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Staff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1, 2019년, pp.293 - 312  

강봉숙 (대구 다사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참여율이 날로 저조해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평가의 변화 추이와 평가 참여 인력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지표 변화 추이 등을 문헌조사로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전국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은 09년에 22.2%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17년 7.2%까지 낮아졌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양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 인식은 2.84점, 질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는 2.97점으로 조사되었다. '연간 운영 계획 수립'에 대한 평가지표 타당도 인식 평균은 3.90점으로 가장 높게, '지역사회 봉사'는 2.27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평가 미참여 이유에 '학사 업무 처리가 바빠서'의 평균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해 낮은 인식이 조사된 바, 평가지표 및 참여 방법 등에 대한 개선책을 모색하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정책 마련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더불어 평가 운영주체는 평가의 결과를 다시 학교도서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of school library operation whose participation rate is getting lower. We conducte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ng evaluation of school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search. In doing so, questionnaire method was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평가지표 간 중첩된 항목에 대한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이에 안정적 학교도서관 운영과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제고는 호혜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인식에 근거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추이와 현황을 살펴보고, 평가지표 및 운영평가 참여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는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선 근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학교도서관 평가 뿐 아니라 학교도서관 운영 요소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가늠해 보게 해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개선 및 재교육 토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는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가 주체가 되어 교육부, 국방부, 법무부의 협조를 통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총괄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는 단위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환류함으로 우수도서관 발굴 및 국민에게 양질의 문화생활 여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도서관 운영평가는 전수를 대상으로 참여가 이루어져 평가에 대한 현장의 관심이 높아 도서관 운영과 평가가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
  • 그러나 그 참여율은 하향 곡선을 이루고 있고, 현장에서의 의미도 퇴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평가지표와 참여 추이와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운영 평가 개선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해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는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는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가 주체가 되어 교육부, 국방부, 법무부의 협조를 통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총괄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는 단위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환류함으로 우수도서관 발굴 및 국민에게 양질의 문화생활 여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 평가에 포함된 학교도서관 평가와 비교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는 어떠해야 한다고 언급되는가? 학교 평가에 포함된 학교도서관 평가에 비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는 그 평가 항목과 지표가 매우 세밀하고 전문적으로 구성되어 개별 학교도서관이 보다 심층적으로 학교도서관 운영 상황에 대해 점검해볼 수 있도록 할 학교도서관 장학의 가장 효율적 도구이다. 그렇기에 학교도서관 운영평가가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보다 적절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고민이 필요하다.
시․도교육청에서 실시하는 학교 평가는 기준이 어떻게 바뀌었는가? 이는 사실상 단위 학교도서관 운영 및 교육을 실질적으로 장학하고 평가할 수 있는 체계의 미비를 의미한다. 시․도교육청에서 실시하는 학교 평가에는 학교도서관 운영이나 독서 교육 등을 점검하는 기본적 지표가 포함되어 있으나 2018학년도부터 학교 평가도 의무참여에서 자율로 변경되었다. 이에 학교도서관 운영 상황을 기초적으로 점검하여 환류 작용을 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의 기본적 관리․감독 도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wak, Chul-Wan and Younghee Noh. 2009. "A Study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183-196. 

  2. Ministry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online]. . [cited 2019. 2. 20]. 

  3. Kim, Bo-il.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Small Library Ope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1): 5-34. 

  4. 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5-26. 

  5. Nam, Young-Joon and Kyeng-Ae Jung. 2010. "A Study on the New Evaluation Index of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99-131. 

  6. Noh, Younghee. 2017. "Research on Development of Social Value Evaluation Indicators for Public Libraries."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2): 181-214. 

  7. Noh, Younghee.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Measuring Educational Value of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4): 5-34. 

  8. Noh, Younghee. 2017.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 Development of Cultural Value of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3): 177-205. 

  9.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online]. . [cited 2019. 2. 20]. 

  10. Byun, Woo-Yeoul, Byeong-Ki Lee and Sung-Jun Kim. 2011. "A Study on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51-73. 

  11. Cha, Mikyeong and Soon Hee Pyo. 2015. "A Study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Evaluation on Public Library Management During 2010-2013."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2): 241-26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