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과기반(CEA)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전산시스템(Web-based)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Web-based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1, 2019년, pp.67 - 75  

이상주 (동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NCS센터) ,  조채영 (동의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전산시스템 개발 및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본 연구는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전산시스템을 개발하고 개발된 전산시스템 적용사례를 제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시스템 개발 생명주기에 따라 요구도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전산시스템 개발에 반영 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전산시스템을 직접 적용해 본 교수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산시스템 개발을 통해 졸업시점에 이른 학생들의 개인별, 성과별 프로그램학습성과가 달성되었는지에 대한 모니터 및 CQI 수행이 용이하게 되었으며, 미달성 프로그램학습성과 및 학생에 대한 원인분석과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program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which is developing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Web-based CEA an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과기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체계구축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체계를 완성하게 되면 평가업무 시간이 절약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공 교과목 학습목표와 프로그램학 습성과를 연계하여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수월성을 위해 전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전산시스템 개발 및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 전산시스템을 개발하고 개발된 전산시스템 적용사례를 제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교과목학습목표(CLO)와 프로그램학습성과(PO) 연계 교과목 선정은 교과과정에 있는 모든 교과목을 이용하거나 핵심 교과목(Core, Probe과목) 또는 종합적(통합, 캡스턴)교 과목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19]. 본 연구는 교과목학습목표(CLO)와 프로그램학습성과(PO) 연계를 위해 교원의 합의과정을 거쳐 교과과정에 있는 모든 전공 교과목을 프로그램학습성과와 연계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의 교과기반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효과적으로 측정, 평가, 관리하기위해 전산개발을 하는데 있다. 구체적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효과적인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해 평가체계의 단순화 및 성취수준 미달성 학생 과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한 전산 시스템 개발 및 적용사례를 제시하여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관리체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이다.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해서는 전산 프로 그램 개발이 필수적이지만 아직 사례 발표된 논문이 미미하므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 전산시스템 개발 목적은 교과목 운영결과를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에 적용함으로써 교과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졸업시점에 학과별, 학습성과별, 학생별 성취수준을 즉각 보여주고 설정된 달성목표가 성취되었는지를 확인하며, 미달성 학습성과 및 학생의 원인분석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 평가방법은 교수자가 교과목 평가 전에 프로그램학습 성과를 고려하여 지필고사, 발표, 포트폴리오 등의 직 접·간접방법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며[24][25] 평가도구는 평가방법에 따라 적절한 루브릭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 며, 루브릭 개발과정, 평가결과에 일관성 및 타당성이 유지되어야 한다[23]. 평가방법 및 도구는 학과 및 교과목 현실과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 과목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장점은?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는 교실환경 내에서 교육목표, 교과목 학습목표 및 학생들의 수행결과 를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응시켜 평가하는 방법으로 [10] 별도의 평가수행 없이 수업결과로부터 나온 중간, 기말고사 성적, 보고서, 발표 등의 산출물을 평가에 활용함으로써 개별 교과목 학업성취도 평가를 프로그램 학습성과 항목에 따라 전체교육과정에서 통합적으로 조직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자료수집 이 용이하고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되며,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있어 교원과 학생들에 대한 피드백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교육품질개선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8][11]. 그러나 평가체계의 복잡성으로 인한 실제적 운영에 어려움, 교원의 의견일치 및 전체 동의가 쉽지 않으며, 학습목표에 대한 평가도구 및 채점기준 미수립 으로 인한 계량적 평가 곤란, 비교할 만한 자료가 없는 것 등이 단점이다[8].
성과중심 교육이란? 최근 성과중심교육 체제가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메커니즘으로 강조되고 있다. 성과중심 교육은 교육과정에 대한 결정들이 졸업시점에서 학생들이 보여주는 출구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맞춰지는 교육접근법[1][2]이며 여기서 성과란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이 달성해야 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란?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는 프로그램학습성과를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학위과정에 개설된 교과목과 프로그램학습성과와의 연관성에 근거하여 교과목학습목표 평가를 통하여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8]. 교과기반평가는 학습성과 평가시점을 졸업시점 역량이 아닌 졸업시점까지의 역량 달성 평가로써 졸업시험, 종합설계, 학생포트폴리 오 등의 특정 평가도구 중심의 평가에서 교과목 중심의 평가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 H. Davis, Outcome-based education. J Vat Med Educ, Vol. 30, No. 3, pp. 258-263, 2003. DOI: http://dx.doi.org/10.3138/jvme.30.3.258 

  2. R. M Harden. AMEE Guide No. 14: Outcome-based education: Part 1-An introduction to outcome-based education. Med Teach, Vol. 21, No. 1, pp. 7-14, 1999. DOI: http://dx.doi.org/10.1080/01421599979969 

  3. H. K. Kim, "Development on the model of outcome-based course evaluation design for Course-Embedded Assessment,"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 18, No. 6, pp. 24-31. 2015. 

