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외상간호 역량의 주요 영역 연구 : 범주 문헌고찰
The Domains of the Competencies of Trauma Nursing : A Scoping Review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497 - 510  

김영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  최모나 (김모임간호연구소) ,  강혜경 (경복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외상환자를 돌봄에 있어 필요한 역량의 주요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간호사 및 외상간호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JBI(Joanna Briggs Institute)의 범주 문헌고찰(Scoping review) 매뉴얼에 따라 시행되었다. 주제어로는 trauma, $nurs^*$, $competenc^*$, $role^*$,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이었으며, Pubmed, CINAHL, ProQuest, Web of Science, Scopus, ERIC의 6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문헌선정기준과 문헌배제기준에 따라 외상간호를 위한 간호사의 역량 도메인을 제시한 논문 8개를 최종 포함시켰다. 최종 논문 8개는 외상진료체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병원 전 처치와 이송', '병원외상치료', '재활'의 역량을 포함하였으나 '손상예방'의 역량은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Lenburg의 COPA(Competency Outcom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모델의 각 역량을 바탕으로 도출된 역량 도메인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omains of the competencies of trauma nursing through a scoping review using the JBI(Joanna Briggs Institute) methodology. The keywords are trauma, $nurs^*$, $competenc^*$, $role^*$, attitude, and knowledge and skill. The rev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우리나라 의료 환경과 문화에 맞는 외상간호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국외 외상간호 역량 연구를 고찰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 외상간호 역량 관련 논문의 주요 영역을 확인하고, 역량개발의 개념틀 중 하나인 COPA(Competency Outcomes and Performance Assessment)[20] 모델을 활용하여 외상간호역량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 간호사들의 외상간호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구조사들의 임상실무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flowchart를 활용하여 술기술 실시 및 술기술 실시까지의 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앰뷸런스 간호사들이 이론적, 실무적, 윤리적 측면에서 지식과 기술, 경험, 훈련이 충분한지 자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 본 범위 문헌고찰의 목적은 외상환자를 간호하는데 필요한 간호사 역량의 도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질문은 외상간호에 있어 간호사 역량에 포함되어야 할 도메인은 무엇인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진료체계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외상진료체계(trauma care system)는 외상환자 발생 예방, 현장에서의 조기처치 및 적정 외상센터로의 이송, 병원에서의 신속한 외상처치, 그리고 재활 및 사회복귀로 구성되며, 외상환자에게 이러한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의미한다[6]. 외국의 경우 외상 진료체계 도입 및 외상센터 운영을 통해 외상환자 사망률이 감소하고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7].
미국의 외상간호사회가 주장하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이상의 내용에서 외상환자는 독특한 특성이 있고, 생존과 예후를 위해 그 특성에 상응하는 포괄적이며 통합적인 외상진료체계가 필요하다. 미국의 외상간호사회는 [28] 성명을 통해 외상간호사들을 외상센터, 외상시스템 운용의 핵심요소라고 하였으며, 최적의 외상환자 치료결과는 외상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격 있는 간호사와 외상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가용성에 달려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외상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역량 향상이 외상진료체계 발전과 궁극적으로 외상환자치료의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분야에 대한 충분한 역량강화를 위해 미국에서는 어떤 시스템이 도입되었는가? 이는 팀 멤버 중 한 사람이 실수를 하면 다른 모든 팀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삶과 죽음의 중요한 문제가 되기 때문에[12] 각 멤버는 각자의 전문분야에 대한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미국에서는 간호사들의 외상간호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상간호 교육의 학습목표를 도출하여 근무지별 최소 달성 목표를 백분율로 설정하였으며[13], 숙련도 높은 간호사를 활용하기 위해 위기대응간호사(critical response nurse)라는 새로운 간호 직무를 개발하였다 [14]. 또한 외상간호사 자격시험을 위한 조사 연구에서는[15] 임상실무, 외상치료의 연속성, 그리고 전문직 이슈 포함한 시험내용을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2019.02.04. 

