y. J. Han, & N. Y. Choi. (2002). Institutionalized and home-reared adolescent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aggress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3), 57-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