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을 중심으로한 R&E 집중연구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ompetency through Intensive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in KAIS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6, 2019년, pp.729 - 738  

최진수 (한국과학기술원) ,  김영민 (한국과학기술원) ,  이영주 (한국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 프로그램은 연구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과학영재들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관심 분야 전문가와의 긴밀한 만남과 과학탐구 경험을 통해 과학자로서의 연구 태도와 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고, 창의성을 계발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미래과학기술 인력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의 교육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교육 인력의 저변 확대를 통한 과학영재 교육의 질적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이 미래 과학기술인력으로써 필요한 창의인재역량과 첨단과학기술 분야 진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R&E 프로그램에 참여한 D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집중연구 사전, 사후에 걸쳐 창의인재역량과 과학진로지향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R&E 프로그램 참여 후 창의인재역량 중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사회적 특성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세부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과학진로지향과 관련하여 과학학습, 과학진로에 대한 선호도, 과학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및 과학진로 정보의 필요성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대상과 지도목표에 따른 R&E 프로그램 모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나아가 연구역량 교육 및 과학진로진학을 지도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and Education(R&E) program has been emphasized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ince it can improve scientific research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because it provides scientific research experiences with professional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과학진로 선호도,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KAIST-R&E 프로그램 참여 전후 학생들의 과학진로지향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과학진로지향도 변화 분석을 통해 과학영재 학생들이 과학관련 진로에 대한 선호도와 진로에 대해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지, 어떠한 정보를 필요로 하고 기준으로 삼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영재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위한 R&E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특히,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에서는 다른 R&E 프로그램과 달리 약 2주간 집중 연구 기간을 갖고, 교수 및 연구원과 함께 일련의 연구 과정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와 학생 간에 친밀하게 유대감을 형성하는 기간인 집중 연구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주도의 KAIST-R&E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대학연구실 및 연구자원을 활용한 집중연구를 통해 과학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효과성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의 측정 결과는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수치화한 결과가 아닌 참여 집단의 평균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함이며, KAIST-R&E 프로그램의 집중연구 참여 경험에 따른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KIAST-R&E 프로그램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해 도입된 만큼, 과학고 학생들의 창의인재역량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KAIST-R&E 프로그램의 집중연구 활동이 과학영재 학생들에게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능력 등 미래 과학기술 인력으로써 필요한 창의인재역량을 신장시키는데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기대효과는? R&E 프로그램은 연구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과학영재들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관심 분야 전문가와의 긴밀한 만남과 과학탐구 경험을 통해 과학자로서의 연구 태도와 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고, 창의성을 계발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미래과학기술 인력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의 교육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교육 인력의 저변 확대를 통한 과학영재 교육의 질적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이 미래 과학기술인력으로써 필요한 창의인재역량과 첨단과학기술 분야 진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R&E 프로그램에 참여한 D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집중연구 사전, 사후에 걸쳐 창의인재역량과 과학진로지향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R&E 프로그램의 목적은? R&E 프로그램은 연구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과학영재들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관심 분야 전문가와의 긴밀한 만남과 과학탐구 경험을 통해 과학자로서의 연구 태도와 품성 및 자질을 함양하고, 창의성을 계발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R&E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미래과학기술 인력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의 교육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교육 인력의 저변 확대를 통한 과학영재 교육의 질적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과학영재 학생들의 연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다양한 교육방을 시도하는 이유는? 이와 같은 학교들에서는 과학 분야에서 심화된 교육과 더불어 탐구활동 중심의 연구 활동이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과학고 및 영재학교 졸업생 진학 현황에 따르면 과학영재 학생들의 이공계 대학진학과 이공계열 진로선택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KAIST 2016a; 2016b; 2017a; 2017b; 2018a; 2018b), 선행연구에서도 과학영재 학생들이 미래의 과학자로서 연구 분야의 자질과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연구에 대한 교육과 지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Lee & Yoo, 2013; Yun & Park,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i, E. & Ju, U. (2012). Exploring the construct and developing the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5(1), 69-94. 

