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카페에서의 의사소통 능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s in Cafe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3, 2019년, pp.157 - 165  

이태수 (전남대학교 특수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가상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직업교육에 있어 카페에서의 고객 대응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4개교의 고등부에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대상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바리스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 중재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실험은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일주일에 5회씩 4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각 수업은 50분씩 진행되었다. 의사소통 능력과 수업태도에 관하여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중재를 받은 통제집단보다 카페에서 일을 하는데 있어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고, 수업 태도도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가상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s in cafe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o this,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laced an experime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는 만 2세 6개월부터 16세를 대상으로 수용어휘능력과 표현어휘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언어검사 도구이다. 이 검사는 어휘 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와 어휘 발달연령을 제공하여 생활 연령대의 학생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어휘 발달 수준을 제시한다. 검사는 특수교육 경력 7년 이상이면서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REVT 검사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에게 바리스타 업무를 수행할때 해야만 하는 의사소통 내용을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지도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연구 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반 중재프로그램이 카페에서 지적장애 학생이 바리스타로 활동하는데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을 지도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효과 분석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리스타 교육이 지적장애인의 직업교육으로 환영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라스타가 지적장애인의 직업교육으로 환영받는 이유는 비교적 단순한 업무로 구성된 반복적인 패턴이 있는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자동 화되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만족스러운 품질의 커피를 만들 수 있다. 특히 다른 직종에 비하여 단순하고 복잡하지 않는 단계 및 절차에 따라 기기를 조작할 수 있고,, 정확한 계량에 따른 맛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반복 연습을 통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업종에 비하여 적은 비용으로 창업을 할 수 있고, 부모와 함께 일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가상현실 기법이란 무엇인가? 가상현실 기법은 특정한 상황이나 환경을 사용자가 마치 실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게 구현한 기법이다[1]. 장애 학생에게 있어 가상현실 기법은 실제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사회적 상호작용을 훈련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애 학생의 학습동기와 주의집중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장애학생에 대한 실제적 체험에 근거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근본적 이유는 무엇인가? 장애학생에 대한 실제적 체험에 근거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장애에 대한 낮은 인식 수준과 장애인의 안전 문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 의사소통의 한계, 그리고 문제행동의 발생 여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부담을 느끼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회사나 공장 등 다양한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람들 입장에서 보았을 때 사업체 운영의 위험 요소이자 부담으로 인식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 L. M. Camacho, (1998). Virtual reality, a new tool for a new educational paradigm. Educational Media International, .35(4), 226-271, 

  2. M. J. Smith, E. J. Ginger, K. Wright, M. A. Wright, J. L. Taylor, L. B. Humm, D. E. Olsen, M. D. Bell, & M. F. Fleming. (2014). Virtual reality job interview training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4, 2450-2463. 

  3. F. Ke, T. Im, X. Xue, X. Xu, N. Kim, & S. Lee. (2015). Experience of adult facilitators in a virtual reality based social interac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8(4) 290-300. 

  4. T. S. Lee & Y. P. Kim. (2017). Developing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virtual reality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1), 342-353. 

  5. H. K, Shin (2004).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eoul: Kyoyookbook. 

  6. B. J. Jeon, H. K. Kim, K. O. Park, J. S. Yoo, J. Y. Jeong, & S. D. Hong. (2013). Theory and practice of korea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oul: Hakjisa. 

  7. M. B. Smith, R. F. Ittenbach, & J. R. Patton. (2002). Mental retardation (6th). NY: Pearson Education. 

  8. H. T. Yang. & J. Y. Park. (2017). A qualitative study on barista job experience of the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focused on the coffee shops located in public offices in gyeonggi-do.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5, 117-149. 

  9. K. Y. Kim, S. C. Kwak, J. Y. Lee. & J. S. Yoon. (2015). The effects of a NCS-based barista training course on improvements in the job competency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7(2), 165-183. 

  10. M. H. Park. & Y. J. Moon. (2013). A study on the current practice and activating management on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 43-60. 

  11. T. S. Lee. (2017). The effect of VR-AR based guiding inquiry intervention on 'solar system and star' in scie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4(2), 265-287. 

  12. Y. R. Jeong. (2018). The effects of VR-based script interve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contextual speak & class attitude. Maste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3. S. M. Lee. (2016). The development of social orientation training program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based on HMD and motion recognition.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14. J. W. Kim, S. J. Park, G. Y. Min, & K. M. Lee (2017). virtual reality based situation immersive english dialogue learning system.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245-251. 

  15. M. J. Kim (2015). Research trends in rehabilitation program for disabled apply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381-391. 

  16. J. S. Kwon (2015). Effects of computer based virtual reality program on clinical rehabilitation in Korea: a meta-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293-304. 

  17. P. J. Standen, & D. J. Brown. Virtual reality and its role in removing the barriers that turn cognitive impairment into intellectual disability. Virtual Reality, 10, 241-252. 

  18. P. Mitchell, S. Parsons, & A. Leonard. (2007). Using virtual environments for teaching social understanding to 6 adolesc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7, 589-600. 

  19. M. J. Smith, E. J. Ginger, K. Wright, M. A. Wright, J. L. Taylor, L. B. Humm, D. E. Olsen, M. D. Bell, & M. F. Fleming (2014). Virtual reality job interview training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44, 2450-2463. 

  20. N. E. Kim, Y. L. Kim, S. C. Moon, D. H. Lee, H. J. Lim, E. K. Jang, J. E. Hung, & J. H. Kang (2018). The effect of dynamic balance on cyber motion sickness of full immersion virtual realit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0), 131-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