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 '캠벨얼리' 차광수준이 수체생장과 열매마름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e Levels on Growth and Fruit Blight of 'Campbell Early' Grape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7 no.1, 2019년, pp.45 - 56  

김병삼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조경철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황인택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최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정석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험I은 여름철 고온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매마름 증상 경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일부 지역의 '캠벨얼리' 6개 포도과원을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열매마름 발생비율이 높은 과원은 주로 관수를 하지 않은 수세가 중간인 곳에서 관찰되었다. 시험II는 포도나무 수관 전체를 차광망을 씌워서 차광수준을 0%, 30%, 60%로 하여 과실마름 증상 등을 포함한 수체 반응을 조사하였다. 수확 시기는 30% 차광으로 0% 차광보다 2주일 정도 앞당겨졌다. 차광량이 증가하면 신초장은 길어지고 신초경은 가늘어지는 경향을 보였고, 신초수는 30% 차광에서 가장 많았다. 수관의 조도는 30% 차광에서 약 26% 감소가 관찰되었다. 상품성이 있는 수확 과방수는 30% 차광처리에서 주당 50.6송이로 0% 차광(주당 33.6송이)과 60% 차광(주당 42.8송이)보다 높은 수확량을 보였다. 열매마름 과방과 열매마름 과립률은 30% 차광처리에서 각각 11.8%와 11.2%로 가장 낮았다. 30% 차광처리는 과방중과 과립중, 당도, 안도시아닌 함량을 증가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 was initiated in six private 'Campbell Early' vineyards in parts of Jeollanam-do province to relieve symptom of fruit blight mostly due to a high temperature occurred in Summer. High percentage of fruit blight was observed for medium growth of grape trees non-irrigated. In the study I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5). 본 시험은 여름철 고온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매마름 증상 경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일부 지역의 ‘캠벨얼리’ 포도과원을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한 후, 차광수준을 달리하여 과실 마름 증상 등을 포함한 수체 반응을 집중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실마름이란 무엇인가? 2016년에는 포도 생육기온도가 평년보다 2℃ 이상 높아 ‘캠벨얼리’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에서 과실마름 증상이 많이 보고되었다. 과실마름은 수확기에 착색이 안 되고 과실 상부에서 부터 건조해지기 시작 하는 생리장해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남부 일부지역에서는 30% 이상의 포도 마름 증상이 발생되어 품질감소에 따른 정상적인 판매가 어려운 실정을 보이고 있다. 과실마름 증상은 주로 배수가 원활하면서 여름철에 관수를 거의 실시하지 않은 과원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발생 원인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포도 중 캠벨얼리의 재배면적 비중은 얼마인가? 국내 과수생산량 5위안에 매년 꾸준히 위치하고 있는 포도는 ‘캠벨얼리’가 약 57.8% 이상의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단일품종의 집중화가 심한 작목이다(KREI, 2018). 포도 친환경재배 농가도 캠벨얼리 품종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편인데, 이는 착립과 착색이 우수 하여 소비자 기호성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캠벨얼리 포도의 재배면적이 가장 넓은 이유는 무엇인가? 8% 이상의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단일품종의 집중화가 심한 작목이다(KREI, 2018). 포도 친환경재배 농가도 캠벨얼리 품종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편인데, 이는 착립과 착색이 우수 하여 소비자 기호성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에는 품종 편중화로 인한 노동력 수급 불균형과 가격하락, 그리고 고온에 의한 갈반병의 급증 등으로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uttrose, M. S. 1969. Vegetative growth of grapevine varieties under controlled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Vitis 8: 280-285. 

  2. Cartechini, A. and A. Palliotti. 1995. Effect of shading on vine morphology and productivity and leaf gas exchange characteristics in grapevines in the field. Amer. J. Enol. Vitic. 46: 227-234. 