  2. Cho, Y. (2011).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creative leader cultivation. 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Ed.) Forum on the Direction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e Leadership: How should secondary school education change to foster creative leadership?(ORM 2011-17).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 Choi, H. (2003). Development of research & education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Policy Study report of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2002-5092. 

  4. Choi, H. & Tae, J. (2015). The Meaning and Value of R&E(Research and Education) Experiences of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Gathering Voices of Graduates by Individual Interview.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4(3), 51-79. 

  5. Choi, S., Kim, J., Ban, S., Lee, K., Lee, S. & Choi, H. (2011). Future strategies for educating creative talents in the 21st century(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 RR2011-01).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 Sciences (2nd. ed). Hillsdale, NL: Erlbaum. 

  7. Frey, B. E. and Noller, R. B.(1983). Mentoring: A legacy of success.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7, 60-64. 

  8. Hwang, H., Hwang, S. & Kang, S. (2010). Qualitative Research for Career Choice Difficultie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2(3), 351-368. 

  9. Jeon, H., Lee J. & Hong, H. (2008). The Effect of Interview with Scientist and Engineer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Image of Scientis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4), 350-358. 

  10. Ji, M. (2005).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R&E program and its influence o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 On the R&E program which is carried out by science high school in 2004(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Jung, H., Ryu, C. & Chae, Y. (2012).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High School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with the R&E Coordinator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243-264. 

  12. Jung, H., Ryu, C. & Park, K. (2018).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aching Types of Research and Education (R&E)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8(2), 185-202. 

  13.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8a). The status of Science high school. TM2018-157, 94p. 

  14.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8b). The status of Science Academy. TM2016-143, 35p. 

  15.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7a). The status of Science high school. TM2017-135, 94p. 

  16.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7b). The status of Science Academy. TM2018-142, 35p. 

  17.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6a). The status of Science high school. TM2016-145, 94p. 

  18.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6b). The status of Science Academy. TM2018-162, 35p. 

  19.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2016c). Support Center to promote Research &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un science. RR2016-09, 93-109p. 

  20. Kim, A. (2019). Exploring Experiences of Six High School Students in the Enrichment Mentorship Program.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7), 99-119. 

  21. Kim, K. & Sim, J. (2008).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act of R&E program based on KAIST freshmen survey. 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4), 282-290. 

  22. Kim, S. & Yoo, M. (2012). Comparision on the vocational values and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between middle school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7), 1222-1240. 

  23. Kim, Y., Kang, J. & Heo, N. (2015). An analysis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mage and perception of the engineering. Journal of Gifted, 25(1), 95-117. 

  24. Lee, H. & Cho, H. (2008). Theoretical Review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utonomous Inquiries for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2(2), 33-50. 

  25. Lee, J. & Yoo, M. (2013) Surve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Research Ethic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4), 593-614. 

  26.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2018-162(Supp.1). 

  27. Mun, K., Mun, J., Hwang, Y. & Kim, S. (2017). Changes in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through STEAM R&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5), 825-833. 

  28. Park, J. (2009). Discussions for preparation and types of mentorship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3), 1-19. 

  29. Ryu, K. (2017).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in Performing the Research & Education(R&E) Program.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30. Yoo, 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program inquiring into scientist' for enhancing social-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sciencerelated perceptions of the science-gifted(Da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31. Yoon, H., Kim, H., Jung H., Kim, J. & Kim, M.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areer Education Materials Using TV Program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4), 518-526. 

  32. Yoon, J., Park, S. & Myeong, J. (2006). A Surve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Views in Relation to a Caner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6), 675-690. 

  33. Yun, E. & Park, Y. (2013). The Survey of Academic Integrity of the Student in Mentorship Program at a Science Gifted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2), 275-2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