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신체활동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COPD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0 no.1, 2019년, pp.15 - 27  

목형균 (블루밍헬스랩) ,  조규희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Patients with COPD have a lower overall quality of life than normal people. If patients with COPD do not regularly perform physical activities, their exercise capacity is reduced. It could lead to muscle loss, and negatively affect their general physical, social, and psycho-social stat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신체활동 수준, 앉아서 보낸 시간, 삶의 질 간의 관련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만성폐쇄성폐질환자들은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인구 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하더라도 신체활동을 더 할수록, 앉아서 보낸 시간이 줄어들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만성호흡기질환(만성폐쇄성폐질환 및 천식)을 심혈관질환, 당뇨, 암과 더불어 국가에서 관리해야할 주요 만성질환으로 지정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접근방법중의 하나로 신체활동수준의 증진을 제안하여 이에 관한 보건의료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과 직업적 노출, 대기오염 등에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한 소기도폐질환과 폐실질의 파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류제한을 일으키며 여러 임상증상을 동반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폐질환으로서 흡연, 직업적 노출, 실내 오염, 감염등에 의한 기도와 폐 실질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다. 매우 흔한 질환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친급성 악화가 자주 발생하고 정상인에 비해 동반질환이 흔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와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흡연과 직업적 노출, 대기오염 등에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한 소기도폐질환과 폐실질의 파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류제한을 일으키며 여러 임상증상을 동반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자가 신체활동과 호흡재활을 덜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2006). 만성폐쇄성폐질환자는 신체활동과 호흡재활을덜 하는 경우 근육량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신체기능들이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고, 활동장애, 폐기능 저하, 재원일수(hospital admission)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Benzo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3). 2013년 건강보험 통계연보. 서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 김경은 외 7명. (2010). 한국 일부 지역 노인들의 체력 및 신체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임상노인학회지, 14(4), 212-220. 

  3. 김소영, 윤지은, 김희진, 지선하. (2011). 국제신체활동 설문도구로 측정한 신체활동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8, 15-25. 

  4. 김영희. (2008).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 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0(1), 11-18. 

  5. 남해성. (2010). EQ-5D 건강상태에 대한 한국인 질 가중치 산출. 주간 건강과 질병, 3(16), 264-264. 

  6.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18). COPD 진료지침. 서울: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7. 박세윤, 윤대현. (2014). 한국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및 관계성: 제5기 2차 년도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3, 201-214. 

  8. 박연환. (2007).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활동과 수면. 대한간호학회지, 37(1), 5-13. 

  9. 손신영. (2009).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5(2), 99-107. 

  10. 안태준, 윤형규. (2018).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률 및 사회 경제적 부담. 대한의사협회지, 61(9), 533 

  11. 오지연, 양윤준, 김병성, 강재헌. (2007). 한국어판 단문형 국제신체활동설문(IPAQ)의 신뢰도와 타당도. 가정의학회지, 28(5), 32-54. 

  12. 유지홍 외 6명. (2018). COPD 진료지침 2012 개정.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13. 윤재희 외 10명. (2004). 한국인 만성 질환과 건강 관련 삶의 질. 대한류마티스학회지, 11(3), 263-274. 

  14. 이영훈 외 5명. (2009). EuroQoL-5 Dimension 한국 가중치 모형의 적용 연구.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6(1), 1-13. 

  15. 이재홍, 최원오, 이혁. (2008). 전업주부의 생황 체육 참여 특성과 사회 적지지 및 삶의 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1), 617-629 

  16. 질병관리본부. (2017). 2016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충북: 질병관리본부. 

  17. 질병관리본부. (2018). 2017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충북: 질병관리본부. 

  18. 통계청. (2018). 2018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서울: 통계청. 

  19. Andrea K et al. (2013) Relationship of seden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to incident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61(23) 2346-2355. 

  20. Arne et al. (2009).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subjects with chronic diseas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mpared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diabetes mellitus. Scand J Prim Health Care, 27(3), 141-147. doi:10.1080/028134 30902808643 

  21. BALBOA-CASTILLO et al. (2011). Longitudinal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sedentary behavior during leisure time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HealthQualLifeOutcomes, 9, 47. 

  22. Benzo et al. (2010). Physic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risk of hospitalization in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spiration, 80(1), 10-18. doi:10.1159/000296504 

  23. Craig CL et al,.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5, 1381-1395. 

  24. Dias RC, Dias JM, Ramos LR. (2003). Impact of an exercise and walking protocol on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with OA of the knee. Physio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8(3), 121-130. 

  25. Eliason et al. (2011). Physical activity patterns in patients in different stage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8(5), 369-374. doi:10.3109/15412555.2011.605403 

  26. GBD. (2013).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 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 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7. GOLD. (2018). Global Initiatives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OPD. 

  28. GOPINATH et al. (2012).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Pediatrics, 130, 167-174. 

  29. Hartman JE et al. (2010). Consequences of physical inactivity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pert Rev Resp Med, 4(6), 735 745. 

  30. Hernandes et al. (2009). Profile of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the daily lives of patients with COPD in Brazil. J Bras Pneumol, 35(10), 949-956. 

  31. Katz P et al. (2011). The role of physical inactivity in increasing disability among older adults with obstructive airway disease.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Prevention, 31(3), 193-197. 

  32. McGlone et al. (2006). Physical activity, spirometry and quality-of-lif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3(2), 83-88. 

  33. Menard JR et al. (2004). Long-term results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rehabilitation. Journal of Vascular Surgery, 39(6), 1186-1192. 

  34. Page N. (1977). Weightlessness: a matter of gravity. New England Journal Medicine, 297, 32-37. 

  35. Painter P, Krasnoff J, Paul SM, Ascher NL. (2001).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Liver Transplantation 7(3), 213-219. 

  36. Park SK, Richardson CR, Holleman RG, Larson JL. (2013). Physical activity in people with COPD,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valuation Survey dataset (2003-2006). Heart & Lung 42.235-240 

  37. Pauwels et al. (2012).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63(5). 

  38. Saltin B et al. (1968). Response to exercise after bed rest and after training. Circulation, 38, 13-78. 

  39. Saltin B, Rowell LB. (1980). Functional adaptions to physical activity and inactivity. Federation Proceedings, 39, 1506-1513. 

  40. Squires RW et al. (1990). Cardivascular rehabilitation; status. Mayo Clinic Proceedings, 65, 731-755. 

  41. Stewart KJ et al. (2003). Are Fitness, activity, and fatnes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od in older person.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23(2), 115-121. 

  42. Troosters T et al. (2013). Improving physical activity in COPD: towards a new paradigm. Respiratory Research, 14, 115-123. 

  43. Vestbo et al. (2013).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7(4), 347-365. 

  44. Yoon, J. (2016).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for 313 Diseases and Injuries: the 2012 Korean Burden of Disease 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1 Suppl 2, S14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