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대학 연구실 안전을 위한 일상점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델파이 조사를 기반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aily Inspection for the Safety of University Laboratory - Based on Delphi surney -원문보기
본 연구는 대학 연구실 사고 예방을 위해서 실험 전 이루어지는 형식적인 일상점검을 보다 실효성 있는 일상점검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중인 일상점검표와 선행연구자료를 재구성하여,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실 정리정돈 등 일반안전 4개, 기계 및 공구 조임부 이상여부 등 기계기구안전 3개, 전기분전반 주변 적재금지 등 전기안전 3개, 유해인자취급 및 관리대장 비치 등 화공안전 6개, 소화기 점검 등 소방안전 3개, 가스용기 점점 등 가스안전 5개, 손 소독기 관리상태 등 생물안전 1개, 기타 1개, 총 26개 항목을 일상점검표로 제시하였다.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실질적인 일상점검을 위해서는 쉽고 간소화 된 일상점검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연구실 사고 예방을 위해서 실험 전 이루어지는 형식적인 일상점검을 보다 실효성 있는 일상점검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중인 일상점검표와 선행연구자료를 재구성하여,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실 정리정돈 등 일반안전 4개, 기계 및 공구 조임부 이상여부 등 기계기구안전 3개, 전기분전반 주변 적재금지 등 전기안전 3개, 유해인자취급 및 관리대장 비치 등 화공안전 6개, 소화기 점검 등 소방안전 3개, 가스용기 점점 등 가스안전 5개, 손 소독기 관리상태 등 생물안전 1개, 기타 1개, 총 26개 항목을 일상점검표로 제시하였다.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실질적인 일상점검을 위해서는 쉽고 간소화 된 일상점검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re effective daily checklist than the formal routine check before the experiment to prevent accidents in the university laboratory. To do this, we reconstructed the current daily checklist and previous research data and conducted a second Delphi survey.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re effective daily checklist than the formal routine check before the experiment to prevent accidents in the university laboratory. To do this, we reconstructed the current daily checklist and previous research data and conducted a second Delphi survey. As a result, there were four general safeties such as arranging the laboratory, three mechanical safeties such as abnormal condition of machine and tool tightening parts, three electric safeties such as prohibition of loading around the electric distribution panel, six chemical safeties such as handling and managing harmful factors, three items of fire safety such as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five cases of gas safety gas container inspection, one item of biological safety such as the state of hand sterilizer management and one other item, which were provided in the daily checklist as twenty six categories in total.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related experts, it is necessary to have an easy and simplified daily checklist for actual daily check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re effective daily checklist than the formal routine check before the experiment to prevent accidents in the university laboratory. To do this, we reconstructed the current daily checklist and previous research data and conducted a second Delphi survey. As a result, there were four general safeties such as arranging the laboratory, three mechanical safeties such as abnormal condition of machine and tool tightening parts, three electric safeties such as prohibition of loading around the electric distribution panel, six chemical safeties such as handling and managing harmful factors, three items of fire safety such as fire extinguisher inspection, five cases of gas safety gas container inspection, one item of biological safety such as the state of hand sterilizer management and one other item, which were provided in the daily checklist as twenty six categories in total.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related experts, it is necessary to have an easy and simplified daily checklist for actual daily checkup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점검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선행된 연구 자료와 연구실 안전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선된 일상점검표를 제시하여 실험실 사고 예방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일상점검은 형식이 아닌 실질적인 점검으로 연구실 사고 예방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학 연구실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험 전 일상점검이 매우 중요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깊이 있게 논의되지 않았던 연구실 일상점검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연구실 안전을 위한 실효성 있는 일상점검 구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자료를 기초로 초안 모형을 작성하고, 대학 연구실 관련 전문가들의 설문과 분석을 통하여 일상점검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은 5단계로, 1단계는 대학 연구실 안전 관련 현황을 교육부, 미래부, 언론 및 선행논문에서 일상점검에 추가할 부분을 조사하고, 2단계는 기존 일상점검에 선행 연구된 자료를 추가하여 1차 설문지 작성 및 설문과 분석을 한다.
셋째, 일상점검으로 불량 발견 시 이 부분을 개선하고 실험을 실시하는지는 의문이다. 연구활동종사자가 실시하는 일상점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상점검은 연구실 책임자 입회하에 실시하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일상점검은 실효성 있고 현실에 맞는 일상점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대학 연구실의 특성이나 규모가 고려되지 않았으며, 현행 점검표의 점검 결과에 ‘양호’ 또는 ‘불량’이라는 단편적인 결과로 무엇이 양호, 불량인지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며 이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제안 방법
일상점검표에는 일반안전, 기계기구안전, 전기안전, 화공안전, 소방안전, 가스안전, 생물안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술지·선행논문 등을 통해 구성별 추가로 제시한 항목을 설정하였다.