  4. M. L. Kim, W. Y. Yoon, and B. K. Kim,.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achieving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 in KEC2005,"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Vol. 12, No. 2, pp. 24-31. 2008. 

  5.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Report on self-evalu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KEC2015). http://www.abeek.or.kr/appraisal/template 2018. 10.5. 

  6. S. M. Nam, "Development of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Nursing Education," Journal Korean Academic Society Nurse Education, Vol. 23, No. 2, pp. 135-145. 2017. 

  7. W. N. Jeong, "A Study on Course-Embedded Assessment for Program Outcomes of Information Security Program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7, pp. 183-191, 2018. 

  8. D. E. Song, S. H. Chi, J. K. Han, The Case and Applic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ABEEK, 2017. 

  9. J. K. Kim, "A Development on the Course Embedded Assessment Model for Program Outcome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The Journal of Computer & Communication Research, Vol. 10, No. 1, 2014. 

  10. J. Y. Han, "The review on adapt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program outcome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Vol. 12, No. 3, pp. 96-106, 2009. 

  11. Missouri State University, Courses-Embedded Assessment, Available http://www.missouristate.edu/assessment/, 2018. 10. 2. 

  12. H. Gerretson, and E. Golson,. "Introducing and evaluating Course Embedded Assessment in general education," Assessment Update, Vol. 16, No. 6, pp. 4-6, 2004. 

  13. Y. T. Kim, C. W. Kim and J. W. Jung,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esign Tool for Course-Embedded Assessment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Vol. 19, No. 2, pp. 70-75, 2016. 

  14. KABONE(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ing certification evaluation policy book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03_02.php, 2018. 10. 5. 

  15. Y. K. Pak, "Course Embedded Program Outcome Assesment-Based on the Exams and the Reports,"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Vol. 9, No. 3, pp. 62-66, 2006. 

  16. Y. K. Pak, "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Assessment and Program Objective Evalu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Toward a Practical Evaluation of Program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Vol. 13, No. 4, pp. 87-92, 2010. 

  17. H. J. Shin, S. P. Kim, and W. H. Kang. "An Analysis for Course Embedded Assessment Tool to Validate Program Outco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Vol. 7, No. 4, pp. 82-95, 2008. 

  18. W. S. Jo, and S. H. Jin, "A Case Analysis of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of South Korea and USA"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Vol. 14, No. 2, pp. 13-20. 2011. 

  19. B. M. Moskal, J. A. Leydens. Scoring rubric develop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http://pareonline.net/getvn.asp?v7&n10, 2018. 9. 2. 

  20. W. J. Dol, and G. Torkzadeh, "The measurement of end-user computing satisfaction," MIS quarterly, DOI: http://dx.doi.org/10.2307/248851 Vol.12, No. 2, pp 259-274, 1988. 

  21. E. M. Jo.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obile web-based core nursing skills management system. Master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2014. 

  22. A. Dennis, B. H. Wixom, and R. M. Roth, Systems analysis and design. 5th edition ed.: John Wiley & Sons, 2012. 

  23. Marymount University,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Handbook, Available From: http://www.marymount.edu/marymount.edu/media/Home/Faculty-and-Staff/AssessmentHandbookSpring2014.pdf, 2018. 10. 11. 

  24. J. S. Kim, "A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engineering school's program assessment"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Vol. 2, No. 1, pp. 79-99, 2008. 

  25. J. L. Ammons and S. K. Mills, "Course-Embedded Assessment: for Evaluation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Improv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ssues in Accounting Education, Vol. 20, No. 1, pp. 1-19, 2005. 

  26. M. K. Moon, and S. K. Lee, "he development of a web-based database system for managing program learning outcomes in a nursing schoo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4, pp. 2665-2673, 2015. 

  27. J. C. Kang, E. H. Lee, "The Developing and Applying Course CQI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2, pp. 313-34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