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 미디어 서비스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YouTube를 중심으로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Service Quality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 Focused on YouTube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8 no.5, 2019년, pp.99 - 117  

이윤선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글로벌 서비스 경영학과) ,  서창적 (서강대학교 경영대학.경영전문대학원) ,  이혜정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글로벌 서비스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one-person media has increasingly gained popula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one-person media service and to further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pera...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선행 연구에서 PZB의 SERVQUAL 요소 5가지가 콘텐츠 품질로 사용자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도 1인 미디어의 콘텐츠 품질 요소로 구성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고훈석 외(2011)는 SNS 서비스 이용과정에 발생하는 개인적이고 감정적 느낌의 사용자간 상호관계형성과 정보 및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호작용을 품질 요인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만족 및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확인했다.
  • 위의 선행연구를 종합해 본다면, 1인 미디어 서비스 사용자 만족이 지속사용의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서비스 품질 향상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인 미디어 서비스 품질이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의 선행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이러한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 만족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 기존 선행연구는 어떤 요소가 1인 미디어 서비스의 사용자 만족을 이끌어내는지 알 수 없어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 만족 및 지속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의 필요성을 검증하여 1인 미디어 기업이 서비스를 관리하는데 서비스 품질을 확립하고 이를 실행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1인 미디어 서비스업은 오프라인 서비스와 달리 온라인에서 기획, 생산되고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 니즈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는지를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 만족 및 지속사용의도를 크게 좌우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 플랫폼 품질과 지속사용의도 간의 사용자 만족, 그리고 콘텐츠 품질과 지속사용의도 간 사용자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정방법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하였다.
  • 또한 시 청량은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속이용의사와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의 대표적인 플랫폼인 YouTube와 이를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의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 만족 및 지속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의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기업의 성과가 측정되지 못했다. 1인 미디어 기업의 입장에서 서비스 품질이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실증분석은 서비스 품질 확립과 활성화에 주요 근거가 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사용자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받는 성과변수를 포함하는 연구를 추가로 수행 할 필요가 있다.
  • 가설 1 : 1인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품질은 사용자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1인 미디어 서비스 콘텐츠 품질은 사용자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사용자의 만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 1인 미디어 서비스 품질요인과 지속사용 의도 사이에 사용자 만족이 정(+)의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 미디어 서비스가 기존 미디어 서비스와 다른 점은? 기존의 지상파나 유료방송(IPTV, 케이블방송, 위성방송)과 달리, 1인 미디어 서비스는 개인 또는 소규모 집단이 직접 방송을 생산, 공유한다(김설예 외, 2016). 1인 미디어 서비스는 정보와 의견, 콘텐츠 등을 활발하게 교류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갖고 있으며(DMC MEDIA, 2016) 그 중에서 구글의 YouTube는 UGC(User Generate Content) 산업을 태동시키고 UGC 시장을 급격히 성장하게 만들어 세계적인 플랫폼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시스템 품질'이 왜 사용자의 만족도에 대해 중요한 요인인가? 1인 미디어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YouTube 플랫폼 품질은 YouTube가 콘텐츠를 전달하는 시스템 성능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품질은 사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DeLone and McLean, 1992). 사용자가 이용하는 웹사이트가 아무리 높은 품질의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할지라도, 페이지 접속이 자주 끊기거나 원활히 데이터를 전달 하지 못하면 웹사이트에 대해 불안정한 인식을 갖게 되어 경우에 따라 웹사이트의 사용을 중단하고 해당 웹사이트를 대체할 다른 웹사이트를 찾기 위해 이탈할 것이다(McKinney and Yoon, 2002).
인터넷 방송은 뭐라고 정의할 수 있는가?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1인 미디어 서비스 품질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지 못했으나 1인 미디어를 일종의 인터넷 방송과 소셜미디어가 결합된 형태로 간주한다면 1인 미디어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 부분적 설명이 가능하다. 장활식 외(2000)은 기 존의 브로드캐스팅 방송과는 차별화되어 멀티 캐스팅의 기능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용자 주도적 방송이라고 불리고 다양한 서비스와 컨텐츠를 제공 해 주는 장점이 있어 쌍방향의 멀티미디어 인터넷 서비스라고 인터넷 방송을 정의 했다. 1인 미디어 역시 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소비하는 것으로 인터넷 방송의 특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고훈석, 김제숭, 정문영, 오영진, 이성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제39권, 제4호, 2011, 543-555. 

  2. 권순동, 윤숙자, "이러닝의 특성과 유용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제17권, 제1호, 2010, 35-54. 

  3. 김근형, 윤상훈, "SNS 사용자 만족도의 영향요인 도출 및 서비스 형태별 비교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2권, 제1호, 2012, 125-143. 

  4. 김설예, 유 은, 정재민,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이 지속이용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제연구, 제19권, 제3호, 2016, 57-84. 

  5. 김영환, 최수일, "지각된 서비스 품질, 유용성, 용이성이 IPTV 사용자 만족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2009, 314-327. 

  6. 박종철, 전수정, 이한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활동이 소비자의 지식창출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1, 201-226. 

  7. 박지혜, "국내 1인 미디어시장 현황 및 발전 가능성", KIET 산업경제분석, 제4호, 2017, 15-20. 

