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조종사의 성격과 적성이 비행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udent Pilot's Personality and Aptitude on Satisfaction with Flight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7 no.4, 2019년, pp.73 - 82  

박헌회 (아시아나항공) ,  김영록 (한서대학교 대학원 항공운항관리학과) ,  최연철 (한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flight training results, various studies on pilot aptitude have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ptitude for the pilots using the teacher aptitude test tool. As a result, the student pilots showed a high aptitude score suitable for conducting aviation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항공운항학과 및 비행교육기관과 외국에서 비행교육을 받고 있거나 수료한 조종사를 대상으로 성격과 적성, 학습만족도가 비행훈련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성격, 적성, 학습만족도에 따른 비행훈련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격을 A유형과 B성격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적성은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개발한 적성검사개발도구를 사용하여 적성의 높고 낮음을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이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하여 개념을 검토하고, 이들 변수들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비행훈련 성취도요인을 고찰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통한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학생조종사 선발과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조종사의 비행훈련 성취도 관련 요인에 성격과 적성 그리고 학습만족도를 연계하여 연구함으로써 단편적 접근이 아닌 다중적 접근을 통해 연구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연구와 관련된 한계로 매년 대학에서만 약 360명의 학생이 배출된다는 점에서 표본이 너무 적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적성을 학생조종사의 비행훈련에 대한 성취도와 필요한 잠재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독비행시간과 자가용 자격증을 획득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조작적 정의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먼저 학생조종사의 “성격유형(A/B형)에 따라 비행훈련에 대한 성취도가 다를 것이다.
  • 연구문제 1: 성격유형에 따라 비행훈련성취도는 다를 것이다.
  • 연구문제 2: 적성에 따라 비행훈련성취도는 다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성이란? 적성이란 어떠한 특수한 활동이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과 반복된 훈련에 의해 활동이나 업무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개인의 능력 또는 능력발현 가능성의 정도를 말한다. 적성은 구체적 활동이나 업무에 대해 향후 성취가 가능한가를 예측하는데 주안을 두는데 개인의 잠재력을 말하는 일반적성과 특수한 지식과 기술의 숙달능력을 말하는 특수적성으로 구분된다.
학생 조종사들의 학습 만족도 순서에 대한 원인분석은? 학생 조종사들의 학습 만족도는 교육내용>비행교관>교육환경(시설)>교육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행교육 내용은 정형화되어 있으므로 가장 만족도가 높지만 교육방법은 교관이나 수행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학생의 측면에서 낮은 만족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각 교육기관의 종사자들은 이를 감안하여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문에서 적성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적성이란 어떠한 특수한 활동이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과 반복된 훈련에 의해 활동이나 업무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개인의 능력 또는 능력발현 가능성의 정도를 말한다. 적성은 구체적 활동이나 업무에 대해 향후 성취가 가능한가를 예측하는데 주안을 두는데 개인의 잠재력을 말하는 일반적성과 특수한 지식과 기술의 숙달능력을 말하는 특수적성으로 구분된다. 또한, 개인이 원하는 구체적 활동, 작업내용과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는데 학업 성취도와 연관되어 있는 적성을 직업적성이라 하고 음악, 사무, 운동, 기계적성, 장비적성 등의 특수적성으로 세분화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구분은 특기진로교육에서의 말하는 교육용어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ierwille et. al(1985)., Vidulich and Tsang(1986)., Wickens et. al(1986), Personality and assessment and personality development, 1961. 

  2. Friedman, Howard S., Booth-Kewley, Stephanie, "Personality,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heart disease: The role of emotional ex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4), 1987, pp. 783-792. 

  3. McGraw-Hill. "Psychiatry in the Medical Specialties", New York, 1959. 

  4. Glass, D. C., "Type A Behavior: Mechanisms linking behavioral and pathopsychology", In J. Siegrist & M. J. Halhuler(Eds), Myocardial Infarction and Psycho Social Risk. New York: Springer-Verlag, 1981. 

  5. Matthews, K. A.,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Type A behavior pattern", Psychological Bulletin, 91, 1982, pp. 293-323. 

  6. Lee, H. S., "Physiological Responses of A / B Types in Task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989. 

  7. Strube, M. J. and Boland, S. M., "Post performance attributions and task persistence among type A and B individuals: A clar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 

  8. Jeon, H. J., "A study on elementary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The case of violin education", Master's Thesis, Kwan Dong University, 2008. 

  9. Lee, Y., "Effects of the collective 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study-group participating public officials", Doctoral Thesis, Soong Sil University, 2010. 

  10. Kevin, M. E., and Margaret, A. H.,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Related to Recruitment and Retention, 2000. 

  11. Juan, C. R. a, Chiu C. b, and Francisco J. M., Understanding e-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2006. 

  12. Choi, G., "Correla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perception of adult learners", Master's Thesis, A Ju University, 2010. 

  13. Wolman, B.,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SD: Academic press. 

  14. Kim, H. S., "An analysis of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teacher's gender", Master's Thesis, Kong Ju University, 2008. 

  15.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Education, Educational Terminology Dictionary. 2011. 

  16. Lee, S. R., "An analysis of relationship of academic achievement to the parenting attitude of mothers",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17. Kim, S. T., "Principles of Modern Class", Kyoyookbook, Seoul, 1989. 

  18. Kang, H. S., "Effects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ttiud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aster's Thesis, Kang Won University, 2012. 

  19. Han, K. 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GPA of student majoring in flight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13(3), pp.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