  2. http://kosis.kr / statisticsList /statistics ListIndex.do?menuIdM_02_01_01&vwcdMT_RTITLE&parmTabIdM_02_01_01#SelectStatsBoxDiv, 2019.02.04. 

  3. P. G. Teixeira, K. Inaba, P. Hadjizacharia, C. Brown, A. Salim, P. Rhee, T. Browder, T. Noguchi, and D. Demetriades, "Preventable or potentially preventable mortality at a mature trauma center," The Journal of trauma Journal Article, Vol.63, No.6, p.1338, 2007. 

  4. 김윤, 박수경, 정경원, 조현민, 박찬용, 윤정호, 박주옥, 이기재, 홍기정, 윤한덕, 박종민, 김선월, 은상준, 염석란, 김상철,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 평가 및 외상센터운영활성화, 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2017. 

  5. 보건복지부, 2013년도 권역외상센터 설치지원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13. 

  6. 김윤, 강대욱, 노영선, 박수범, 박재현, 박창배, 신상도, 안기옥, 염석란, 오종희, 이의중, 이태식, 조진성, 차원철, 외상진료체계 분야별 구축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서울대학교의과대학, 2011. 

  7. E. J. MacKenzie, "Review of evidence regarding trauma system effectiveness resulting from panel studies," Journal Trauma, Vol.47, No.3, Suppl.S34-41, 1999. 

  8. R. L. Gruen, G. J. Jurkovich, L. K. McIntyre, H. M. Foy, and R. V. Maier, "Patterns of Errors Contributing to Trauma Mortality: Lessons Learned From 2594 Deaths," Annals of Surgery, Vol.244, No.3, pp.371-380, 2006. https://doi.org/10.1097/01.sla.0000234655.83517.56 

  9. S. Martin, "Designated trauma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do they impact patient outcomes?," J Emerg Nurs, Vol.37, No.4, pp.413-416, 2011. https://doi.org/10.1016/j.jen.2010.11.018 

  10. 정윤중, 김영환, 김태현, 금민애, 마대성, 경규혁, 김정재, 홍석경, "외상환자의 치료에서 외상 전문간호사 도입 결과," 대한외상학회, 제25권, 제4호, pp.254-260, 2012. 

  11. M. M. Alzghoul, "The experience of nurses working with trauma patients in critical care and emergency settings: A qualitative study from Scottish nurse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orthopaedic and trauma nursing, Vol.18, No.1, pp.13-22, 2014. https://doi.org/10.1016/j.ijotn.2013.04.004 

  12. D. Harkins, "Trauma Is a Team Sport,"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16, No.2, pp.61-63, 2009. 

  13. K. Haley, S. Marti, J. Kilgore, C. Lang, M Rozzell, C. Coffey, S. Eley, A. Light, J. Hubartt, S. Kovach, and S. Deppe, "Establishing Standards for Trauma Nursing Education: The Central Ohio Trauma System's Approach,"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24, No.1, pp.34-41, 2017. https://doi.org/10.1097/JTN.0000000000000260 

  14. D. Gunnels and M. Gunnels, "The critical response nurse role: An innovative solution for providing skilled trauma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7, No.1, pp.3-7, 2001. https://doi.org/10.1067/mtn.2001.112179 

  15. The Board of Certification for Emergency Nursing, A National Role Delineation Study of the Trauma Nurse Executive Summary, The Board of Certification for Emergency Nursing, 2015. 

  16. 조순영, 서유미, 정은경, 최주영, "외상간호교육 요구분석 : 권역외상센터 간호사를 대상으로," 군진간호연구, 제34권, 제2호, pp.52-68, 2016. 

  17. 김명희, 박정하, "중증외상환자의 주 손상 부위별 특성과 간호활동,"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10-218, 2013. 

  18. 채영숙, 권역응급의료센터 중증외상환자의 간호업무 프로토콜 개발, 강릉원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9. 김혜원, 조순영, 홍은지,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핵심역량," 군진간호연구, 제36권, 제2호, pp.29-40, 2018. 

