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luencers' Product-Usage Videos up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8 no.5, 2019년, pp.1 - 16  

윤해룡 (하우저 서비스 기획팀) ,  김태하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남승현 (동양미래대학교 경영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ork tries to empirically validate the effect of influencers' product-usage videos up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More specifically, we choose 3 attributes of product-usage videos of influencers such as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from our literatur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선행 연구 결과들을 통해서, 전문성은 인플루언서에 대한 평가 및 태도에 중요한 영향이 있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제품 사용 영상의 세부 요인으로 전문성을 설정하고, 소비자의 관점에서 지각한 인플루언서의 전문성이 지닌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콘텐츠에 나오는 제품에 대한 태도 역시 호의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제품 사용 영상의 세부 요인으로 진실성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 즉 매력성은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단서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력성을 인플루언서의 제품 사용 영상에서의 세부 요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플루언서의 제품 사용 영상 시청을 통해 브랜드 태도가 형성되는지, 형성된 브랜드 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제품 사용 영상에 대해, 전문성을 측정하는 항목 8가지, 진실성을 측정하는 항목 10가지, 매력성을 측정하는 항목 10가지 등 총 28개 항목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이 항목들은 Gilmore and Pine(2007), 최윤슬과 이경렬(2013), 김정렴, 전종우(2016), 서용구 외(2014), 김은정(2009), 양혜원(2016)의 연구에 사용한 항목을 참고하되, 본 연구의 목표에 맞는 항목을 선별 및 수정, 보완하였다.
  •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사용 영상의 속성과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문헌 조사와 실증 조사를 함께 병행하였는데, 실증 조사의 경우 인플루언서의 영상을 시청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조사 대상으로 하되,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에 응답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장 이론적 배경에서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검증해야하는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종속 변수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그림 2]와 같다.
  • 본 연구에서 핵심 변수들인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등에 대한 과학적 측정 및 분석 작업 수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조작적 정의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플루언서의 제품 사용 영상 콘텐츠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상 콘텐츠의 속성으로 전문성과 진실성, 매력성을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앞서 실증적 분석의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나 본 연구는 다음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절에서는 연구가 지닌 한계점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인플루언서에 대하여 실증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의 패션 취향이나 패션 관련 제품을 홍보 및 판매하는 영향력 있는 개인을 패션 인플루언서로 정의하고, 그들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 인플루언서 관련 시장이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지만,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하기 위한 정보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사용 영상을 시청한 소비자의 영상 속의 제품에 대한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와 함께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콘텐츠의 진실성, 인플루언서에 대한 매력성을 분석하여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거나 또 진행하고자 하는 브랜드 및 기업들이 비즈니스 및 마케팅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인플루언서에 대하여 실증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의 패션 취향이나 패션 관련 제품을 홍보 및 판매하는 영향력 있는 개인을 패션 인플루언서로 정의하고, 그들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의 전문성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의 진실성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의 매력성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 브랜드 태도는 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첫 번째, 가설 1 ‘인플루언서의 패션 제품 사용 영상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플루언서란 무엇인가? 인플루언서는 특정 네트워크 안에서 다수의 의사결정이나 의견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소수의 사람들을 지칭한다(Bulte and Joshi, 2007). 인플루언서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여 여러 사람들을 이어주고 네트워크 전반의 정보확산에 기여한다는 특징을 지닌다(Barabasi anAlbert, 1999).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어떻게 진행되나?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잠재 소비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플루언서를 찾고, 마케팅 활동을 인플루언서에게 맞춰서 하는 것이다(손동진, 김혜경,2017). 전통적인 채널보다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구매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인플루언서 마케팅이란 용어가 등장하기 이전에도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 보다는 일반인의 사용 후기, 블로거의 리뷰, 입소문 마케팅 등 정보 전달자가 자신과 비슷할 때 정보의 전달과 설득력이 더 높아지는 현상들을 볼 수 있었다. 즉 소비자는 사용자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인플루언서는 미리 제품을 소비하고, 어느 특정 영역이나 제품의 전문가이자 정보를 전달해주는 정보 전달자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었다. 인플루언서를 추종하는 팔로워 수가 많을수록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는 빠른 확산 속도와 파급효과를 지니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곽동선, 김성기, "유명인 광고모델의 속성이 광고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아동들의 제품유형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62호, 2004, 7-28. 

