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이론에 근거한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갈등해결 전략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between Rural Residents and Urban-to-Rural Migrant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4 no.2, 2019년, pp.151 - 163  

김태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박상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귀농 귀촌 인구가 증가하면서 농촌원주민과 귀농 귀촌인 간 갈등문제가 농촌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 미치는 후유증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성공적인 농촌정착을 위해서는 이러한 갈등해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심도 깊은 연구가 부족하고, 농촌원주민보다는 귀농 귀촌인에 초점을 둔 연구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에서 일어나고 있는 갈등요인을 두 주체 간 입장에서 도출하고, 갈등요인에 따른 해결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게임이론을 적용하여 갈등해결 전략차이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기 위해 기존 선행연구에서의 내용을 토대로 갈등요인을 도출하고, 갈등요인에 따른 해결전략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xelrod(2009)가 개최한 '컴퓨터 죄수의 딜레마 대회'에서 사용되었던 대응전략 중에서 5가지 전략을 선택해 농촌원주민과 귀농 귀촌인은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남지역 12곳을 지정하여 직접 기입방식으로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갈등해결 대응전략을 도출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22.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각 갈등해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원주민 갈등유발은 낮았다. 또한 각 갈등원인 중에서 '도시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원주민'에 대한 갈등유발요인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귀농귀촌인 갈등유발원인은 원주민 갈등유발원인보다 갈등 수준이 높았다. 각 내용 중에서는 '마을 행사에 참여하지 않는 태도'가 가장 강한 갈등원인이었다. 원주민 갈등유발원인에 대해서는 갈등해결전략 중 올씨(All C, 웬만하면 협조한다)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했고, 귀농귀촌인 갈등유발원인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경향에서 다우닝(Downing, 처음에는 협조하지 않고 상대방이 협조하면 협조하고 협조하지 않으면 협조하지 않는다)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그 다음으로 팃포탯(tit for tat, 먼저 협조하고, 상대방이 협조하면 협조하고 협조하지 않으면 협조하지 않는다)전략, 올씨(all c)전략 등의 순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각 내용별로 살펴보면 동일한 유형의 전략을 이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원인에 따라 전략이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주민의 갈등유발원인에 대한 갈등해결전략은 거의 유사한 방법으로 전략을 수행하는 반면, 귀농 귀촌인의 갈등유발원인은 그 원인의 성격에 따라 갈등해결전략을 달리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농촌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요인을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두 주체 간 모두의 입장에서 요인을 도출 하고 이에 따라 갈등이 발생할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갈등을 풀어 가는지 해결방법 차이에 대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특히 선행연구고찰과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요인 도출을 통해 게임이론에 근거하여 해결전략차이에 대한 선택을 알아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성공적인 농촌정착은 이해 관계자 간 힘겨루기가 아니라 신사적으로 상대방에게 협력을 이끌어 내어 상호협력을 통해서 가능하다. 다양한 갈등 상황에서 상호협력이 배반보다 이익이 더 많다.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고 소통하는 비결은 상대방을 자기의 이기심을 채우기 위해 이용하거나 이익을 위해 배척하는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에게서 함께 할 수 있도록 협력을 이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as the population of ear and aged villages has increased,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rural residents and urban-to-rural migrants has been widespread. For successful rural community, such conflict resolu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However, if we look at previou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갈등이 갖는 순기능으로는 개인이나 집단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바람직한 대안을 발견하고 인간 생활이 편리해지고 여가와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기회도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조직 내에서 갈등을 통해 갈등을 관리하고 방지할 수 있는 방법과 방안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사회를 위해 필요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사회갈등을 통해 깨달을 수 있다.
