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패턴 유형에 따른 5학년 일반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주의집중과 주의전환
Attention and Attention Shifts of 5th General 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Types of Mathematical Pattern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2 no.1, 2019년, pp.1 - 12  

이슬기 (구미 원호초등학교) ,  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 패턴의 유형에 따른 패턴 발견에 대한 일반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주의집중주의전환을 알아 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일반학생과 수학영재 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중의 시선움직임을 시선추적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두 집단 간 표현양식에 따른 주의집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주의전환은 두 집단 모두 숫자 표현양식에서 더 많았다. 둘째, 두 집단간의 생성방식에 따른 주의집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의전환은 두 집단 모두 증가변형 생성방식에서 더 많았다. 셋째, 일반학생들은 두 속성 모두에서 인접하지 않은 항 간의 비교에 더 많이 집중했다. 일반학생과 다르게 수학영재학생은 기하적 속성에서 주의전환이 더 많았다. 다양한 유형의 수학 패턴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 두 집단 간 주의집중과 주의전환의 차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attention and attention shift of general students 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bout pattern by the types of mathematical pattern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eye movements during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5th general 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sing ey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패턴의 규칙성 찾기 과제에서 패턴 유형에 따른 일반학생과 초등수학영재학생의 시선 움직임을 시선추적기(eye-tracker)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이들의 주의집중과 주의전환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선 추적이란? 이러한 기존의 연구 방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선추적(eye tracking)이 각광받고 있다. 시선 추적은 안구 구조가 부분적인 시야의 감각만 허용하는 한계로 인해 대상을 인지하기 위해 계속 눈동자를 움직이는 과정을 추적하는 것을 의미한다(한미향, 권승혁, 권용주, 2015). Rehder & Hoffman(2005a)이 분류활동에서의 선택적 주의에 대한 연구에서 시선 추적을 사용한지 불과 몇 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이미 컴퓨터 모델의 선택적 주의 구성 요소와 맞게 연결되는 주의력 할당의 유용한 측정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Blair, Watson, Walshe, & Maj, 2009) Rehder와 Hoffman(2005b)은 시선 고정이 주의력 가중치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수학에서 대수는 무엇인가? 한편, 수학에서 대수는 문자와 여러 상징들을 활용하여 숫자와 관계된 문제를 푸는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을 의미하며(Day & Stanley, 1857), 대수 학습의 기본은 패턴이다(Radford & Peirce, 2006). 학생들은 패턴을 관찰하고 확장하며 일반화하는 경험을 통해 변수, 대수식, 방정식 등을 학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김성준, 2002)는 점에서 패턴 활동은 패턴의 관찰에서부터 출발한다.
수학 패턴 유형에 따른 5학년 일반학생과 수학영재 학생의 주의집중과 주의 전환 연구 결과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기하’ 패턴에서 표현양식(숫자, 그림)에 따른 일반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주의집중과 주의집중을 방해하는 주의전환에 큰 차이가 없음을 통하여 반복-기하 패턴의 표현양식에 따른 지도는 영재학생이나 일반학생의 차이를 두기 보다는 일반학생들에게도 ‘반복-기하’ 패턴의 과제를 많이 해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패턴 지도 초기에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둘째, ‘숫자-기하’ 패턴의 과제에서 역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숫자-기하 패턴의 과제는 영재학생들에게 좀 더 심도 있는 과제로 제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또한 증가변형 생성방식에서 주의전환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증가변형의 과제의 제시와 해결 지도에 관심을 더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그림-회전’ 패턴에서 영재학생들은 기하적속성에서 일반학생은 물리적 속성에서 주의전환이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볼 때 각 학생들의 특징에 맞게 이러한 속성에 따라 주의집중이 일어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라 여겨진다. 넷째,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패턴 표현양식, 생성방식, 속성에 따라 일반학생과 수학영재학생 간의 주의집중과 주의전환에 차이가 나타났다. 주의 전환은 문제해결과정을 방해하고(Barbo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N. G., & Kim, E. S. (2009). A study on the 6th graders' learning algebra through generalization of mathematical patter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Series E, 23(2), 399-428. 

  2. Kim, S., & Shin, I. (1997). Teaching mathematical pattern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1), 3-22. 

  3. Kim, S. J. (2002). A study on the change of algebra curriculum: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algegra based on pattern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2(3), 353-369. 

