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00kW급 연료전지 열관리 시스템 실도로 운전조건 해석적 연구
Analytic study on thermal management operating conditions of balance of 100kW fuel cell power plant for a fuel cell electric vehic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2, 2019년, pp.1 - 6  

이호성 (자동차 부품 연구원 열제어시스템 연구센터) ,  이무연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  조중원 (자동차 부품 연구원 열제어시스템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100kW급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관리 성능을 실도로 운전조건에서 분석하여, 성능 해석 모델링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열관리 시스템의 운전조건 변화에 따른 성능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해석 모델링은 핵심부품들에 대한 성능 평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연료전지 열관리 시스템 해석 모델링으로 다양한 실차 운전조건에서의 최적 열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력소비량을 분석하였다. 주요하게, 연료전지 열관리시스템 핵심부품(워터펌프, 냉각 팬, 3 Way Valve, 라디에이터)에 대한 성능 특성 분석 후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모델링으로 운전조건에 따른 유량 예측을 하였고, 실험값과 예측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서, 해석 모델링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과도해석을 통하여서, 냉시동시 냉각수 온도가 특정온도까지의 소요시간을 예측하였다. 스택 운전조건에서 스택 입출구 온도가 적정 수준에서 움직이기 위한 열관리 시스템 운전조건에 대한 예측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모전력과 열방출량과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개발된 해석 모델링은 핵심부품들의 성능 변화시 연료전지 시스템 운전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활용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rmal management system(TMS) in a fuel cell electric vehicle with 100kW Fuel Cell(FC) system. In order to build up analytic modelling for TMS, each component was installed and tested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00kW급 연료전지 시스템 발전효율 향상을 위한 열관리 시스템 실차 운전시의 조건을 적용 하여서, 해석적으로 열관리 핵심부품들의 운전조건을 분석하였다. 핵심부품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열관리 시스템 해석에 적용하여서, 운전조건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 4는 스택과 COD 히터에 대한 냉각수 차압 측면에서의 평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스택 및 COD 히터에서의 냉각수 차압 특성의 경우, 냉각수 온도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냉각수 온도에 따른 성능 특성을 분석한 이후에,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상관 식을 개발 하여서, 냉각수 유량 대비 차압 특성에 대한 분석이 가능 하도록 진행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100kW급 연료전지 시스템 발전효율 향상을 위한 열관리 시스템 실차 운전시의 조건을 적용 하여서, 해석적으로 열관리 핵심부품들의 운전조건을 분석하였다. 핵심부품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열관리 시스템 해석에 적용하여서, 운전조건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디에이터는 스택 냉각수의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라디에이터는 스택 냉각수의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높을 경우, 외기온도와 열교환을 통하여서, 냉각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Fig.
연료전지차량에 탑재되는 라디에이터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2배 이상의 방열량 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연료전지 차량은 내연기관 차량과 비교해 열효율이 우수하지만, 배기 손실이 적기 때문에, 냉각 손실이 매우 크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의 허용 수온은 내연 기관과 비교해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입구온도와 공기측 입구온도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연료전지차량에 탑재되는 라디에이터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2배 이상의 방열량 이 요구된다.
연료전지 차량의 특징은? 연료전지 차량은 내연기관 차량과 비교해 열효율이 우수하지만, 배기 손실이 적기 때문에, 냉각 손실이 매우 크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의 허용 수온은 내연 기관과 비교해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입구온도와 공기측 입구온도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Mattew H. Fronk, David L. Wetter, David A. Masten, Andrew Bosco, "PEM Fuel Cell System Solutions for Transportation", SAE 2000 World Congress, No.2000-01-0373, 2000. 

  2. Toshihiro Yamashita, Takayuki Ishikawa, Hitoshi Shimonosono, Minoru Yamada, Mitsuru Iwasaki, "The development of the cooling system for FCV", 2004 JAMA annual conference, No.88-04, 2004. 

  3. J.Hager, L.Schickmair, "Fuel cell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simulation in Contrast to conventional vehicle concepts", 2005 SAE International. 

  4. Han, J. Y., Lee, K. H., and Yu, S. S., 2012, "Dynamic Modeling of Cooling System Thermal Management for Automotive PEMFC Application"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36, No. 12, pp. 1185-1192. DOI: http://dx.doi.org/10.3795/KSME-B.2012.36.12.1185 

  5. H, S. Lee, M. Y. Lee, and J. P. Won, "Numerical study on the therm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stack system for FCEV",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6, pp. 3708-3713, 2015.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7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