  • 이에 따라 죄수의 딜레마 게임이론을 적용한 컴퓨터 죄수의 딜레마대회에서 우승한 대응전략이 현재농촌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관리에 대해 시사 하는바가 크다. 본 연구는 게임이론을 통하여 분석한 대응전략이 농촌갈등문제 해결전략으로서 방향성을 제시 할 수 있다. 하지만 게임이론전략이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이해관계자 간 갈등해결에 얼마만큼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인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농촌 원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갈등문제 분석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기 위해 기존선행연구자료 내용을 토대로 갈등 양상을 살펴보고 갈등요인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갈등에 따른 요인도출과 해결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xelrod(2009)가 개최한 ‘컴퓨터 죄수의 딜레마 대회’에서 사용되었던 전략 중에서 와 같이 5가지를 선택하여 농촌원주민들과 귀농·귀촌인 들의 입장에서 선택 가능한 대응전략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갈등요인과 갈등에 따른 해결선택 차이를 알아보고자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채택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갈등요인을 도출하고 게임이론에 근거하여 갈등해결전략차이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갈등을 기반으로 두 주체 간 입장에서 갈등요인을 도출하고 각각의 갈등에 따른 해결방안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갈등문제와 그에 따른 갈등해결을 위한 대응전략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활용한 ‘죄수의 딜레마 컴퓨터대회’에서 사용한 5가지 전략 중에서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들은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원주민과 귀농·귀촌인 간 갈등문제와 그에 따른 갈등해결을 위한 대응전략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상대방이 협력적인 한 먼저 배신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갈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둘째, 먼저 배반하지마라. 이기적인 생각은 처음에는 이득이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상대방에게 보복을 당하게 되고 밀리게 된다.
  • 먼저 배신하게 되면 상대방에게 불신을 주게 되고 다음에 협력하더라도 의심이라는 위험요소를 주게 된다. 셋째, 협력이든 배반이든 그대로 갚아라. 먼저 협력하고 상대방이 협력하면 끝까지 협력하고 상대방의 배반에 대해서는 맞대응하여 보복함으로써 상대방으로 하여금 배반하면 배반을 당한다는 것을 알게 하여 배반을 하지 않게 한다.
  • 팃포탯 전략의 성공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질투하지 마라. 팃포탯이 우승한 것은 상대방을 배신해서가 아니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대방으로 부터 협력을 이끌어 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 인구의 증가가 주는 긍정적인 효과는? 최근 우리나라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함께 저성장에 따른 일자리감소, 고용불안, 정부의 귀농지원 정책이 맞물려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농촌으로 이동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 인구의 증가는 농촌 환경변화는 물론 복잡한 도시인구 분산 효과와 함께 농촌 지역의 다양한 소득원 개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박대식·김경인, 2017; 최윤지 외, 2012). 특히 6차 산업분야는 도시에서 사회생활을 귀농귀촌자의 역량이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준다(김성규 외, 2016; 이지흠·하규수, 2017).
농촌으로 이동하는 인구가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함께 저성장에 따른 일자리감소, 고용불안, 정부의 귀농지원 정책이 맞물려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농촌으로 이동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 인구의 증가는 농촌 환경변화는 물론 복잡한 도시인구 분산 효과와 함께 농촌 지역의 다양한 소득원 개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박대식·김경인, 2017; 최윤지 외, 2012).
귀농인과 원주민과의 마찰이 발생하는 갈등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9%가 원주민과의 마찰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박은경, 2008). 원주민과 귀농·귀촌인의 갈등원인은 원주민의 선입견과 텃세, 재산권 침해, 농촌을 잘 알지 못하여 생기는 갈등 등이 있다(박시현·최용욱, 2014; 유영민 외, 2017). 또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7)의 연구에 따르면, 귀농·귀촌인과 원주민 간 갈등발생 이유는 농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귀농·귀촌인, 마을 일이나 행사에 참석하지 않는 귀농·귀촌인, 집이나 토지 같은 재산권침해, 농촌에 와서도 도시생활을 고집하는 귀농·귀촌인의 태도 등으로 갈등이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ce, D. G.(2010). Economics, Ethics and the Dilemma in the Prisoner's Dilemmas, The American Economist, 55(1), 49-57. 