개선된 일상점검표 도출을 위해 기존 일상점검표에 제시된 것과 선행연구를 통해 얻은 항목을 추가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그동안 깊이 있게 연구되지 않았던 일상점검을 구체적이고 간소화되도록 설정하였다. 일상점검표에는 일반안전, 기계기구안전, 전기안전, 화공안전, 소방안전, 가스안전, 생물안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술지·선행논문 등을 통해 구성별 추가로 제시한 항목을 설정하였다.
일상점검표에는 일반안전, 기계기구안전, 전기안전, 화공안전, 소방안전, 가스안전, 생물안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술지·선행논문 등을 통해 구성별 추가로 제시한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는 대학교 교수, 조교, 실험실 안전관리담당자, 유관기관 전문가 등 35여 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범위는 대학 연구실에서 실험 전 실시하는 일상점검표로 한정하고, 선행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통해, 내용 타당도 비율(CVR : Content Validity Ratio)을 적용하여 CVR 평균값 이상을 중요도로 설정하고 설정 값 이상으로 조사된 사항을 중심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연구실 안전을 위한 실효성 있는 일상점검 구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자료를 기초로 초안 모형을 작성하고, 대학 연구실 관련 전문가들의 설문과 분석을 통하여 일상점검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은 5단계로, 1단계는 대학 연구실 안전 관련 현황을 교육부, 미래부, 언론 및 선행논문에서 일상점검에 추가할 부분을 조사하고, 2단계는 기존 일상점검에 선행 연구된 자료를 추가하여 1차 설문지 작성 및 설문과 분석을 한다. 3단계에서는 1차 설문 분석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2차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한다.
기존의 일상점검표와 선행연구로 작성된 일상점검이 타당한가를 1,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 및 분석 방법으로 개선된 일상점검표를 제시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1차 조사(2018. 11.)와 2차 조사(2019. 01.)는 시행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항목은 일반안전에 스마트폰을 활용한 일일 안전교육 필요성, 실험 전 안전설비 사용 교육 실시(비상샤워기, 세안기 등), 비상연락체계도 게시 여부, 출입구 투시 창 투시 가능 여부(썬팅, 장애물 등)를 추가하고, 기계 기구 안전에는 기계의 사용 가능· 고장 · 수리중 · 사용금지 등 표지판 부착 여부를 추가했고, 전기안전에는 연구실 통로바닥에 전선 또는 이동전선 등의 설치 여부와 조명시설점검(눈부심, 깜빡거림, 고장 등)을 추가하였다. 화공안전에는 연구실 내 환기시설 작동 여부를 추가했으며, 가스안전에 독성가스의 종류별 수량 및 사용 현황 작성 여부 추가와 생물안전에 출입일지(허가받은 자만 실험실 출입 가능) 작성 여부를 추가하였다.
기존 일상점검표에 선행연구자료를 추가하여 [Table3]과 같이 설문지를 작성하고, 연구실 안전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 전문가 6: 유해인자 취급 및 관리대장 MSDS의 배치 후 안내가 필요하다. 1차 조사에서 패널이 제시한 의견과 내용타당도 평균값 이상 항목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수정하여, 2차 델파이용 설문지를 재구성하였으며, 1차 설문에서 변경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1차 분석에서 얻은 자료와 전문가 의견을 제시한 평가항목을 추가하여 2차 설문지를 재구성하고, 대학교 교수 5명, 조교 8명, 실험실 안전관리담당자 17명, 기타 4명으로 총 34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Table5]는 2차 설문지이며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다.
연구실 안전 전문가를 대상으로 1,2차에 걸쳐 설문하고 델파이 분석한 결과 CVR 평균값 이상인 일반안전 4개 항목, 기계기구안전 3개 항목, 전기 안전 3개 항목, 화공안전 6개 항목, 소방안전 3개 항목, 가스안전 5개 항목, 생물안전 1개 항목과 2차 설문에서 전문가가 제시한 ‘기타 특이사항’을 추가하여 개선된 일상점검표를 [Table7]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일상점검 항목은 ‘연구실 정리정돈’ 등 일반안전 4개, ‘기계 및 공구 조임부 이상여부’ 등 기계기구안전 3개, ‘전기분전반 주변 적재금지’ 등 전기안전 3개, ‘유해인자 취급 및 관리대장 비치’ 등 화공안전 6개, ‘소화기 점검’ 등 소방안전 3개, ‘가스용기 점점’ 등 가스안전 5개, ‘손 소독기 관리상태’ 등 생물안전 1개와 기타 ‘특이사항’ 1개로 총 26개 항목을 일상점검표로 제시하였다.
