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 기술교사를 위한 핵심 역량의 추출과 교육 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of the Core Competencies for Low-Carrier Technology Teachers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4 no.1, 2019년, pp.209 - 231  

최유현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의 요인을 추출하고, 추출된 역량요인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교사 재교육 과정에서의 핵심역량의 적용의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고찰, 전문가 타당화, 교육요구도 분석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고, 기술 1급 정교사 연수에 참여한 기술교사가 대상이며, 92매가 최종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교육요구도, 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교육 요구도가 높은 핵심역량 요인은 보리치 공식에 의한 산출점수와 IPA 분석에 의하여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최우선적으로 도전, 기획능력, 의사결정능력, 이 미래지향, 지식재산 활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 융합적 사고 등의 29개 요인이 선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을 기초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초임 기술교사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새로운 재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핵심역량을 방법론적으로 반영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향후 연구 과제로는 초임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및 교재개발연구, 그리고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질적 양적 실험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factors of core competency required for technology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extracted core competency factors and to 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education. This study wa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술교사의 핵심역량 요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와 각 기관에서 제시한 핵심역량 분석과 기술교사의 핵심역량을 탐색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문헌 분석을 통해 기술교사를 위한 핵심 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를 추출하였고, 추출한 요소 중에서 기술 교육 분야의 교육학 박사학위를 소지한 11명의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하고 요인이 수정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서 사용될 변수들이 설문지에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와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자의 지각된 자료가 신뢰성 있게 수집되었는가를 검토하기 위해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Cronbach a는 범주화한 요인별로 .
  • 이 연구에서는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보리치 공식에 의한 산출점수와 IPA 분석에 의하여 교육 요구도를 진단하고 해석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준거(우선순위)를 통하여 교육요구가 높은 초임 기술교사의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의 요인을 추출하고, 추출된 역량 요인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교사 재교육 과정에서의 핵심역량의 적용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기술 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의 요인을 추출하고, 추출된 역량 요인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교사 재교육 과정에서의 핵심역량의 적용의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기술 교사의 핵심역량 계발역량 34개, 사고 역량 13개, 마인드 역량 18개로 총 66개 역량에 대하여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받았다. 전문가들에게 각 역량 요소에 따라 기술교사의 역량으로 타당성 정도(대체로 타당함, 대체로 타당하지 않음)를 체크하게 하고, 분류 기준의 모호함으로 이동이 필요한 요소(이동 대상도 제시), 그리고 추가로 넣어야 할 역량 요소를 제안해 달라고 하였다.
  • 그리고 기존의 프로그램에서 핵심역량을 반영하는 전략은 강의 실러버스를 혁신적으로 새로운 주제, 미래 지향적 주제를 적극 포함시키는 전략이다. 즉 융합 문제, 지식재산, 미래 기술과 예측, 지속가능 발전 기술과 환경, 기술 문화와 가치 등의 도입하는 주제를 다루도록 기획한다. 그리고 방법론적으로 교사 참여와 실천 중신의 조사, 토론, 협동학습, 융합 문제해결, 디자인 싱킹, 프로젝트, 미래예측 전략, 발표와 전시 등의 교수-학습 기법을 과감히 적용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술교사의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이러한 정의에 기초하여 기술교사의 핵심역량은 ‘기술 교사가 교수 학습의 맥락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에 성공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갖추어야 할 마인드, 소통, 계발, 사고 역량’으로 정의한다. 이 연구에서의 기술교사의 핵심역량은 기술교사에게 필요한 모든 역량이 아니라 학문적 기반의 전문적 지식을 제외한 핵심 역량으로 개념화한다.
기술·가정 교과, 기술 분야의 교과 역량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새 교육과정 개발의 기조로 내세우면서 ‘핵심역량’을 개정의 주요 방향으로 잡아 총론부터 각론까지 핵심역량-교과역량을 표방하고 명시하였다(교육부, 2015a). 한편 기술·가정 교과, 기술 분야는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기술적 시스템 설계능력, 기술적 활용능력을 교과 역량으로 규정하였다(교육부, 2015b).
기술교사의 전문성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기술교사의 전문성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학자마다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겠지만, 참(Authentic) 기술교사의 역량 전문성을 창조적 역량(Creativity), 기술교과 교육의 전문가적 역량(Professional), 협력적 교육 역량(Collaboration), 전문성 계발을 위한 기술교사 연구 커뮤니티(Community), 기술 및 공학에 대한 학문적 능력(Scholar), 기술교육을 기획, 설계, 관리하는 역량(Manager)으로 정리될 수 있다(최유현, 2017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교육부(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2. 교육부(2015b).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3. 김은영(2018). OECD 교육 2030 : 미래 교육과 역량. 서울교육, 231호 여름호, http://webzine-serii.re.kr/ 

  4. 로베르타 골린코프.캐시 허시-파섹(김선아역) (2018). 최고의 교육(Becoming Brilliant). 예문카이브. 

  5. 박기문(2014).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233-256. 

  6. 박기문, 최유현, 외(2014). 융합인재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3), 214-234. 

  7.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8. 윤정일 외(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9. 윤종혁, 김은영, 최수진, 김경자, 황규호 (2016). OECD 교육 2030: 미래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10. 이광우 외(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연구보고 RRC 2008-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이은상. (2015). 기술 교사의 공학 교수역량 모델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이종범 외(2010). 차세대영재기업인 핵심역량 평가도구 및 매뉴얼 개발. 청주교육대학교, 한국발명진흥회. 

  13. 임유나(2016). 역량기반 수업 구현을 위한 지원 사례 탐색: 뉴질랜드 국가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32(3), 59-88. 

  14. 임유나(2017). 역량기반 교육목표 개발과 분석을 위한 Hauenstein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재조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771-797. 

  15. 최유현(2017a). 기술교육론 I: 교육학적 탐구와 담론. 형설출판사. 

  16. 최유현(2017b). 기술교육론 II: 학습학적 이론과 실천: 형설출판사. 

  17. 최유현 외(2012).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3), 63-87. 

  18. 최유현, 이동원, 임윤진, 이건환. (2014). 발명 연수 참여 교사의 발명교사 기본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인식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4), 163-185. 

  19. 최유현. (2016). 예비 기술교사들의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 56-76. 

  20.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 up studies. Th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21. Hoffman, T. (1999). The meanings of competency.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3(6), 275-285. 

  22. Martilla JA & James J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23. Moore, D.R., Cheng, M.I., Dainty, A.R.F. (2002) Competence, competency and competencies: performance assessment in organizations. Work Study, 51(6), 314-319. 

  24.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04). Engineer Of 2020 (Visions Of Engineering In The New Century). Washington, D.C: Nat'l Academy Press. 

  25.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Summary of the final report. OECD Press. 

  26.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27. Rychen, D.(2003). Investing in competencies-But which competencies and for what? A contribution to the ANCLI/AEA conference on assessment challenges for democratic society (conference paper). Conference in Lyon, November 2003. 

  28.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10 skills you need to thriv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trieved from https://www.weforum.org/agenda/2016/01/the-10-skillsyou-need-to-thrive-in-the-fourth-industrial-revolu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