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자연도 등급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인위적 토지피복 변화 분석
The Impact of Anthropogenic Land Cover Change on Degradation of Grade in Ecology and Nature Map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6, 2019년, pp.77 - 87  

최철현 (국립생태원) ,  임치홍 (국립생태원) ,  이성제 (국립생태원) ,  서현진 (국립생태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rst grade zones in Ecology and Nature Map are important regions for the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but it would be degraded by various anthropogenic factor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land cover change and degradation of the first grade zones using land cover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변화를 바탕으로 도출된 전이확률과 경사도를 활용하여 생태자연도 등급 하락의 인위적 영향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등급 권역에서 개발 및 이용이 가능한 3등급 권역으로 변화된 지역의 면적이 가장 많은 강원도 및 경기도를 대상으로 토지피복 변화 및 토지피복 전이확률이 생태자연도 등급 유지 및 하락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Figure 1).
  • 본 연구에서는 생태자연도 등급의 하락과 관련된 인위적 영향요인을 토지피복 전이확률을 통해 모델링하여 어떠한 요인이 등급의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등급의 하락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2016).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용적 측면이 아닌 피복변화를 분석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중분류 자료를 7개의 대분류 항목으로 병합한 후 변화 여부를 파악하였다.
  • 생태자연도 등급의 하락은 유지된 지역과 대비하여 어떠한 인위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모형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모형의 이는">2016). 이는 위성영상, 항공정사영상, 기 구축된 공간자료 등을 활용하여 토지피복 속성을 분류한 지도로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이 자료를 활용하였다.
  • 후)위해로지스틱">위해 로지스틱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잠재적 토지피복 변화가 생태자연도의 등급하락에 미치는 영향력 및 등급 하락의 원인과 이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 후)변화 요인을">변화요인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자연적인 요인은 인위적 요인보다 변수화가 어렵고 장기간의 조사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요인의 영향력 도출과 생태자연도의 제도적 보완점에 대한 논의에 집중하였다. 추후에는 인위적 요인을 세분화하고 자연적 요인을

    가설 설정

    • Markov 기법은 시스템의 현재 상태가 이전 단계의 상태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고 그 이전의 상태에 의해서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Markov chain이라는 확률과정을 가정한다(Kim and Lee, 2007). 따라서 이전과 현재의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자연도는 무엇인가? 생태자연도는 점차 멸종되어 가는 생물과 자연적·생태적·경관적으로 우수한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보호제도 중 하나로서 전국자연환경조사, 멸종위기 야생생물 전국분포조사, 전국내륙습지조사 등 생태·생물 관련 각 분야 전문가들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생태적 보전가치를 평가한 자료이다(NIE, 2018). 생태자연도는 전국을 1, 2, 3등급 및 별도관리지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러한 등급에 따라 보전가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
생태자연도의 등급 변경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생태자연도의 등급 변경은 전국자연환경조사결과를 반영하여 이루어지는 개정고시와 관·민원에서 제기된 이의신청에 의한 현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수시고시를 통해 이루어진다. Ahn et al.
생태자연도의 등급별 내용은 무엇인가? 생태자연도는 전국을 1, 2, 3등급 및 별도관리지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러한 등급에 따라 보전가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 그 내용을 보면, 1등급 권역은 자연환경의 보전 및 복원이 필요한 지역, 2등급은 자연환경의 보전 및 개발·이용에 따른 훼손의 최소화, 3등급은 체계적인 개발 및 이용이 가능한 지역으로 정의되어 있다(자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28조). 별도관리지역은 다른 법령에서 지정된 주요 보호지역으로 산림보호구역, 자연공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 야생생물 보호구역 등이 포함된다(자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25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KW.Shin YK.Kim JY.Lee YK.Lim JC.Ha JW.Kwon HS.Suh JH and Kim MJ. 2015. A review on the public appeals of the ecosystem and nature map.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1) : 99-109. (in Korean) 

  2. Araya YH and Cabral P. 2010. Analysis and modeling of urban land cover change in Setubal Sesimbra, Portugal. Remote Sensing. 2(6) : 1549-1563. 