  2. Axelrod, R.(2009). Cooperation The Evolution of Operation, Seoul: Sys Theme. 

  3. Cha, G. J.(2010). Urban-to-rural Migration Activation Plan in the Field, Agriculture Outlook 201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507-526. 

  4. Choi, Y. J., Hang, J. I., Lee, S. Y., & Ahn, O. S.(2012). The art of war of Urban-to-rural Migr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5. Chun, T. Y.(2001).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Sunhak Publisher. 

  6. Davis, M. D.(1995). Game Theory, Seoul: Panther Book. 

  7. Oh, S. H.(2013). A Discussion on the Moving In.settling down Circumstances of the Families Returning to the Countryside for Farming or else and how to Support Them, Doctoral Thesis of General Graduate School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8. Kim, C. G., Lee, H. J., Kim, K. H., & Park, M. S.(2011). A Study on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Rural and Adult Popul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Rural Societ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esearch Paper. 

  9. Kim, J. S.(2009). What can local governments do to help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6(4), 533-556. 

  10. Kim, Y. K.(2011). Understanding and Conflict Management in Community Joint Projects, Haenam Publisher 

  11. Kim, S. G., Park, S. H., Park, J. S., Seol, B. M., & Son, E. I.(2016). Development of Index about the Sixth Industrial Entrepreneurship,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3), 63-76. 

  12. Kim, S. K.(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 Focused on Case of Gyeongsangbuk Province, Doctoral Thesis of General Graduate School in Daegu University. 

  1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17). Reasons for the Conflict Between Indigenous Peoples and Indigenous Peoples. 

  14. Lee, J. H., & Ha, K. S.(2017).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of Returning to Farming in Farm-returning and Rural-returning: With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actor,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5), 39-53. 

  15. Lee, S. I., Ahn, M. J., & Kim, Y. G.(2016). The Perception Gap about Conflict Factors and Solutions by Experience of Returning to Farm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2(2), 77-87. 

  16. Ma, S. J., Nam, K. C., & Choi, Y. J.(2016). Urban-to-Rural Migrants' Intention of Returning to Urban Area and Its Related Variables, Rural Society, 26(1), 37-63. 

  17. Ma, S. J., Park, D. S., Park, S. H., Choi, Y. J., Choi, Y, U., & Nam, K. C.(2015). The Long-term Follow-up Survey on Settlement Status of Urban-to-rural Migration - the First Year, KREI Report, 1-106. 

  18. Park, D. S.(2016).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Rural Residents' Attitude toward Urban-to-Rural Migrants,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26(1), 7-35. 

  19. Park, D. S., & Kim, K. I.(2017).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Urban-to-rural Migration on the Rural Community: Focused on the Recognition of Rural Resi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8(4), 653-667. 

  20. Park, E. G.(2008).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Immigrants' Migration: Focusing on the Earners after Retirement in the Yeongwol District, Master Thesis of Industrial Graduate School in University of Seoul. 

  21. Park, K. S., & Chung, L. H.(2012). Preferring Areas and Determinants of Urban-to-Rural Migr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Research Society, 10(2), 91-105 

  22. Park, J. Y., Kim, T. W., & Park, D. K.(2015). Trends and Prospects of Agriculture and Farm House Economy in 2015,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port, 3-32 

  23. Park, K. J., Yoon, S. D., & Kang, K. H.(2006). Factors Effecting on the Rural Life Satisfaction of Returners to the Farm After Retir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4), 63-76. 

  24. Park, M. H., Oh, I. W., & Lim, J. E.(2012). Supporting Strategy for City People's Return to Rural Community, KERI Report, 1-189. 

  25. Park, S. H., & Choi, Y. K.(2014). Factors for City People's Return to Rural Areas and its Impacts on Korean Rural Society and Economy, KERI Report, 1-159. 

  26. Pondy, L. R.(1967). Organizational Conflict, Concepts and Models, Administration Science Quarterly, 12, 296-320. 

  27. Suh, G. S. & Byun, J. M.(2000). Development of Long and Shor-run Educational Programs for U-turn Farmer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7(1), 137-153. 

  28. Yoo, J. H. & Lee, D. R.(2015).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akyoungsa Publisher 

  29. Yoo, Y. M., Kim, Y. G., & An, M. J.(2017). Analysis of Conflict Factors and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Conflict between Rural Residents and Urban-to-Rural Migrants: The Case of Rural Residents of Seocheon-gun, Chuncheongnam-do,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27(2), 93-136. 

  30. Yoon, S. D., Choi, J. S., Ma, S. J., & Nam, K. C.(2017). The Proportion and Characteristics of Outmigrants among Urban-Rural Migrants in Korea,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27(1), 53-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