  8. 박현지, 최정순, 정해욱, 김영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품질이 관광객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뢰와 만족을 매개로 하여", 호텔관광연구, 제44권, 2012, 82-98. 

  9. 반옥숙, 박주연, "인터넷 개인 방송 지속 이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6호, 제1권, 2016, 59-95. 

  10. 방송통신진흥본부, "온라인 개인방송 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제76권, 2014, 91-103. 

  11. 배병렬, "SPSS/Amos, LISREL/Smart PLS에 의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분석", 서울, 청람, 2015. 

  12. 산업경제, "국내 1인 미디어시장 현황 및 발전 가능성", 2017, 44-53. 

  13.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SNS 웹 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혁신연구, 제26호, 제1권, 2010, 99-132. 

  14. 서창적, 김진한, 이세영, "비대면 서비스품질 측정모형에 관한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제8권, 제1호, 2007, 111-135. 

  15. 안 진, 최 영,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2호, 2016, 5-53. 

  16. 양재훈, "모바일 SNS의 서비스 품질이 지속적 이용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4호, 2012, 313-337. 

  17. 이문규, 이기동, 김해룡, "인터넷 방송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시청자 평가 측정 도구", 광고학연구, 제12권, 제3호, 2001, 105-123. 

  18. 이상호, 김재범, "개인의 가치, 특성, 품질이 IPTV 양방향서비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영학연구, 제36권, 제7호, 2007, 1751-1783. 

  19. 이유재, 김주영, 김재일, "서비스 산업의 현황에 대한 실증연구", 소비자학연구, 제7권, 제2호, 1996, 129-157. 

  20. 이지원, 강인원, 정성운, "SNS 상의 콘텐츠품질이 사용자의 수용태도와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제12권, 제5호, 2011, 1-10. 

  21. 장활식, 오창규, 정찬우, 김영순, "물리적 제품과 디지털 제품 판매 웹사이트 특성의 비교 분석",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2000, 153-163. 

  22. 조철호, "개인형 홈페이지의 지각된 서비스가치가 신뢰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제8권, 제2호, 2007, 49-77. 

  23. 최재홍, "1인 미디어 열풍과 그 이유", Power Review, KISA Report, 2016, 12-16. 

  24. 최형우, "국내외 MCN산업 동향 및 기업 실태 조사 보고서", 한국전파진흥협회, 2016. 

  25. 한국언론진흥재단,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2016. 

  26.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Vol.25, No.3, 2001, 351-370. 

  27. Cardozo, R.N., "An experimental study of customer effort,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 1965, 244-249. 

  2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Lawrence Erlbaum, 1988. 

  29. Davis, F.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30, No.3, 1989, 319-340. 

  30. DeLone, W.H. and E.R.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3, No.4, 1992, 60-95. 

  31. Delone, W.H. and E.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2003, 9-30. 

  32. DMC Media, "1인 미디어 산업의 현황 및 전망", 2016. 

  33. Fornell, C. and Bookstein, F.L., "Two Structural Equation Models : LISREL and PLS Applied to Consumer Exit-Voice Theor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XIX, 1981, 440-452. 

  34. Fornell, C. and J. Cha, Advanced Methods of Marketing Research, ed. RP Bagozzi, 1994, 52-78. 

  35. Golob, T.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ravel behavior research",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 Methodological, Vol.37, No.1, 2003, 1-25. 

  36. Gronroos, C.,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18, No.4, 1984, 36-44. 

  37. Huang, K.-T.. Y.W. Lee, and R.Y. Wang, "Quality information and knowledge", Prentice Hall PTR, 1998. 

  38. Hunt, S.D., "The nature and scope of marketing revisited : The three dichotomies model", In Contemporary Marketing Thought, Proceedings of 1977 Educators Conference, Chicago :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77. 

  39. Jarvenpaa, S.L. and P.A. Todd, "Consumer reactions to electronic shopping on the World Wide Web",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1, No.2, 1996, 59-88. 

  40. McKinney, V., K. Yoon, and F.M. Zahedi, "The measurement of web-customer satisfaction : An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approach",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3, No.3, 2002, 296-315. 

  41. Nelson, R.R., P.A. Todd, and B.H. Wixom, "Antecedents of information and system quality : an empirical examination within the context of data warehousing",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1, No.4, 2005, 199-235. 

  42. Nunnally, J.C. and I.H. Bernstein, "Psychological theory", New York, NY : Mac Graw-Hill, 1994. 

  43. Oliver, R.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7, 1980, 460-469. 

  44. Parasuraman, A., V.A. Zeithaml, and L.L. Berry,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Vol.49, 1985, 41-50. 

  45. Parasuraman, A., V.A. Zeithaml, and L.L. Berry, "SERVQUAL-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64, No.1, 1988, 12-40. 

  46. Reichheld, F.F. and J.W. Sasser, "Zero defections : Quality comes to services", Harvard Business Review, Vol.68, No.5, 1990, 105-111. 

  47. Tenenhaus, M., V.E. Vinzi, Y.M. Chatelin, and C. Lauro, "PLS path modeling",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Vol.48, No.1, 2005, 159-205. 

  48. Zhou, T., H. Li, and Y. Liu, "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on mobile SNS users' loyalty", Industrial Management and Data Systems, Vol.110, No.6, 2010, 930-9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