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애대학생도우미의 도우미활동 경험과 역할인지에 관한 연구 : 포커스 인터뷰 적용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Role Recognition of Helper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cus Interview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1, 2019년, pp.83 - 97  

최선경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시 S대학교에서 장애학생도우미로 활동하고 있는 학생들이 도우미활동 수행 중에 무엇을 경험하며, 그 결과 도우미 역할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이해하고자 12명을 대상으로 3개의 그룹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1. 장애와 장애대학생도우미 역할의 이해 부족(준비되지 않은 채 수행하게 되는 장애도우미, 일회성 장애교육) 2. 장애대학생 도우미 활동의 어려움(감정적 일체감, 장애학생의 정서적 의존, 느껴지는 차별, 나의 이미지) 3.도우미로서의 나의 역할(일반적인 역할, 나만의 역할) 4. 장애학생 도우미 지원제도의 바램(선별의 체계화, 활동비 모니터링, 교육체계강화) 이라는 4개의 개념이 추출되었고 이 개념을 바탕으로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학생도우미지원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who are help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 University in Busan and the perceptions of their role as assistants. 12 student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group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Fou...

Keyword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8년도 장애대학생 도우미 지원 사업에 따르면 2015년, 2017년에 장애학생 도우미 수 변화는? 장애대학생 도우미의 역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특례입학으로 인한 대학 내 장애인 수의 증가와 그로 인한 도우미 수의 증가와 관련 있다. 교육부가 제시한 2018년도 장애대학생 도우미 지원 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2015년 장애대학생을 보조하는 장애학생 도우미 수는 516명이었으나 2017년 현재 763명으로 증가 되었다[5].
장애대학생 도우미 제도의 도우미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5조 및 제31조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근거하여 고등교육 활동에 필요한 편의지원과 기회확대를 통해 장애인의 고등교육확대를 통한 우수 인력양성 및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4]. 일반인도우미와 전문도우미, 원격도우미로 나뉘는데, 대학 내에서는 주로 일반인도 우미를 학생들이 신청하고 있으며 주요 지원 활동은 교내에서 이루어지는 장애학생 강의․보고서․시험 대필 등 학습지원, 의사소통 지원 및 이동지원 등으로 명시하고 있다[4].
장애학생 도우미 제도가 갖는 의의는? 장애학생 도우미 제도는 장애학생에게 특별전형으로 대학 입학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넘어 인간관계의 형성을 통해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제도로서, 특히 학업적 적응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장애대학생이 대학에서 가장 어렵게 느끼는 부분 중 하나이기 때문이며[5],[6], 이 때문에 장애학생 도우미의 주된 역할이 수업과 강의실 등의 교내 이동에 집중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pecial Education Law for Disabled Persons. [Enforcement 2013.12.30.],[Amended by Law 12127, 2013, 12.30]. 

  2. Act on the Prohibit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Remedies for Rights,etc2015.1.29.][Law12365, 2014.1.28.] 

  3. S.K. Choi,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Meaning of Visually-impaired Undergraduate Freshmen's University Entrance and their School Life Experiences : At a crossroads before taking a leave of absence."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8, No.8, pp. 36-50, 2018. 

  4. National Institu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 Welfare University, "Detailed Plan for the Support Program for Disabled Students in 2018," Ministry of Education, 2018. 

  5. Ministry of Education,Lifelong Education Te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Basic Plan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18", 2018. 

  6. M.S.Suk, D.W.Kang, "A Study on the disabled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adaptation of college life."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Vol.6, No.4, pp.171-194, 2005 

  7. Y. J. Park, S. H. Jeong, "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to Utilize the Peer Support System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Maximize their Academic Adjustm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7, No. 1, pp. 173-193, 2018. 

  8. M. S. Kim, J. H. Park, "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for the Learning- Support systems of University."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6, No.1, pp.25-41, 2010. 

  9. S. A. Kim, C. W. Park, H. G. Lee, " Characteristics of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 31, No. 4, pp. 335-357, 2003. 

  10. Y. J. Oh, S. M. Lee, " A Stud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9, No. 2, 45-66, 2013. 

  11. J. K. Lee, S. W. Ahe, "The Actual Condition and Gender Awareness on College Life.Cours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Vol. 15, No. 2, pp. 259-284. 

  12. M. S. Kim, "The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on University life : over the right to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28, No.4, pp. 97-117, 2014. 

  13. K.H. Kim, "College Adjustment of Freshmen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Deaf Admitted through Special Admission in 4 year College."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Vol. 16, No 3, pp. 187-202, 2015. 

  14. D. I. Kim, H. J. Go, S. R. Jung, J. S. Kim, "Resilient Integration Process of College tudents with disabilitis."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Vol. 51, No. 4, pp. 295-318, 2012. 

  15. H. G. Jo, "A Study on College Life Adaptation Proces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 32, No. 3, pp. 1-33, 2016. 

  16. H. Y. Kwon, H. M. Kim, "Effects of disabled college students self- concept, depression and anxiety on adjustment to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Vol. 7, No.2, pp.43-56, 2004. 

  17. J. Y. Choi, "A Phoomenological study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0, No.4, pp. 2571-2589, 2009. 

  18. J. N. Lee,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chool Lif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K University in chungbuk." Studies in Humanities and 6 Social Sciences, Vol. 50, pp. 5-23, 2016. 

  19. M, J, Cheong, H, I, Jo, "Before and After The Challenged Acceptance Attitud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hallenged Students Support Program in Colle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3, No.4, pp.209-244, 2016. 

  20. M, S, Kim, "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Perception of Assista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y." Special Education Research, Vol.10, No.1, pp. 187-207, 2011. 

  21. S. J. Yeo, J. H. Jo, A. S. Park, "A Qualitative Study of User Experience in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Assostant Support Program."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Vol, 10, No. 3, pp. 125-151, 2016. 

  22. H. K. Kang, J. H. Kim, K. S. Lee, " Analysis on Perception on Disability, Experiences and Need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tudent with Disabilities Support Program in Colleg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Vol. 6, No.2, pp. 265-294.,2011. 

  23. Morgan, D. I. "The Focus Group Guidebook" Focus Group Kit 1. SAGE Publication: CA, 1998. 

  24. H. I. Kwon, G. S. Yoon, S. R. Kim, "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s : Counselor Focus Group Interview centered"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12, No.2,pp. 159-175, 2015. 

  25. S. G. Kim. K.L. SIN, Understanding grounded theory.Seoul:Hanul Academy, 1996 

  26. S. B. Kwon, Y, H. Yom, E.k.Kwon, K. Eun,Y.Y.Lee,"The Empowerment Experience of Hospital Nurses Using Focus Group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ation, Vol.13, No 4, pp. 445-454, 2007. 

  27.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Techniques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Thous 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8. Guba EG, Lincoln YS,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NK Denzin, Y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Sage,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