  20. C. B. Lenburg, "The Framework, Concepts and Methods of the Competency Outcomes and Performance Assessment(COPA) Model,"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Vol.4, No.2, pp.1-12, 1999. 

  21. 심환희, 외상환자를 돌보는 응급실간호사의 이차외상 경험, 고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2. L. Freeman, F. Fothergill-Bourbonnais, and J. Rashotte, "The experience of being a trauma nurse: a phenomenological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30, No.1, pp.6-12, 2014. https://doi.org/10.1016/j.iccn.2013.06.004 

  23. R. A. Gosselin, D. A. Spiegel, R. Coughlin, and L. G. Zirkle, "Injuries: the neglected burden in developing countries," Bull World Health Organ, Vol.87, No.4, pp.246-246a, 2009. 

  24. 정경원, 이국종, 김지영, "외상환자에 대한 손상 중증도 점수체계와 국내 외상성과 연구," Journal of Acute Care Surgery, 제6권, 제1호, pp.11-7, 2016. https://doi.org/10.17479/jacs.2016.6.1.11 

  25. R. A. Cowley, "A total emergency medical system for the State of Maryland," Md State Med J, Vol.24, No.7, pp.37-45, 1975. 

  26. F. B. Rogers, K. J. Rittenhouse, and B. W. Gross, "The golden hour in trauma: Dogma or medical folklore?," Injury, Vol.46, No.4, pp.525-527, 2015. 

  27.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외상학회,Korean Trauma Assessment And Treatment, 군자출판사, 2016. 

  28. Society of Trauma Nurses, "The importance of trauma systems and the vital role of nursing in trauma systems,"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10, No.4, pp.105-106, 2003. 

  29. Society of Trauma Nurses, Society of Trauma Nurses Position Statement, Qualifications, Competencies,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Trauma Nurses, Society of Trauma Nurses, 2016. 

  30. D. Whiting and E. Cole, "Developing a trauma care syllabus for intensive care nurses in the United Kingdom: A Delphi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No.36, pp.49-57, 2016. 

  31. K. Curtis, T. Wiseman, B. Kennedy, S. Kourouche, and H. Goldsmith,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Ward-Based eLearning Program for Trauma Patient Management,"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23, No.1, pp.28-35, 2016. https://doi.org/10.1097/JTN.0000000000000177 

  32. E. Walter and K. Curtis, "The Role and Impact of the Specialist Trauma Nurse: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22, No.3, pp.153-169, 2015. https://doi.org/10.1097/JTN.0000000000000126 

  33. The Joanna Briggs Institute, Reviewers' Manual 2015 Methodology for JBI Scoping Review, The Joanna Briggs Institute, 2015. 

  34. B. E. Franklin, K. V. Carr, and D. L. Padden, "Self -assessment of trauma competencies among Arm y family nurse practitioners," Military medicine, Vol.173, No.8, pp.759-764, 2008. 

  35. K. K. Smith, "Critical care nursing in an austere environment," Critical care medicine, Vol.36, Suppl.7, pp.S297-303, 2008. 

  36. B. Lafferty, "Trauma Nurse Practitioners: Variations in Utilization and Role Expansion,"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18, No.2, pp.115-120, 2011. 

  37. J. Santy, J. Rogers, P. Davis, R. Jester, J. Kneale, C. Knight, B. Lucas, and J. Temple, "A competency framework for orthopaedic and trauma nursing," Journal of Orthopaedic Nursing, Vol.9, No.2, pp.81-86, 2005. https://doi.org/10.1016/j.joon.2005.02.003 

  38. Royal College of Nursing, A Competence Framework for Orthopaedic and Trauma Practitioners, Royal College of Nursing, 2012. 

