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생 회복탄력성(Resilience) 연구의 동향 -융합적 관점
The Trends of the Research on Resilience in Korean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of Convergen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397 - 405  

안은경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회복탄력성 연구의 동향을 융합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2010년 1월부터 2017년 12월 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8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회복탄력성 개념은 6가지 용어로 서로 다르게 정의되어 사용되고 있었고, 양적 연구의 비중(99%)이 매우 높았다. 또한 개인과 대학 차원에서 다양한 보호요인, 변화요인, 위험요인이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이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들의 전공 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향후 연구 시 명료한 용어 정의와 적절한 측정 도구의 선택이 강조되어야 하며 다양한 설계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87 published studies in domestic journals o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and propose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resilience were used in 6 different ways. Second, the numb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생 회복탄력성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통합적 시각에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연구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회복탄력성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난 자아탄력성은 회복탄력성과 유사하면서도 구별되는 개념으로서[13] 개인의 성격유형이나 개인적 성향이며 선천적으로 타고난 고정적인 특성이다[22]. 이와 같이 자아탄력성을 성격의 한 유형으로 정의할 경우, 개인이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가정하지 않으며 각 개인이 유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특정 상황에 잘 적응했다고 가정한다[13]. 반면 회복탄력성은 발달 단계나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대처과정의 다변적이고 역동적인 본질을 내포하고 있으며[23] 강점이나 약점과 같은 개인의 고정된 특성이 아닌 심각한 위험상황이나 스트레스 환경에도 긍정적으로 기능하도록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탄력성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가 많고 힘든 상황을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개인적인 발달과정이다. 회복탄력성에 의해 축정된 성공경험은 간호대학생의 적응능력과 안녕감을 증진시키며[1,4], 회복탄력성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간호직 취업 이후의 적응과 업무수행도 또한 높다[5]. 따라서 회복탄력성은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들의 전공 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간호대학생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간호대학생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은 총 90개로 매우 다양하였고 개인과 대학 차원에서 다뤄지고 있었다. 특히 개인 차원에서는 성격적 특성, 사회성, 인지적 능력 순으로 확인된 변수의 수가 많았다. 성격적 특성에서는 자기효능감, 자아개념, 간호전문직관, 자아존중감 등이 확인되었다. 사회성에서는 정서 및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 등이 확인되었고, 인지적 능력에서는 비판적 사고성향이 가장 많았고, 자기주도학습과 같은 학습관련 변수가 확인되었다. 대학 차원에서는 전공만 족도가 가장 많았고, 학과만족, 학교만족,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확인되었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개념분석을 실시한 국외 연구[1]에서 회복탄력성의 속성을 자기효능감, 유머, 역량, 긍정적 정서 등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로 정의한 것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다.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 혹은 부정적 사건 후에 회복되거나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능력을 말한다. 회복탄력성이 있는 사람들은 스트레스의 효과를 완충하거나 최소화하는 보호 요인이나 자원을 가지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 M. Stephens. (2013). Nursing student resilience: a concept clarification. Nursing Forum, 48(2), 125-133. 

  2. N. R. Ahern. (2006). Adolescent resilience: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1(3), 175-185. 

  3. J. K. Goh. (2010). The differences of stressors at grade and ways of coping in nursing students. Health Communication. 5(2), 79-86. 

  4. Y. H. Yang, E. M. Kim, M. Yu., S. Park., & H. Lee. (2015).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for Korea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3), 337-346. DOI : 10.7475/KJAN.2015.27.3.337 

  5. Y. J. Jee. & K. N. Kim. (2016).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a nursing college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12), 19-27. DOI : 10.14257/AJMAHS.2016.12.09 

  6. S. Fowler. (2012). Examining the concept of resilience. New Jersey Nurse & Institute for Nursing Newsletter, July, 10. 

  7. Y. S. Lee. (2015). Companing theoretical viewpoints about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9(1), 289-310. DOI : 10.18398/kjlgas.2015.29.1.289 

  8. S. H. Kim, S. E. Choi, S. N. Kang, J. S. Park, S. K. Sohn, E. S. Kang & Y. E. Lee. (2007).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Hospice in Korea (1991-2004).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0(3), 145-153. 

  9. S. K. Yoo & H. W. Shim. (2002).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89-206. 

  10. H. J. Park. (1996).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according to Ego-resilience.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1. E. O. Jung. (2006). Validation of Psychological resilience Scale. Master Thesis. Ch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2. Conner, K. M. & Davison, J. R. T.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ion & Anxiety, 18(2), 76-82. DOI: 10.1002/da.10113 

  13. S. L. Kim, & J. Yoo. (2014).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trajectories of school adaptation among adolescents in poverty.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9, 153-175. 

  14. J. Kim. (2003). A study on resilience for adolescent child of problem-drin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Daejeon. 

  15. D. I. Min. (2007).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s, school life health and ego-resilience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16. W. Shin, M. Kim & J. Kim. (2009).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4), 105-131. 

  17. N. R. Kim.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Scale of Academic 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8. Y. S. Song. (2004).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Master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9. S. S. Lim. (2013). Development of integrated model of resilience and positive development of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Kyoungbuk. 

  20. M. K. Kim. (2014).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resilience scale for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21. G. R. Park & J. J. Choi. (2016).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youth resilience : Targeting on published papers in domestic journals(1998-2015).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10), 451-478. DOI : 10.21509/KJYS.2016.10.23.10.451 

  22. J. Block & A. Kremen.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centra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9-361. 

  23. S. S. Luthar, C. H. Doernberger & E Zigler. (1993). Resilience is not a unidimensional construct: Insights from a prospective study on inner-city adolescent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5, 703-717. 

  24. M. Rutter. (198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 s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 598-611. 

  25. J. T. Son & J. J. Lee. (2017). The Effects of a Tai Chi Training Program on Physical Fitness, Stress Response and Ego-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J Muscle Jt Health, 24(3), 217-226. DOI : 10.5953/JMJH.2017.24.3.217 

  26. S. J. Kim & B. Y. Kim. (2016).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Nursing Students' Positive Thinking, Ego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2(4), 495-503. DOI : 10.5977/jkasne.2016.22.4.495 

  27. E. J. Kim & S. J. Kang. (2016). Effects of the simulation on the Ego Resiliency,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Major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324-330. DOI : 10.5762/KAIS.2016.17.1.324 

  28. S. Y. Han & K. B. Choi. (2017). Effects of the Education of 36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Using Structured Multimedia on Self-efficacy, Resilien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Future Nursing Professional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4), 237-254. DOI : 10.22251/jlcci.2017.17.4.237 

  29. O. S. Lee & M O. Gu. (2014). Development an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6), 682-696. 

  30. Y. H. Yeom et al. (2017). Nursing management(6th edition), Seoul : Soomoonsa. 

  31. H. K. Kwon, S. H. Kim & S. H. Park. (2017). A meta-analysis of the correlates of resilience in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1), 100-109. DOI : 10.22650/JKCNR.2017.23.1.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