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에 위치한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실태를 알아보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술적 조사연구가 시행되었다. 현재 광주지역에 위치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일반 간호사와 수간호사 이상의 간호관리자 포함 179명의 대상자가 임의 표출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였다. 구조화된 설문지가 연구 도구로 사용되었고, 이 설문지에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병원관련 특성 및 근무환경 특성이 포함되었다. 모든 자료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73.2%가 개인에 의해 설립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대상자들이 요양병원 인증평가를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대상자들이 근무하는 병동 내 간호사 대 간호조무사의 비율은 1:2인 경우가 많았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이 한달 동안 받는 평균 휴가 수는 8일이 가장 많았고, 간호사의 평균 연봉은 2,500~3.000만 원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에 대한 근무환경은 좋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요양병원의 근무환경에 대해 간호사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질적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에 위치한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실태를 알아보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술적 조사연구가 시행되었다. 현재 광주지역에 위치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일반 간호사와 수간호사 이상의 간호관리자 포함 179명의 대상자가 임의 표출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였다. 구조화된 설문지가 연구 도구로 사용되었고, 이 설문지에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병원관련 특성 및 근무환경 특성이 포함되었다. 모든 자료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73.2%가 개인에 의해 설립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대상자들이 요양병원 인증평가를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대상자들이 근무하는 병동 내 간호사 대 간호조무사의 비율은 1:2인 경우가 많았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이 한달 동안 받는 평균 휴가 수는 8일이 가장 많았고, 간호사의 평균 연봉은 2,500~3.000만 원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에 대한 근무환경은 좋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요양병원의 근무환경에 대해 간호사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질적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long-term carer hospitals and to help in their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se result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A convenience sample of 179 subjects including staff nurses and nurse managers 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long-term carer hospitals and to help in their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se result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A convenience sample of 179 subjects including staff nurses and nurse managers over head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Gwangju city were recruit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5. A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tudy instrument, and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hospital-related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2.0. The results showed that 73.2% of subjects were working in hospitals established by individuals. The most of long-term care hospitals accepted accreditation program. The ratio of nurses to nurse aiders of was 1:2. The numbers of off duty was 8 days, and average annual salary was 2,500~3,000 ten thousand won in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these results, work environment of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was not good.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deeply how to recognize on work environment like this for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long-term carer hospitals and to help in their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se result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A convenience sample of 179 subjects including staff nurses and nurse managers over head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Gwangju city were recruit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5. A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tudy instrument, and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hospital-related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2.0. The results showed that 73.2% of subjects were working in hospitals established by individuals. The most of long-term care hospitals accepted accreditation program. The ratio of nurses to nurse aiders of was 1:2. The numbers of off duty was 8 days, and average annual salary was 2,500~3,000 ten thousand won in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Based on these results, work environment of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was not good.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deeply how to recognize on work environment like this for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즉, 실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근무환경이 업무를 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히 최근 5년 간 전국 평균보다 30% 정도 더 많이 증가한 광주, 전남 지역 요양병원[15] 중 광주지역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근무환경이란 대상자의 근무와 관련된 제반 환경 모두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찾기 위해 요양병원 관련 문헌고찰과 요양병원 간호관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1차로 본 연구자들이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후에 1차 설문지를 요양병원 간호부장 3인에게 자문을 의뢰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C대학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승인 후(2-1041055-N-01-2015-0031)인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였다. 설문조사에 앞서 먼저, 본 연구자들이 광주 지역에 소재한 1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 간호부장 및 간호과장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였다. 이 중에서 자료수집을 허락한 기관의 간호사들에게 다시 연구의 목적과 진행절차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관련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노인인구와 노인환자 증가에 맞추어 요양병원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이에 따라 더욱 다양하고 전문화된 노인 의료서비스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높아지지만 정작 그 요양병원에서 간호의 핵심인 요양병원 간호사에 대한 근무환경은 특별히 과거에 비해 나아졌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제안 방법
이후에 1차 설문지를 요양병원 간호부장 3인에게 자문을 의뢰하였다. 간호부장 3인의 검토 후 문항을 수정하였고, 다시 간호부장 3인과 요양병원 근무 10년 이상된 간호사 5명의 총 8명에게 본 설문 문항에 대해 검토하게 하여 이들의 의견을 반영한 2차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2차 설문지를 간호부장 3인과 간호사 5명에게 제대로 수정되었는지를 검토받은 후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간호부장 3인의 검토 후 문항을 수정하였고, 다시 간호부장 3인과 요양병원 근무 10년 이상된 간호사 5명의 총 8명에게 본 설문 문항에 대해 검토하게 하여 이들의 의견을 반영한 2차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2차 설문지를 간호부장 3인과 간호사 5명에게 제대로 수정되었는지를 검토받은 후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설문지에는 근무형태, 병상수, 병동 구조, 평균 재원일수 등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전반적 실태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2차 설문지를 간호부장 3인과 간호사 5명에게 제대로 수정되었는지를 검토받은 후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설문지에는 근무형태, 병상수, 병동 구조, 평균 재원일수 등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환경과 관련된 전반적 실태가 포함되었다.