  2. 김 란, "인플루언서의 패션제품평가 컨텐츠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컨텐츠 신뢰 및 관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3. 김영석, "설득 커뮤니케이션". 파주 : 나남, 2005. 

  4. 김우빈, "SNS 패션 인플루언서의 진정성과 팬쉽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5. 김은정, "브랜드 체험샘플샵의 체험요인이 구매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6. 김정구, 안용현, "브랜드개성의 FCB모델에 따른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1권, 제4호, 2000, 65-85. 

  7. 김정렴, 전종우, "유명인의 매력성 측정", 사회과학연구논총, 제32권, 제2호, 2016, 73-112. 

  8. 김효진, 이혜주, "웰빙 사회의 소비자 가치지향, 지각된 가치, 브랜드 선호도가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제15권, 제1호, 2009, 327-341. 

  9. 박기남, 김기운, "지각된 웹 서비스품질이 기업이미지 구축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지, 제12권, 제3호, 2001, 1-27. 

  10. 박혜수, 이영환, 송영화, "롱테일 마케팅을 위한 소셜네트워크의 인플루언서 연구 : 한국 영화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2014, 774-787. 

  11. 변대호, "전자상거래의 최근 동향과 전자쇼핑몰 구축 가이드라인", 산업혁신연구, 제14권, 1998, 163-182. 

  12. 서용구, 유혜선, 김혜란,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애착 및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제19권, 제2호, 2014, 87-111. 

  13. 성동규, 박상호, "지상파 3사의 미디어 신뢰도와 TV 뉴스 이용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60호, 2005, 213-242. 

  14. 손동진, 김혜경,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 전략 연구 : 올레드 TV 글로벌 디지털 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광고 PR 실학연구, 제10권, 제2호, 2017, 64-95. 

  15.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5. 

  16. 신영웅, 조창환, "페이스북 정보원의 전문성과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광고효과연구 : 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광고학연구, 제25권, 제1호, 2014, 343-366. 

  17. 양종아, 김현철, "TV 홈쇼핑의 쇼 호스트가 TV 홈쇼핑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매력성, 진실성, 전문성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7권, 제6호, 2016, 129-148. 

  18. 양혜원, "점포 이미지가 구매 의도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초점 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19. 윤지환, 공효순, 정삼술, "서울시내 특 1급 호텔 비즈니스센터의 서비스 품질제고를 위한 탐색적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3권, 제4호, 2004, 49-64. 

  20. 이나영,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광고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인터넷 광고에서 모바일 광고까지"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21. 이명천, "광고학개론(개정판)", Communication Books, 2010. 

  22. 이성호, 한상린, 정경식,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팬쉽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제20권, 제3호, 2015, 133-153. 

  23. 이승엽, 이은영, "의류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제22권, 제5호, 1998, 617-627. 

  24. 조성우, "Big Data 시대의 기술", KT 종합기술원, 2011, 5-7. 

  25. 조수영, "인터넷 건강 정보의 정보원 유형과 상업 링크 유무, 질병의 심각성에 따른 설득 효과 차이",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3호, 2011, 123-152. 

  26. 조승호, 조상훈, "페이스북에서 효과적인 바이럴마케팅을 위한 영향력 있는 의견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패턴 연구", 디지털융복합 연구, 제11권, 제5호, 2013, 201-209. 

  27. 조전근, "광고보증인의 유형과 성이 태도변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1호, 2008, 165-194. 

  28. 차배근, "설득커뮤니케이션 개론 : 광고.홍보학 개설", 서울 : 나남출판, 1992. 

