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교사를 위한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모델 4E 개발
Development of Game Programming Education Model 4E for Pre-Service Teacher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3 no.6, 2019년, pp.561 - 571  

성영훈 (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로그래밍 교육은 일반적으로 문제분석 과정,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을 통한 자동화, 일반화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학습자의 컴퓨팅사고 향상에 좋은 소프트웨어 교육방법이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 명령어 사용법에 대한 이해, 알고리즘 작성과 프로그래밍 구현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모델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4E 모델은 공감단계, 탐색단계, 강화단계 및 평가단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각 단계별로 게임 핵심 요소와 핵심 명령어 블록들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비교사가 프로그래밍 명령어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제 학습, 자기 게임 생성 및 팀 기반 프로젝트 형태로 구성된 3단계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15주간 교육과정으로 적용하고 검증한 결과 설계한 모델, 예비교사들의 블록 프로그래밍 역량 인식 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제출한 결과물에 대한 컴퓨팅사고 수준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gramming education generally includes problem analysis process, automation through algorithms and programming, and generalization process. It is a good software education method for students in improving computing think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beginners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을 위해 체계적인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이 가능한 교육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 예제 프로그램을 통한 게임 추상화(Abstraction), 개별 게임 만들기와 팀별 게임 프로젝트를 통한 자동화(Automation), 스크래치 소스 공유와 리믹스 기능을 활용하여 온라인 문서공유 기반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개선을 위한 분석화(Analysis) 로 제시하였다[14]. 이를 통해 학습자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절차에 대한 의미와 사고를 전달하는 과정 속에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그래밍 교육이란? 프로그래밍 교육은 일반적으로 문제분석 과정,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을 통한 자동화, 일반화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학습자의 컴퓨팅사고 향상에 좋은 소프트웨어 교육방법이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 명령어 사용법에 대한 이해, 알고리즘 작성과 프로그래밍 구현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방식의 프로그래밍 교육의 한계점은? 특히 프로그래밍 교육은 일반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문제분석 과정,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테스트 및 구현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컴퓨팅 사고는 문제해결 전반에 걸쳐 주요한 사고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식의 프로그래밍 교육의 경우 텍스트 형태의 명령어 이해, 알고리즘 작성과 프로그래밍 구현 영역 등에서 학습의 수준이 올라갈수록 학습자의 흥미와 지속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11][13][30].
블록 프로그래밍 경험이 부족한 초보자가 쉽게 접하도록 어떤 연구 방법들을 적용시켰나? 초보자가 쉽게 블록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접할 수 있도록 기초블록 사용방법, 변수와 함수, 프로젝트로 구성된 전통적 형태의 교육모델[29], 프로젝트 형태 [17][23], 디자인 사고 적용[27] 블랜디드 러닝 기법 활용[24], 게이미피케이션 전략[6] 등 다양한 형태의 연구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프로그래밍 경험이 많을수록 결과물의 질적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rtym, C., & Carbonaro, M. (2019, June). Examining Pre-Service Teachers' Computational Thinking: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Gender in Digital Game Construction?. In EdMedia+ Innovate Learning (pp. 552-557).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2. Bernadette Spieler, Petri, A., Schindler, C., Slany, W., Betran, M., Boulton, H., ... & Smith, J. (2018). Pocket Code: a mobile app for game jams to facilitate classroom learning through game creation. arXiv preprint arXiv:1805.04461. 

  3. Chul-Hyun Lee (20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Learning Programming EPL.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2(2), 49-63. 

  4. Cuny, J. (2015). Transforming K-12 computing education: AP(R) computer science principles. ACM Inroads, 6(4), 58-59. 

  5. de Paula, B. H., Burn, A., Noss, R., & Valente, J. A. (2018). Playing Beowulf: Bridging computational thinking, arts and literature through game-ma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computer interaction, 16, 39-46. 

  6. do Carmo Nogueira, T., de Souza Campos, E., & Ferreira, D. J. (2018, July). Cognition Developing of Computer Higher Education Students Through Gamification in the Algorithm Teaching-Learning Process. In $26^{\circ}$ Workshop sobre Educacao em Computacao (WEI 2018), 26(1). SBC. 

  7. Fullerton, T. (2018). Game design workshop: a playcentric approach to creating innovative games. AK Peters/CRC Press. 

  8. Gee, E. R., & Tran, K. M. (2016). Video game making and modding. In Handbook of research on the societal impact of digital media(pp. 238-267). IGI Global. 

  9. Hong-Sub Lee, Hyung-Won Jeong, & Young-Kyo Kim (2016).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e for Learning Game Production Principles: Centering on Scratch Langu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403-410. 

  10. Jeongmin Lee, & Somang Kim. (2019). Qualitative research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SW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3(1), 39-53. 

  11. Jeongrang Kim (2016). Effects of Pair Programming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Efficien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1), 21-28. 

  12. Jin-Suk Park, Hyun-Jin Jung, & Jong-Seung Park (2008). Utilizing Computer Games To Improve Academic Learn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no.14, 71-80. 

  13. Juyeon Park (2019). Evalu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Cod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ratch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3(3), 207-217. 

  14. Lamprou, A., & Repenning, A. (2018). Teaching how to teach computational thinking. In Proceedings of the 23rd Annual ACM Conference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69-74. 

  15. Lau, W. W. (2018). Learning With Games and Digital Stories in Visual Programming. In Encyclopedia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urth Edition (pp. 3309-3316). IGI Global. 

  16. Lee, U.-J., & BYUN, D. H. (2019). Gamification Convergence Contents Study: Formal Elements of the Game Implement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8), 483-489. 

  17. Misong Kim & Hyungshin Choi (2018). Foster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Self-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1), 61-70. 

  18. Moreno-Leon, J., & Robles, G. (2015, November). Dr. Scratch: a Web Tool to Automatically Evaluate Scratch Projects. In WiPSCE, 132-133. 

  19. Myunghee Kang, Juyeon Park, Seonghye Yoon, Minjeng Kang, & JeeEun Jang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Affective Outcomes in Software Education Using Gam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5), 475.486. 

  20. PhanWoo Park (2016). A Method on the Convergent Software Education with GameProgramm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2), 27-34. 

  21. Salen, K., Tekinbas, K. S., & Zimmerman, E. (2004).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MIT press. 

  22. Sungkyung Kim, Sangchul Kim (2018). Middle-School Programming Classes Utilizing App Inventor Game Creation and the Analysis of their Educational Outcomes.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8(3), 49-60. 

  23. Sunju Park (2018). Analysis of Computational Thinking Level Through the Scratch Project Analyz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6), 661-669. 

  24. Ui-Sung Song, & Joon-Min Gil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Blended Learning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6(7), 353-360. 

  25. Wae-shik Moon (2018). Analysis of error data generated by prospective teachers in programming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2), 205-212. 

  26.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27. Youngho Seo & Jonghoon Kim (2017). The effect of SW education applying Design Thinking on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3), 351-360. 

  28. Young-Hoon Sung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T-SPI Model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1(1), 169-180. 

  29. Youngshin Han(2018).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Programming Learning for Non-science Major Preliminary Teachers’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1), 41-52. 

  30. Youngsik Jeong, & Jeongsu Yu(2014). Th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the Game Programming Using KODU.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3), 453-460. 

  31. Young-Sik Jeong, Soo-Bum Shin, & Young-Hoon Sung (2016). Analysis of Appropriateness in Information Curriculum for Algorithm and Programm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6), 575-584. 

  32. Dr.Scratch(2019). Dr.Scratch. Retrieved from http://www.drscratch.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