이 중에서 자료수집을 허락한 기관의 간호사들에게 다시 연구의 목적과 진행절차를 설명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기를 허락한 간호사들에 한하여 서면동의를 받은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지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무기명 처리될 것이며, 연구 완료 후 폐기하고, 참여하는 동안에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광주 지역에 위치한 12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간호관리자 179명으로서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요양병원에 근무한 경력이 1년 이상인 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에 장애가 없으며,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서면 동의한 자로 하였다. G*power 3.
설문에 필요한 일반적 사항외의 개인정보는 수집하지 않고, 연구데이터는 연구자의 책임 하에 별도의 파일로 보관하여 이를 코드화하여 개인 신상확인이 불가능하도록 관리함을 정확히 제시하였다. 탈락률 30%를 고려해서 총 19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불충분한 자료기입을 한 11부를 제외한 최종 179명이 임의표집되었다.
데이터처리
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성능/효과
대상자들의 근무와 관련된 특성 중 대상자들의 요양병원 경력은 평균 59.11개월로 5년 이상 근무한 대상자가 38.5%로 가장 많았다. 현재 대다수(96.
1%로 나타났다. Day(D), Evening(E), Night(N)의 근무시간별 간호사 배치 비율은 2:1:1이 46.5%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77.7%는 근무 병원에 보호자 상주가 가능하고, 68.2%는 간병인 상주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2]의 연구에 따르면 요양병원 의료서비스를 위해서는 간호인력의 중요성이 크고, 간병인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병원에서 간병인을 직접 고용하지 않아 교육 등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주간 전담 간호사의 평균 연봉은 2,500만 원 이상이 2,500만 원 미만보다 더 많았고, 야간 전담 간호사의 평균 연봉은 3,000만 원 미만이 3,000만 원 이상보다 더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즉,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유추해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연봉은 2,500만 원에서 3,000만 원 정도라 할 수 있다. 현재 인터넷을 검색해 보면, 요양병원 간호사의 급여나 휴가 수에 대한 문의가 많이 있다.
본 연구는 일 지역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관련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노인인구와 노인환자 증가에 맞추어 요양병원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이에 따라 더욱 다양하고 전문화된 노인 의료서비스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높아지지만 정작 그 요양병원에서 간호의 핵심인 요양병원 간호사에 대한 근무환경은 특별히 과거에 비해 나아졌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실정에서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이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근무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후속연구
Kim[8]은 요양병원은 증가하나 요양병원 근무 간호사가 유지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이 현재하고 있는 직무에 만족하고, 정서적으로 긍정적 상태를 보일 수 있도록 이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도 먼저 그 기관(요양병원)의 실질적인 업무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9].
다른 선행연구[18]에서도 의료기관인증제의 목적인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직원들에 대한 처우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를 위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질적으로 잘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증제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때 훨씬 더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3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은 2018년 12월 31일까지 화장실을 갖춘 격리실을 구비해야 하는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이 발의되었다. 따라서 향후 조사에서는 좀 더 개선된 상황으로 나타날 것이라 생각되고 이는 간호사들의 업무 효율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간호학생 증원이나 비효율적인 유휴간호사 활용과 같은 대책보다는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근무환경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러한 요양병원의 근무환경에 대해 간호사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질적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부 요양병원 간호사들을 편의 표출하여 진행한 것이므로 일반화의 한계가 있어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반복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요양병원의 근무환경에 대해 간호사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질적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부 요양병원 간호사들을 편의 표출하여 진행한 것이므로 일반화의 한계가 있어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반복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의 인증제는 무엇인가?
자료수집 이후로 1주기 인증평가는 끝나고, 2017년부터 요양병원에 대한 2주기 평가인증이 시작되었다. 의료기관의 인증제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이 환자안전관리와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도록 유도하는 인증 제도이다. 요양병원의 의무 인증제 역시 요양병원의 양적 팽창으로 인한 요양서비스 질 저하가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환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서 실시되고 있다.
요양병원이나 지방병원에서 간호조무사가 필요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지방에서는 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 인력을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는 간호인력들이 졸업하면 대부분 서울이나 대도시, 공공기관으로 가길 원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간호사보다는 간호조무사로 대체하는 것이 현실임을 무시할 수는 없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업무적 가장 큰 고충은 무엇인가?
하지만 환자보호자와 같은 일반 국민들은 간호조무사가 간호사로부터 위임받아 하는 간호업무 일부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22]. 또한 요양병원 간호사들은 본인의 업무에서 윤리적 딜레마를 느끼는 경우로 적절한 간호인력의 부족을 꼽았다[9]. 이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이직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참고문헌 (30)
Hospital Nurses Association. "Direction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among nurses", The Korean Nurse, Vol.263, pp.43-47, 2017.