  3. Eastman JR. 2012. IDRISI-TerrSet. Worcester. MA: Clark University. 

  4. Eastman JR. 2016. IDRISI Terrset manual . Worcester. MA: Clark University. 

  5. El-Hallaq MA and Habboub MO. 2015. Using cellular automata-markov analysis and multi criteria evaluation for predicting the shape of the Dead Sea. Advances in Remote Sensing. 4(01) : 83-95. 

  6. ESRI AD. 2011. Release 10.5.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Redlands. CA. 

  7. Jin S.Yang L.Danielson P.Homer C.Fry J and Xian G. 2013. A comprehensive change detection method for updating the National Land Cover Database to circa 2011.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32: 159-175. 

  8. Jung TJ.Song IB.Lee JS.Lee SJ.Cho KJ.Song KH.Kim KD.Cha JY.Cho JS.Leem HS and Joung HJ. 2017. The analysis on causes of areas with public appeals to the ecosystem and nature map.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1) : 25-34. (in Korean) 

  9. KFS. 2019.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in Korean) 

  10. KRIHS. 2005. Policy direction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l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Korean) 

  11. Kim SJ and Lee YJ. 2007. The effect of spatial scale and resolution in the prediction of future land use using CA-Markov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2) : 57-69. (in Korean) 

  12. Lee YH and Kim SJ. 2007. A Modified CA-Markov Technique for Prediction of Future Land Us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27(6D) : 809-817. (in Korean) 

  13. Lee DK.Kim JU and Park C. 2010. A prediction of forest vegetation based on land cover change in 2090.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2) : 117-125. (in Korean) 

  14. Lee DK.Ryu DH.Kim HG and Lee SH. 2011. Analyzing the future land use change and its effects for the region of Yangpyeong-gun and Yeoju-gun in Korea with the Dyna-CLUE Mode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6) : 119-130. (in Korean) 

  15. Li X.Lin J.Chen Y.Liu X and Ai B. 2013. Calibrating cellular automata based on landscape metrics by using genetic algorithm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7(3) : 594-613. 

  16. Li X and Yeh AGO. 2002. Neural-network-based cellular automata for simulating multiple land use changes using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6(4) : 323-343. 

  17. Li X and Yeh AGO. 2004. Data mining of cellular automata's transition rul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8(8) : 723-744. 

  18. Mas JF. 1999. Monitoring land-cover changes -a comparison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0(1) : 139-152. 

  19. NIE. 2018. Research for ecosystem and nature map.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Korean) 

  20. Oh KY.Lee MJ and No WY.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land cover map b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 : 105-118. (in Korean) 

  21. Park GA and Kim JS. 2007a. Prediction of the urbanization progress using factor analysis and CA-Markov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9(6) : 113-122. (in Korean) 

  22. Park SH and Kim JI. 2007b.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change at the urban frin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2) : 35-45. (in Korean) 

  23. R Core Team. 2018.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URL https://www.R-project.org/. 

  24. Sang L.Zhang C.Yang J.Zhu D and Yun W. 2011. Simulation of land use spatial pattern of towns and villages based on CA-Markov model.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ing. 54(3-4) : 938-943. 

  25. Sangermano F.Eastman JR and Zhu H. 2010. Similarity weighted instance-based learning for the generation of transition potentials in land use change modeling. Transactions in GIS. 14(5) : 569-580. 

  26. Seo HJ and Jun BW. 2017. Modeling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with a CA-Markov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2(1) : 123-141. (in Korean) 

  27. Singh A. 1989. Review article digital change detection techniques using remotely-sense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0(6) : 989-1003. 

  28. Subedi P.Subedi K and Thapa B. 2013. Application of a hybrid cellular automata-markov(CA-Markov) model in land-use change prediction -a case study of Saddle Creek Drainage basin. Florida. Applied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1(6) : 126-132. 

  29. Weng Q. 2002. Land use change analysis in the Zhujiang Delta of China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GIS and stochastic modell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4(3) : 273-28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