  29.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제3판, 2004. 

  30. 최윤슬, 이경렬, "SNS 진정성의 속성과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4권, 제5호, 2013, 157-179 

  31. 형 문, "브랜드 글로벌성과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32. 홍등용, "구전정보의 원천효과가 외식업체의 기대속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33. Assael, H.,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4th edition), PWSKent, Boston, MA, 1992. 

  34. Barabasi, A.L. and R. Albert, "Emergence of scaling in random networks", Science, Vol.286, No.5439, 1999, 509-512. 

  35. Batool, S. and N.I. Malik, "Role of Attitude Similarity and Proximity in Interpersonal Attraction among Friend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and Technology, Vol.1, No.2, 2010, 142-146. 

  36. Belch, G.E. and M.A. Belch, Introduction to advertising and promotion management, Irwin, 1990. 

  37. Gantz, W. and L.A. Wenner, "Fanship and the television sports viewing experience", Sociology of Sport Journal, Vol.12, No.1, 1995, 56-74. 

  38. Gilmore, J.H. and B.J. Pine, "Authenticity : What consumers really want", Harvard Business Press, 2007. 

  39. Goldsmith, R.E., B.A. Lafferty, and S.J. Newell, "The impact of corporate credibility and celebrity credibility on consumer reaction to advertisements and brands", Journal of Advertising, Vol.29, No.3, 2000, 43-54. 

  40. Haugtvedet, C. and R.F. Petty, "Personality and Persuasion Need for Cognition Moderates the Persistence and Resistance of Attitude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3, No.2, 1992, 308-319. 

  41. Homer, P.M. and S.-I. Yoon, "Message Framing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Ad-based Feeling, Affect, and Cognition", Journal of Advertising, Vol.21, No.1, 1992, 19-34. 

  42. Hovland, C.I. and W. Weiss,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15, No.4, 1951, 635-650. 

  43. Hovland, C.I., I.L. Janis, and H.H. Kelley,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psychological studies of opinion chan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3. 

  44. Keller, K.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 1993, 1-22. 

  45. Keller, K.L., Strategic Brand Management :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Hall : Upper Saddle River, NJ, 1998. 

  46. Low, G.S. and C.J. Lamb,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Vol.9, No.6, 2000, 350-370. 

  47. McCracken, G.,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6, No.3, 1989, 310-321. 

  48. McCroskey, J.C. and T.A. McCain,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attraction", Speech Monographs, Vol.41, No.3, 1974, 261-266. 

  49. McGuire, W.J., "Attitudes and Attitudes change. In Gardner Lindzey and Elliot Aronson (eds.), 2,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2, 233246, New York : Random House, 1985. 

  50. McGuire, W.J., Personality and attitude change : An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In A.G. Greenwald, T.C. Brock, and T.M. Ostrom (Eds.),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attitudes, San Diego, CA : Academic Press, 1968, 171-196. 

  51. Morrison, D.G., "Purchase intentions and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Vol. 43, No.2, 1979, pp.65-74. 

  52. Mowen, J.C., Consumer Behavior, New Jersey : Prentice Hall International Editions, 1995. 

  53. Ohanian, R.,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 persons' perceived image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1, No.1, 1991, 46-54. 

  54. Olaisen, J., Information quality factors and cognitive authority of electronic information. In : I. Wormell(Ed.), Information quality : definitions and dimensions, London : Taylor Graham, 1990, 91-121. 

  55. Pentecost, R. and L. Andrews, "Fashion retailing and the bottom line : The effects of generational cohorts, gender, fashion fanship, attitudes and impulse buying on fashion expenditur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17, No.1, 2010, 43-52. 

  56. Tedeschi, J.T., "Attributions, liking, and power", Foundations of Interpersonal Attraction, 1974, 193-215. 

  57. Van den Bulte, C. and Y.V. Joshi, "New product diffusion with influentials and imitators", Marketing Science, Vol.26, No.3, 2007, 400-4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