Y. J. Lee, "Utilization of medical assistance patients in nursing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7, No.5, pp.366-375, 2017. DOI: https://dx.doi.org/10.5392/JKCA.2017.17.05.366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medical aids in 2017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cited 2018 Oct 3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 brdBltNo 9694 (accessed Nov. 27, 2018)
J. M. Chae, H. J. Song,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decline in activity of daily living among elderly in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1, No.3, pp.101-110, 2015.
G. S. Jeong, "Meeting for head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Nurse News, p1, 2015.
S. E. Park, E. Y. Yeom, "Experience of the role conflic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6, No.7, pp.368-381, 2016. DOI: https://dx.doi.org/10.5392/JKCA.2016.16.07.368
S. Nightingale, H. Spiby, K. Sheen, P. Slade,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health care professionals on caring behaviour towards patients in clinical and long-term care settings: Findings from and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80, pp.106-117, 2018.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8.01.006
D. H. Kim,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Processing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1, pp.83-94, 2016.
E. Y. Choi,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4, No.1, pp.153-163, 2018. DOI: http://dx.doi.org/10.17703/JCCT.2018.4.1.153
M. S. Kweon, H. S. Jo, "Influence of recognition for health care accreditation on patient safety managing activities of nursing staffs in geriatr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8, No.1, pp.15-26, 2018.
J. A. Kim, Y. S. Kang,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 of nurses working in long 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6, pp.240-251,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6.240
H. K. Kang, E. S. Lee,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long-term care hospitals' nursing assista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10, pp.194-205,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10.194
Y, Kim, K. H. Han, "Longitudinal associations of nursing staff turnover with patient outcom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in press 2018. DOI: https://doi.org/10.1111/jonm.12576
Y. Saito, A. Igarashi, M. Noguchi-Watanabe, Y. Takai, N. Yamamoto-Mitani, "Work valu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burnout/work engagement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in press, 2018. DOI: https://doi.org/10.1111/jonm.12550
S. J. Park, There are 30% more oriental medicine hospital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in Gwangju, Jeonnam than national average. Jeonnamilbo [cited 2016 Aug 18], Available From: https://jnilbo.com/2016/08/18/ 20160818000000504300190 (accessedNov27,2018)
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 Hospitals, Cope with aged society [Internet]. Seoul: 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 Hospitals [cited 2017 May 16]. Available From : http://www.kagh.co.kr/info/info04_1.html?jb_code50&j b_idx8680&search_key&search_keyword&page&de p1&dep2 (accessedNov16,2018)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Korean people's perception on hospital accreditation, 2017", 2017.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Y. H. Seo, K. Y. Kim, M. S. Kim, "Change in patient safety, quality of medical care, organization culture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for convalescent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9, pp.391-401,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9.391
H. J. Joo, Strengthening criteria of ward and intentive care unit. Korean Nurses Association [cited 2016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nursenews.co.kr/main/ ArticleDetailView.asp?sSection62&idx20518 (accessedNov1,2018)
S. M. Kim, S. H. Jeong, M. H. Lee, H. K. Kim, "Importance, performance and rates of nurse perform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3, No.4, pp.359-372, 2017.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4.359
E. J. Jang, S. H. Kim, "Delegation of nursin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Vol.19, No.2, pp.101-112, 2017.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7.19.2.101
M. H. Cho, K. H. Kim, "Perceptions of adequacy and job performance of nurse assistant nursing jobs according to registered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geriatric hospitals, and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2, No.4, pp.384-395, 2016.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4.384
S. Y. Pak,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ing workforce supply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Vol.6, No.1, pp.31-54, 2018. DOI: https://doi.org/10.14729/convertging.k.2018.6.1.31
Y. S. Kim, K. H. Han, "Longitudinal associations of nursing staff turnover with patient outcom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in press 2018. DOI: https://doi.org/10.1111/jonm.12576
E. J. Jeon, G. J. Lee, "A study on choice motives and job satisfaction about nurses who changed jobs to public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6, NO.1, pp.55-64, 2017.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7.26.1.55
E. P. Park, Korea, income is 3/4 level of OECD average wage [Internet]. Seoul: E-Today[cited 2017 Aug 16], Available From: http://www.etoday.co.kr/ news/section/newsview.php?idxno1527597(accessed Nov 1, 2018)
H. J. Bae, J. H. Kim, "Impact of increasing an enrollment quota in nursing schools on nursing staffing level in loc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6, pp.3301-3316, 2017.
J. H. Lee, J. S. Park, "End of life care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in geriatric hospitals nurses affect burn 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6, pp.449-458.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6.44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