  3. Cheon, M. G., Y. B. Kim, S. Y. Lee, G. P. Hong, S. M. Jung, and J. G. Kim. 2017. Vin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Jinok' and 'Campbell Early' grape as influenced by cropping system.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6: 175-180. 

  4. Dokoozlian, N. K. and W. M. Kliewer. 1996. Influence of light on grape berry growth and composition varies during fruit development. J. Amer. Soc. Hort. Sci. 121: 869-874. 

  5. Downey, M. O., J. S. Harvey, and S. P Robinson. 2008. The effect of bunch shding on berry development and flavonoid accumulation in Shiraz grapes. Aust. J. Grape Wine Res. 10: 55-73. 

  6. Heuvel, J. E. V., J. T. A. Proctor, K. H. Fisher, and J. A. Sullivan. 2004. Shading affects morphology, dry-matter partitioning, and photosynthetic response of greenhouse-grown 'Chardonnay' grapevines. HortScience 39: 65-70. 

  7. Human, M. A. and K. A. Bindon. 2008. Interactive effect of ethephon and shading on the anthocyanin composition of Vitis vinifera L. cv. Crimson Seedless. S. Afr. J. Enol. Vitic. 29: 50-58. 

  8. Kappel, F. and J. A. Flore. 1983. Effect of shade on photosynthesis, specific leaf weight, leaf chlorophyll content, and morphology of young peach trees. J. Amer. Soc. Hort. Sci. 108: 541-544. 

  9. Kim, B. S., V. Pagay, K. C. Cho, Y. G. Na, B. K. Yun, K. J. Choi, S. K. Jung, and H. S. Choi. 2015. Effect of oil cake application on soil and leaf nutrition and on fruit yields in non-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times}$ kaki Thunb.) trees. J. Hortic. Sci. Biotechonl. 90: 203-209. 

  10. KMA. 2018.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http://www.kma.go.kr/repositary/sfc/pdf/sfc_ann_2017.pdf). 

  11. KREI. 2018. 2018 Agricultural outlook. Korea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http://library.krei.re.kr/pyxis-api/1/digital-files/66306611-d1b4-4144-875b-885204a3ae2c). 

  12. Lakso, A. N., J. N. Wunsche, J. W. Palmer, and L. Corelli - Grappadelli. 1999. Measurement and modeling of carbon balance of the apple tree. HortScience 34: 1040-1047. 

  13. Lee, S. H., M. K. Song, W. H. Choi, Y. S. Lee, S. T. Hong, S. M. Jung, J. H. Noh, and J. C. Nam. 2015. Effect of the shading conditions on the photosynthesis and fruit quality of "Jarang" and "Heukboseok" grape at high temperature period. Korean J. Int. Agric. 27: 221-225. 

  14. Lim, Y. J. 2016. Particulars of fruit growing. Hyangmunsa Publication, Korea. pp. 1-526. 

  15. Morgan, D. C., C. J. Stanley, and I. J. Warrington. 1985. The effects of simulated daylight and shade-light o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in kiwifruit and grapevine. J. Hort. Sci. 60: 473-484. 

  16. RDA. 2011. Standard analysis method of soil and plant.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Suwon, Korea. 

  17. Reynolds, A. G., R. M. Pool, and L. R. Mattick. 1986. Influence of cluster exposure on fruit composition and wine quality of Seyval blanc grapes. Vitis 25: 85-95. 

  18. Rom, C. 1994. Fruit tree growth and development. Good Fruit Grower Magazine, Yakima, USA. pp. 1-165. 

  19. Siegelman, H. W. and S. B. Hendricks. 1958. Photocontrol of alcohol, aldehyde and anthocyanin production in apple skin. Plant Physiol. 33: 409-413. 

  20. Son, I. C., J. H. Han, J. G. Cho, S. H. Kim, E. H. Chang, S. I. Oh, K. H. Moon, and I. M. Choi. 2014. Effects of the elevated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on vin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vines (Vitis labruscana). Kor. J. Hort. Sci. Technol. 32: 781-7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