1차 델파이 분석과 같은 방법으로 2차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대학 연구실 일상점검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1차 설문 대상으로 대학교 교수 4명, 조교 10명, 실험실 안전관리담당자 16명, 기타 4명으로 총 34명의 전문가 설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로 [Table4]와 같이 도출하였다.
이론/모형
연구 분석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학계, 정부 기관, 기업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델파이 기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서준혁·배성민(2018)은 Delphi-SW OT 분석을 이용한 제조물책임법 개정에 따른 기업의 대응 전략 수립 연구에서 기존 연구를 통해서 도출한 연구 핵심요인과 세부 실행 방안을 학계, 정부기관, 기업 등의 실험실 안전 전문가들의 독립적인 의견과 직관을 수렴할 수 있는 델파이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성능/효과
(3) 특별안전점검 : 폭발사고ㆍ화재사고 등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실시하는 점검으로서 연구 주체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실시하며, 또한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연구실의 재해 예방과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내용 타당도 비율(CVR : Content Validity Ratio)을 적용했으며, 분석의 내용 타당도의 절대적 기준은 없고, 상수에 의한 내용 타당도 준거에서 ‘0.40∼0.60은 내용 타당도가 있다.
내용타당도 비율(CVR : Content Validity Ratio)을 적용하여 1차 설문을 분석한 자료에서 점검항목의 내용타당도 평균값은 0.65로 나타났으며, 38개의 항목 중에서 ‘연구실 내 흡연과 음식물 섭취 여부’ 등 13개 항목은 내용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실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실질적인 점검을 위해서는 쉽고 간소화된 일상점검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연구실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실질적인 점검을 위해서는 쉽고 간소화된 일상점검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활동종사자가 실시하는 일상점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상점검은 연구실책임자 입회하에 실시하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일반안전 2개 항목, 기계기구안전 3개 항목, 전기안전 2개 항목, 화공안전 6개 항목, 소방안전 3개 항목, 가스안전 5개 항목, 생물안전 1개 항목으로 총 22개 항목이 CVR 평균값 0.41 이상으로 분석되었으며, 결과는 [Table6]과 같다.
후속연구
그러나 대학 연구실의 특성이나 규모가 고려되지 않았으며, 현행 점검표의 점검 결과에 ‘양호’ 또는 ‘불량’이라는 단편적인 결과로 무엇이 양호, 불량인지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며 이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일상점검은 실효성 있고 현실에 맞는 일상점검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적용한 사례가 없어 아쉬운 부분이 있다.
일상점검은 연구실 사고 예방을 위한 기본점검으로 이를 통해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 하며 물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일상점검표를 제시함으로서 실질적인 일상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실의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법률은 언제부터 바뀌었는가?
2005년 정부는 연구실의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법률을 제정하여 대학 연구실의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2006년 4월 1일부터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포함하여 시행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하「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을 연구실안전법이라 한다)
델파이 조사는 어떤 식으로 실시되었는가?
일상점검표에는 일반안전, 기계기구안전, 전기안전, 화공안전, 소방안전, 가스안전, 생물안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술지·선행논문 등을 통해 구성별 추가로 제시한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는 대학교 교수, 조교, 실험실 안전관리담당자, 유관기관 전문가 등 35여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실시하였다.
대학 연구실 안전사고 원인 중 구체적인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권오석(2016)은 대학 연구실 안전사고 원인 중 인적원인부분은 안전의식 저하이며 원인으로는 인력적 문제와 업무의 과중함 등을 지적하고, 개선책으로 안전관리 담당자와 책임자 대상으로 안전의식 및 관리방안 관련 교육이 필요 하다고 보았다. 최은혜(2008)는 대학 연구실의 경우에는 연구실 인원이 부족하거나 누가 점검을 해야 하는지와 어떤한 방법으로 점검을 해야 하는지, 또한 일상점검 자체를 귀찮게 여겨 매일 점검해야 하는 이유로 불편함으로 생략하는 연구실이 많아 실질적인 일상 점검을 하는 연구실이 매우 드물다. 이와 같이 안전점검의 기본인 일상안전점검 자체를 점검하지 않아 다양한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잠재된 위험요소가 많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