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간 차이
The effect of the shared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Difference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3, 2019년, pp.455 - 461  

최경일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인식하는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원장과 교사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A지역에 소재한 120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2017년 11월 1일부터 12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93명의 원장과 101명의 교사의 응답내용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 21.0 version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와 t-test를 부수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장과 교사 모두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공유리더십이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어린이집에서 공유리더십의 적용 필요성을 알게 한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공유리더십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of principals and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and to find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For this purpose, 120 child care centers in one province was collected through random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형태와 교사의 직무만족을 개별적으로 다룬 정도였다[17,18].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영유아 보육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직결된다[19]는 전제를 기반으로 어린이집에서 활용되는 공유리더십이 이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원장과 교사 간에 차이가 있는지 동시에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어린이집에서 공유리더십을 활용함으로써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이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A지역에 소재한 120개 어린이집을 무작위 추출하고, 해당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원장과 교사 총 32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가 인식하는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별로 파악하고 그에 따르는 실천적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원장과 교사가 인식하는 공유리더십과 직무만족 수준은 물론이고 이에 따르는 영향관계도 상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즉 원장과 교사 집단 간에 조절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집단분석에 앞서 원장과 교사 집단 간의 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대해서 CCTV 설치, 교사 충원, 지원금 확대 등의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여기에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조직 차원의 접근으로서 리더십을 분산할 것을 제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리더십을 공유하기 위한 변화가 교사에게 적용된다면 교사가 주도적이고 책임감 있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보육 서비스의 수준도 제고될 것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영유아 보육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직결된다[19]는 전제를 기반으로 어린이집에서 활용되는 공유리더십이 이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원장과 교사 간에 차이가 있는지 동시에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어린이집에서 공유리더십을 활용함으로써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한편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공유리더십과 직무만족의 잠재평균을 추정하기 위해서 교사 집단의 잠재평균을 0으로 가정하였다. 그 결과 공유리더십은 원장이 교사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유리더십이 무엇인가요? 이에 반하여 최근에 새로운 형태의 리더십으로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이 활용되고 있다. 공유리더십은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 각자가 서로에게 리더십을 행사하는 집단적이고 수평적인 리더십이라는 특징이 있다[5]. 따라서 한 명의 개인보다는 조직 전체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된 영향력, 조직 구성원이 상호 간에 미치는 총체적인 영향력 및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리더들의 공유되고 분산화된 현상이라는 특성이 있다.
공유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나요? 셋째, 원장과 교사가 인식하는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원장과 교사 모두에게서 공유리더십이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장과 교사 모두 어린이집에서 활용되는 공유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향상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과 같이 비영리조직이며 교육기관의 구성원인 초중학교 교사들에게서 나타난 결과[15,16]와 유사한 것이다.
공유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어린이집에 적용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공유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는 비영리조직이자 보육시설인 어린이집 구성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어린이집은 다른 교육기관에 비해 규모가 작아서 구성원간 인간관계가 밀접하며, 아동의 보육은 원장 중심이 아니라 개별 교사의 책임과 권한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특성이 강한 전통적인 리더십을 활용하기에 부적절하다. 오히려 아동의 적절한 보육과 소규모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원장과 교사가 상시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최선의 보육방법을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피드백을 교류하는 학습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공유리더십이 어린이집에는 더욱 적합할 수 있다[13,14]. 이에 대해서 선행연구들은 공유리더십을 학교나 유치원을 비롯한 비영리조직에서 활용하면 구성원들이 자신의 직무를 가치있게 여기면서 책임을 갖고 수행하면서 조직 내에 상호학습과 배움의 문화가 조성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15,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 J. Kim & Y. J. Jeong. (2016). Antecedents and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Performanc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23(6), 145-168. DOI: 10.21052/KCMR.2016.23.6.07 

  2. G. Cohen & E. Bailey. (1997). What makes teams work: Group effectiveness research from the shop floor to the executive suite. Journal of Management, 23, 239-290. DOI: 10.1016/S0149-2063(97)90034-9 

  3. L. Pearce & A. Conger. (2003). All those years ago: The historical underspinnings of shared leadership. In C. Pearce, J. Conger(Eds.), Shared leadership: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Thousand Oaks, CA: Sage. 

  4. D. Ensley, M. Hmielesk & L. Pearce. (2006). The importance of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within new venture top management teams: Implications for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e Leadership Quarterly, 17, 217-231. DOI: 10.1016/j.leaqua.2006.02.002 

  5. L. Pearce & C. Manz. (2011). Leadership centrality and corporate social ir-responsibility(CSIR): The potential ameliorating effects of self and shared leadership on CSIR. Journal of Business Ethics, 102, 563-579. DOI: 10.1007/s10551-011-0828-7 

  6. J. R. Han. (2016).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and Team Commitment of Team-Bas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Team Tru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303-311. DOI : 10.14400/JDC.2016.14.12.303 

  7. S. Y. Lee & E. S. Choi. (2015). The Effect of the Head Teachers' Shared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Middle Schools.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11(3), 33-66. 

  8. H. L. We, L. Kim & T. M. Ryu. (2015)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5(5), 103-126. 

  9. L. Pearce. (2004) The future of leadership: Combining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to transform knowledge work.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8(1), 47-57. DOI: 10.5465/AME.2004.12690298 

  10. J. Davis, D. Schoorman, C. Mayer & H. Tan. (2000) The Trusted General Manager and Business Unit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of a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1(5), 563-576. 

  11. C. Nicolaides, A. LaPort, R. Chen, J. Tomassetti, J. Weis, J. Zaccaro & M. Cortina. (2014). The shared leadership of teams: A meta-analysis of proximal, distal, and moderating relationships. The Leadership Quarterly, 25, 923-942. DOI: 10.1016/j.leaqua.2014.06.006 

  12. S. Wood & D. Fields. (2007) Exploring the impact of shared leadership on management team member job outcomes. Baltic Journal of Management, 2(3), 251-272. DOI: 10.1108/17465260710817474 

  13. I. S. Cho.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and the organization culture of child care center. Doctoral dissertation. Duc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14. M. S. Kim & J. R. Ahn. (2016).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on Empowerment and Job Stress of Young Children Teachers. Journal of Open Parent Education, 8(4), 331-345. 

  15. S. Y. Lee & E. S. Choi. (2015). The Effect of the Head Teachers' Shared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Middle Schools.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11(3), 33-66. 

  16. J. S. Seo & K. S. Kang. (2013).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Leadership, Teacher Efficacy, Team-Member Exchange(TMX),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8(1), 203-229. 

  17. H. K. Lee & G. R. Lee. (2014). A study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icacy perceived by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9(6), 105-127. 

  18. S. R. Lee & J. H. Lee. (2011). A study of principals' management style in child care centers perceived by teachers and their job satisfac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4), 165-181. 

  19. R. H. Kang. (2006). A study of the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5(1), 71-88. 

  20. J. Hiller, V. Day & J. Vance. (2006). Collective enactment of leadership roles and team effectiveness: A field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7(4), 387-397. DOI: 10.1016/j.leaqua.2006.04.004 

  21. H. J. Bang. (2013).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on team performance, team commitment,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the role of team reflexivity as a mediator-.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2. J. H. Ro. (2012).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19(2), 163-181. 

  23. Y. J. Jung. (2015). Childcare house teachers-perceived president's servant leadership on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their dedication as a mediator. Doctoral dissertatio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