  39. A. Abelsson, L. Lindwall, B. O. Suserud and I. Rystedt, "Ambulance Nurses'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Competence in Prehospital Trauma Care," Emergency medicine international, Vol.2018, Article ID.5910342, 2018. https://doi.org/10.1155/2018/5910342 

  40. K. Unhasuta, M. V. Robinson, and K. Magily, "Research plan for developing trauma core competencies for nurses in Thailand,"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Vol.18, No.1, pp.3-7, 2010. https://doi.org/10.1016/j.ienj.2009.08.001 

  41. V. D. Van, Y. Aungsuroch, and R. Navicharern, "A Study of Trauma Nursing Core Competency among Staff Nurses in Vietnamese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Health Research. Vol.29, No.2, pp.143-151, 2015. 

  42. R. J. McClure, K. Mack, N. Wilkins, and T. M. Davey, "Injury prevention as social change," Injury Prevention, Vol.22, No.3, pp.226-229, 2016. http://dx.doi.org/10.1136/injuryprev-2015-041838 

  43. P. Violano, I. Weston, and G. Tinkoff, "Approach to a Standardized Injury Prevention Coordinator Training Curriculum,"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23, No.6, pp.343-346, 2016. https://doi.org/10.1097/JTN.0000000000000245 

  44. S. K. Snow, "The Role of the Emergency Nurse in Injury Prevention,"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Vol.44, No.6, pp.640-644, 2018. 

  45. K. Eldredge, "Assessment of trauma nurse knowledge related to forensic practice," Journal of forensic nursing, Vol.4, No.4, pp.157-165, 2008. 

  46. L. A. Wurster, J. I. Groner, and J. Hoffman, "Electronic documentation of trauma resuscitations at a level 1 pediatric trauma center,"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19, No.2, pp.76-79, 2012. 

  47. T. L. Zakrison, B. Rosenbloom, A. McFarlan, A. Jovicic, S. Soklaridis, C. Allen, C. Schulman, N. Namias, and S. Rizoli, "Lost information during the handover of critically injured trauma patients: a mixed - methods study," BMJ quality & safety, Vol.25, No.12, pp.929-936, 2016. https://doi.org/10.1136/bmjqs-2014-003903 

  48. H. R. Nolan, M. Fitzgerald, B. Howard, J. Jarrard, and D. Vaughn, "The Trauma Time-Out: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rotocol - Based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the Traumatically Injured Patient,"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24, No.3, pp.170-173, 2017. https://doi.org/10.1097/JTN.0000000000000286 

  49. 강경자, 김은만, 류세앙,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284-293, 2011. doi:10.5392/JKCA.2011.11.1.284 

  50. D. Demetriades, B. Kimbrell, A. Salim, G. Velmahos, P. Rhee, C. Preston, G. Gruzinski, and L. Chan, "Trauma deaths in a mature urban trauma system: is "trimodal" distribution a valid concept?," J Am Coll Surg, Vol.201, No.3, pp.343-348, 2005. https://doi.org/10.1016/j.jamcollsurg.2005.05.003 

  51. 이성화, 조석주, 염석란, 류지호, 정진우, 한상균, 김용인, 박맹렬, 김영대, "다발성 중증 외상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응급 외상팀 운영의 효과," 대한외상학회, 제22권, 제2호, pp.172-178, 2009. 

  52. S. F. Chuang, "Essential skills for leadership effectiveness in diverse workplace development," Online Journal for Workforce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6, No.1, 2013. 

  53. C. T. Beck,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trauma nurses: a systematic review," Arch Psychiatr Nurs, Vol.25, No.1, pp.1-10, 2011. https://doi.org/10.1016/j.apnu.2010.05.005 

  54. A. Kyle, "Do We Have Leaders Among Us?,"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22, No.5, p.231, 2015. https://doi.org/10.1097/JTN.0000000000000147 

  55. A. Clements, K. Curtis, L. Horvat, and R. Z. Shaban, "The effect of a nurse team leader on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in major trauma resuscitations,"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Vol.23, No.1, pp.3-7, 2015. https://doi.org/10.1016/j.ienj.2014.04.004 

  56. K. Pidgeon, "The Keys for Success: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trauma nursing, Vol.24, No.6, pp.338-341, 2017. https://doi.org/10.1097/JTN.000000000000032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