  4. Kim, S. (2013). Comparing of second graders' patterning understanding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5), 636-660. 

  5. Kim, S., Byeon, J., Lee, I., & Kwon, Y. (2012). An eye tracking study on test-item solving of science scholastic achievement focus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1), 66-78. 

  6. Kim, S., Byeon, J., Lee, I., & Kwon, Y. (2013).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ask commitment using eye-tracking for identifying science gifted student. Biology Education, 41(3), 421-434. 

  7. Pang, J., & Sunwoo, J. (2016). An analysis on teaching methods of patter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9(1), 1-18. 

  8. Byeon, J., Kim, S., Lee, I., & Kwon, Y. (2013). A study on attention type and shift of task commitment in secondary students' biological classification: Eye-tracking approach. Biology Education, 41(2), 254-266. 

  9. Oh, K., & Kim, S. (1995). The attitude of teachers and parents toward the gifts in science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5(3), 291-302. 

  10. Oh, H. (2002). Korean FAIR introduction by Korean standardization research of German FAIR. Seoul: The Central Research Institute for Inimical Character. 

  11. Woo, J., & Kim, S. (2007). Analysis of the algebraic thinking factors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of its learning and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7(4), 453-475. 

  12. Yu, M., & Ryu, S. (2013). A comparison between methods of generaliz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atter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hool Mathematics, 15(2), 459-479. 

  13. Lee, M., & Kim, A.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e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4), 1391-1411. 

  14. Lee, M., & Na, G. (2012). Examining the students' generalization method in relation with the forms of pattern: Focused on the 6th grade students. School Mathematics, 14(3), 357-375. 

  15. Lee, S. (2018). Cognitive load and eye movement of 5th grad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mathematical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16. Lee, J., Kang, S., Kim, D., & Hur, H. (2010). Qualitative research on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KSA students that appear to observation recording of parents and qualitative admission data by CAQDA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 427-459. 

  17. Choi, B., & Pang, J. (2011). Analysis on the first graders' recognition and thinking about mathematical pattern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1), 67-86. 

  18. Choi, B., & Pang, J. (2012).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olution strategies of generalizing geometric pattern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4), 669-636. 

  19. Choi, H., Lee, H., & Lee, S. (2007). A study on awareness of patterns by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1), 223-240. 

  20. Han, M., Kwon, S., & Kwon, Y. (2015). Eye-tracking patterns on visual-search task in of elementary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8), 67-81. 

  21. Blair, M. R., Watson, M. R., Walshe, R. C., & Maj, F. (2009). Extremely Selective Attention: Eye-Tracking Studies of the Dynamic Allocation of Attention to Stimulus Features in Categorization. Learning, Memory, 35(5), 1196-1206. 

  22. Day, J., & Stanley, A. D. (1857). An Introduction to Algebra: Being the First Part of a Course of Mathematics, Adapted to the Method of Instruction in the American Colleges. New Haven: Durrie & Peck. 

  23. Goodman, P. S., Ravlin, E., & Schminke, M. (1987). Understanding groups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9, 121-173. 

  24. Locke, E. A., Shaw, K. N., Saari, L. M., & Latham, G. P. (1981).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1969-1980. Psychological Bulletin, 90(1), 125-152. 

  25. Mullen, B., & Copper, C. (1994). The relation between group cohesiveness and performance: An integr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5, 210-227. 

  26. Radford, L., & Peirce, C. S. (2006). Algebraic thinking and the generalization of patterns: A semiotic perspective. In Proceedings of the 28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North American chapter (Vol. 1, pp. 2-21). 

  27. Rehder, B., & Hoffman, A. B. (2005a). Eyetracking and selective attention in category learning. Cognitive Psychology, 51(1), 1-41. 

  28. Rehder, B., & Hoffman, A. B. (2005b). Thirty-something categorization results explained: selective attention, eyetracking, and models of category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31(5), 811-829. 

  29. Renzulli, J. S.(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30. Reys, R. E., Lindquist, M., Lambdin, D. V., & Smith, N. L. (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New York: John Wiley & Sons. 

  31. Sternberg, R. J., & Davidson, J. E. (Eds.). (2005). Conceptions of giftedn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Sweller, J. (1988). Cognitiveload during problemsolving: Effects on learning. Cognitive Science, 12(2), 257-2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